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8/07/02 22:20
원래 가만히 기다리는 게 제일 어려운 법입니다. 보통 사람은 못 기다려요.
존버도 능력입니다. 개나 소나 존버하는 거 아니에요
18/07/02 22:39
수시체제가 이미 적응이 된 상황이기 때문에 정시로의 통로를 어느 정도로만 열어놓고, 수시체제에서의 문제점인 학생부 관련해서는
제대로 된 지침을 내려서 조정을 하게 된다면 충분히 해결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수능도 솔직히 건드리지 않았으면 합니다. 지금도 별로인데, 더 얼마나 개악이 될지는 알 수 없어서요.
18/07/02 23:03
비유적으로 비교할순 있겠지만 공장 시스템이랑 국가 교육 시스템은 엄청 다르죠. 제가 보기엔 썩 좋은 비유는 아닌 거 같습니다.
18/07/03 09:39
훨씬 더 규모가 크고 복잡하죠.
그러니 더더욱 조심스럽게 접근해야죠. 분석도 여러 방면으로 오래하고 대안도 여러 검토를 거쳐야 되는데 그러면 이미 정권이 끝난다는 게 문제죠. 백년대계라는데 너무 자주 바뀝니다. 이게 제일 문제에요
18/07/03 09:50
신중해야하고 자주 바뀌면 안좋다는 점에서는 동의합니다만 본문처럼 가만히 놔두는 게 좋은 건 아닌 거 같습니다. 조금씩 조심스럽게 고쳐나가야죠.
18/07/02 23:03
수능이라는게 객관성과 문제의 질을 담보하기 위해서 출제진을 감금하고 시중의 모든 문제집을 크로스체크하는짓을 십수년째 하고있고 수능 기출문제는 수험생에겐 바이블취급으로 물고뜯고맛보고즐김당하고 있는것이 현실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으로 수능의 품질과 난이도를 유지할 수 있다면 정시비중을 높여야합니다.
예전에도 피지알에 올라왔던 글이지만 농어촌이나 지역균형전형으로 수시가 학군 불균형을 깼다고 대국민구라를 쳐서는 안됩니다. 실제로 강남학생들이 정시로 서울대를 많이 갔다고 해도 그것이 공정한 경쟁이라면 모두들 납득할겁니다. 고교 인강붐이 불었던것은 지역환경에 상관없이 고품질의 강의를 수강할 수 있었기 때문이고 강남구청 인강같은건 모두의 칭찬을 받은 좋은 정책인데.. 지역불균형 해소한다고 ebs를 무리하게 쑤셔 넣어서 외국어영역을 암기대결장으로 만들고 수능의 권위를 파괴하는건 쓰레기같은 협잡이죠.
18/07/02 23:05
일정 부분 공감합니다. 교육정책을 무슨 롤드컵 직전에 대격변 패치하듯이 뒤집어놓으면 어떻하나요... 버그패치 위주로 천천히 바꾸는게 정답이죠.
18/07/02 23:32
근데 이번 공론회용 안들을 보면 그렇게 크게 건드리는것 같지는 않습니다. 뭐 정시 확대찬성 집단에서도 불만 아닌 집단에서도 불만이겠죠.
18/07/03 05:54
임기가 있는 모든 자리가 그렇지 않겠습니까...
“뭔가 보여줘야 한다”, “뭔가 해내야 한다”, “n년 밖에 안남았다” 라고 생각하기 시작하면 뜸든 밥은 못 먹는거죠..
18/07/03 08:39
글 내용이 정답이라고는 할 수 없겠지만 나름의 설득력은 있는 글을 쓰셨네요. 그동안 보면 경험에서 나온 글들은 꽤 괜찮단 말이죠. 나머지 글들이 문제지...
18/07/03 08:42
개인적으로 결론 자체는 제 생각과 통하는 면이 있긴 한데, 그 이유가 원글과 크게 상관있는 건 아니지만...
저는 사회가 먼저 바뀌지 않고서 교육 정책을 바꿔 봤자 미봉책 이상은 안 될거라고 봐서 그렇습니다. 저 나름대로 사회 문제들 대부분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해결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데, 솔직히 교육은 진짜 답 없는 것 같습니다 답 안 보이기로 현존하는 문제들 중 최고인 듯...
18/07/03 10:07
그런데 문제는 교육 정책의 올바른 방향성이 무엇인지 아무도 모르고, 제대로 결정해봤던 사람도 없다보니...
어느시점에서 그냥 놔둬야 할지 아무도 모른다는게 크크크 그래서 자꾸 쪼물딱거리고 있는거겠죠.
18/07/03 10:24
사실 경제정책이나 교육이나 정부가 적극적으로 민간에 개입해서 하는 일들의 상당수는 가만히 놔뒀을때와 비교해서 최종 결과가 비슷하거나 더 안좋은 경우가 많겠죠... 그러나 결국 관료들은 자기 존재의 의의를 찾아야 하기 때문에....
18/07/03 12:36
관료도 문제고 즉흥적이고 감상적으로 나쁜 방향으로 가는 것도 문제라고 봅니다.
체제가 바뀌기도 전에 자꾸 바꾸고 건드니까. 더 꼬이는 것이지요.
18/07/03 10:36
글의 내용이 좋은 결과를 가져온 케이스지만 나쁜 결과를 가지고 올 수도 있다는게 모르는거죠..
일단 내용을 떠나 교육정책 자체가 방향성이라는걸 가질수가 없다는거라서 제일 문제입니다. 죽이되든 밥이되든 사장 또는 임원 몇명을 상대로 모험을 걸어보는것과, 최소 수만명과 부모들을 상대로 교육정책이라는걸 그냥 가만둔다... 라는게 가능할 수 없다는게 더 문제겠죠. 결국 이권과 관련한 모든 문제에서 다 차단하고 어느정도의 정책을 꾸준히 방향유지하며 지켜낸다면 뭔가 답이 나오겠지만 현실적으로 한계가 너무 많습니다. 국민정서법상 가만히 둔 교육부장관은 점마 짤라라 나오는 경우도 있을거고, 겁나 열심히 했더니 점마 짤라라 나오는 경우도 있는게 현실이죠. ㅠㅠ
18/07/03 12:42
본문의 경우 최악의 경우 사고가 발생하고 나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없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방향이 나쁘지 않았기에 무난히 성공했던 거고요. 말씀하신 방향유지후 바꾸지 않는다면 그게 최선이 될 것입니다.
19/01/18 19:29
교육 공학자들과 회사 부장은 레벨이 다르죠.
무엇보다 한국교육정책이 이상적이지는 않을지언정 적어도 한국의 고등학교 공교육은 세계최고수준이란 건 부인할 수 없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