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3/04 07:56
심지어 작년부터 건설업근로자에 대한 건강보험 부과 일수도 기존 20일에서 8일로 줄었습니다.
4대보험 사각지대에 있는 건설업근로자에 대한 개선책이라고 내놓은 것인데, 정작 회사입장에서는 4대보험료 증가+일거리의 증가로 인하여 대부분 꼼수로 일처리하고 있죠. 예를 들면 지속적인 근로자인데 한달에 7일만 일한것으로 처리하고 나머지 일수는 다른 사람 명의로 일용근로자 신고를 한다던가 하는...
20/03/04 08:10
건설현장에서만 일어나는 일은 아니듯 한데요..
분야불문 일손 적은 영세사업체들은 다 비슷비슷 합니다. 사대보험이나 세금관련 이슈는 어차피 둘 중 하나기 때문이죠. 토해내거나, 돌아오는 금액이 적거나. 업무대비 수지타산 안맞으면 하이패스죠.
20/03/04 08:31
건설업 전산시스템 운영 / 유지보수한지 좀 됐는데 전에는 시행시공개념에 원도급사라 이런문제가 없다가 지금은 월에 1000명쯤 되는 일용직 관련 사항들을 보고 있습니다. 관련해서 사후정산에 대해선 몰랐던 부분이네요.
저희는 노임기반 시스템을 따로 운영중이고 해당하는 노임일수가 특정 카운트 20 / 8 (2018. 7월부 적용이었나요)가 되거나 등으로 인해 취득 / 상실 / 보수변경에 대한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비슷하게 인접한 현장을 오고가시는 분들에 대한 컨트롤이 안된다는 점인데 개선을 해보려고 하다가 혼자서 관리하다보니 뒤로 좀 놓아버린 경우기도 합니다. 현장별로 사업장을 만들어야 하다 보니 손이 많이 간다거나, 역으로 저희기준에선 현장을 나눠서 (소장을 2명 두고, 2개 현장 관리)하는데 원도급사에서 1개의 현장으로 처리하고 싶어하면 사업장 신고를 1개로 하고 두 현장의 자료를 섞어야 한다거나 변수들도 제법 많네요. 그래도 영세업체들보단 낫지 싶은 상황입니다. 4대보험은 기본적으로 그래서 다 처리가 되고 있으니 그나마 다행인거 같은데 사후정산 잘 받고 있나 모르겠네요. 해법이 사실 쉽게 나지 않는 부분인데 저런걸 파고드는 좋은 노무시스템이 훅 하고 들어와야 겠지만 겪어본바 좋은 시스템이 있다고 해결되는 만능은 없었던 것으로 ... ㅠㅠ
20/03/04 09:48
일용직 월에 천명이면 매우 큰 현장이네요. 별도의 전산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는 규모라면 도급액도 크기 때문에 보험료 규모가 커서 왠만하면 전부 정산받고 있을 겁니다. 다만 영세업체들은 시공관리책임자가 연세도 많고 여러개 현장을 동시에 관리하거나 시공까지 겸하다보니 시시각각 바뀌는 제도나 법령에도 취약하고 전산시스템은 다루기 어려워하시고 그렇습니다. 알바하다보면 주휴수당 계산도 실수하는데 이런거 보면 직관적이고 좋은 제도라는게 참 만들기 어려운거 같네요.
20/03/04 09:55
시스템을 잘 만든다고 만들어도 제도의 유동적인 부분과 전산쟁이들이 제일 싫어하는 무수한 예외의 법칙이 나타나기 때문에 따라가는데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기도 합니다.
이게 한달동안 일을 한 사람으로 보면 지급할 금액은 A현장+B현장+C현장 = D 가 되니까 본인은 D만 받으면 되는데 정작 회사입장에선 투입에 대한 원가 정산을 해야 하다보니 A, B, C를 다 구분지어야 하고 그러기 때문에 매칭을 위한 값이 다 다르게 들어가서 4대보험 정산할때 사업장신고까지 개별이면 ..... 하..... EDI 등록하는 데이터 빼주는 과정도 그렇고 정말 여러모로 실무들이 쉽지가 않은 상황인데. 이 과정에 시스템상의 헛점 또는 사용성에 있어 익숙치 않아 발생하는 몇몇 예외가 겹쳐지면 시스템이 있어도 이런데, 없으면 어떨지 말도 못할 것 같습니다.
20/03/04 10:15
지방 작은 건설회사 직원입니다.
다른 곳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저희 회사의 경우만 놓고 보면, 본문에 말씀해 주신 대로 건강, 연금보험료가 적지 않기 때문에 사무실에서는 어떻게든 일용노무자들의 보험료를 정산하려고 하지만, 보통 당장 손에 쥐는 노임이 적다는 이유로 보험료 정산을 꺼리는 일용노무자분들이 많더라구요. 회사 입장에서는, 보험료 정산을 통해 적게나마 1) 관리비, 이윤을 늘릴 수 있고 2) 매출, 즉 실적을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일이 많아져 좀 번거롭더라도 보험료 정산을 하는 편이 좋습니다.
20/03/04 14:51
맞습니다. 가급적 하는게 좋지만 정산을 안 하는 곳이 생각보다 많아서 놀랐습니다. 전기, 소방 같은 전문공사는 그런 비율이 더 높은 것 같더라고요. 금액 작다고 해도 최소 수십만원은 나오는데 말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