사극 대왕 세종에선 기술자라기보단 거의 과학자에 더 가까운 느낌이 들지만,
사실 그는 물건을 정교히 만드는 기술자에 가까웠습니다.
그가 만든 유명한 것중 하나가 물시계인데, 그걸 만든 이론적 방법은 세종이 가르쳐주었고
이론적 방법을 숙지하여 장영실이 물시계를 만든 것이었죠.
이에 대한 내용이 실록에 나와있습니다.
"이제 자격궁루(물시계) 를 만들었는데 비록 나의 가르침을 받아서 하였지마는,
만약 이 사람(장영실)이 아니더라면 암만해도 만들어 내지 못했을 것이다.
내가 들으니 원나라 순제(順帝) 때에 저절로 치는 물시계가 있었다 하나,
그러나 만듦새의 정교함이 아마도 영실의 정밀함에는 미치지 못하였을 것이다.
만대에 이어 전할 기물을 능히 만들었으니 그 공이 작지 아니하므로 호군(護軍)의 관직을 더해 주고자 한다.”
그럼 장영실은 어떻게 궁중 기술자가 될 수 있었을까요?
대게 세종이 그의 능력을 인정하여 노비였던 장영실을 모두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중용했다.
라고 알려있습니다. 이는 아주 틀린 말은 아니지만, 진실은 조금 다릅니다.
장영실의 아버지는 조선인이 아닌 원나라 사람이었는데, 조선으로 넘어와 기생과 결혼하였고 그래서 낳은 자식이 장영실입니다.
장영실의 능력을 처음 눈여겨 본 것은 세종이 아니라 태종이었고,
세종이 왕이 된 후에도 그의 능력을 인정하여 세종 4년 임금의 의복을 만드는 상의원 별좌로 승진시키고자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알기로 이때 대소신료 모두가 반대한 것으로 알고 있지만,
사실 허조는 '기생의 소생을 상의원에 임용할 수 없다.' 하였고,
조말생은 '‘이런 무리는 상의원에 더욱 적합하다.' 하여 찬반의견이 모두 나오자,
세종은 다른 대신과도 의논하여 상의원에 임명할 수 있다라는 쪽이 우세를 얻어 관직을 얻게 됩니다.
후에 물시계를 만드는 공로를 인정받아 세종이 호군으로의 승진을 신하와 의논하는 것이 위의 실록 기록이고,
이때 황희의 찬성 의견으로 정4품 호군으로 승진하게 됩니다.
정리하면, 장영실을 처음 등용한 것은 세종이 아니라 태종이었다.
다만, 그의 능력을 인정하여 중용한 것은 세종이고,
그의 관직을 올려주는 것은 세종의 독단적 처리가 아닌 신하들과 논의를 통한 결정이었으며,
의외로 신하가 그의 능력을 인정하여 관직을 주는 것에 크게 반대하지 않았다...정도입니다.
장영실 뿐 아니라 조선 초기 조정에서 우대했던 기술자가 하나 더 있습니다.
장영실과 상당히 비슷한 케이스인데, 그는 조선인이 아닌 중국인이었습니다.
김새라는 이 중국인은 북방 이민족에게 포로로 잡혀 살다 겨우 도망쳐 조선으로 들어오게 됩니다.
김새도 기술장인이었는데, 사실 좀 사기꾼 기질이 있었습니다.
돌맹이로 금이나 은을 만들 수 있다고 하고,
어떠한 가루 등으로 하엽록(녹색 빛을 내는 고가의 염료)을 만들 수 있다는 등의 소리를 합니다.
그래서 돌맹이를 가져다주니 ‘모두 진짜 돌이 아니다.’ 라며 금을 만드는 것에 실패합니다...
가 아니라 그냥 헛소리이니 당연히 불가능했겠지요.
그러나 가루로 하엽록을 만드는 건 실제로 보여주고,
그외 여러 기술을 가지고 있어 세종은 그를 후하게 대접하고 기생과 결혼하게 하여 조선에 살게합니다.
김새도 조선의 대접에 만족하며 중국으로 돌아가길 원치 않았기에
여기까지보면 해피엔딩인데 문제는 이 사람이 중국사람이라는 것입니다.
당시 북방민족에 의해 많은 명나라인이 포로로 잡혔고 도망친 이들 중 상당수가 조선으로 들어왔습니다.
조선은 중국에 사대의 예를 다해야했고, 중국측 요구가 없이도 약 1천 명의 명나라인을 본국으로 돌려보냈죠.
김새도 명나라 사람이니 돌려보내야한다는 의견과 굳이 보낼 필요 없다는 의견이 대립하는 상태라 결정이 쉬이 나지 않았고,
세종도 본심은 보내고 싶지 않는 게 당연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김새를 쫓는 중국측 사람이 요동에 머무르며 조선으로 올 수 있다는 소식에,
끝내 그를 숨길 수 없다 판단하여 결국 김새와 조선에 머물렀던 중국측 기술자들을 본국으로 돌려보내게 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