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0/01/19 16:02:38
Name 삭제됨
Subject [일반] 아직도 영국 의회에서 사용하는 몇가지 중세 노르만 불어구절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안스브저그
20/01/19 16:21
수정 아이콘
영국이 기발한 걸 즐기는 진취성이 잇지만 또 쓸데없다고 있는걸 내다버리지 않죠. 그렇게 남은 것들로 문화선진국이 된 거죠. 더불어 브렉시트와 왕실 문제로 정치가 비난받고 있지만 저는 종합적인 영국의 정치력이 한국과 비교가 안될만큼 고도화 됫다고 봅니다. 그 근본은 의회에서 확립된거라면 쓸데없는 관습도 어쨋든 따르고 보는 권위 존중에서 나오죠
절름발이이리
20/01/19 16:32
수정 아이콘
저는 그런 걸 미개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영국이 선진국인건 쓸데없는 관습과 권위를 존중해서가 아니라 그냥 경제력 군사력등이 강대했고 여전히 강대해서죠. 문화 파급력이 있는 국가인거야 (자기들도 강국이지만) 세계 최강국과 같은 언어 쓰는 덕분에, 헐리우드나 빌보드 얻어타기 쉬워서죠.
안스브저그
20/01/19 17:02
수정 아이콘
권위주의와 권위를 혼동하면 정당한 권위에 대한 존중도 미개하게 보일겁니다. 그런 사람들이 다수인 사회는 안정과 거리가 멀겟죠. 파격과 보수성이 혼재된 사회이기 때문에 하드파워가 신장한걸 저절로 생겨난 걸로 생각하시니 이런 인과역전이 잇을까요
절름발이이리
20/01/19 17:09
수정 아이콘
전통이란 이유로 '쓸데없는 것'을 존중하라는 것은 '권위주의'의 모범적인 정의이죠. 권위와 권위주의를 혼동하시고 계시다는 걸 정확히 표현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한편 파격과 보수성이 혼재된 사회이기 때문에 하드파워가 신장했다는 건 국왕이 착하니까 나라가 발전했다는 식의 동화적 스토리에서나 가능하고, 현실에서의 국력은 그 국가가 처한 지정학, 산업 환경에서 유인할 뿐입니다. 파격이고 보수고 국력에는 거의 아무 의미 없습니다.
CapitalismHO
20/01/19 16:33
수정 아이콘
요즘 인터넷상에서 영국 일본 미국이 좀 과도하게 까이는 느낌이 있는거 같습니다. 물론 여러 문제를 가진 사회인건 맞는데, 안 그런 나라가 없죠. 오히려 선진국에 대한 과도한 환상을 품다가 현실을 목도하고 나니 과도하게 인터넷상에서 조롱의 대상이 된거 같다고 해야할까요. 다른 선진국들도 큰차이 없을탠데 그런 나라들의 현실도 알게되면 다음은 어디에 유토피아를 설정할지 좀 궁금해집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0/01/19 17:21
수정 아이콘
사실 유토피아는 어디에도 없으니까 유토피아...어?
CapitalismHO
20/01/19 17:24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그대로입니다. 사람들이 두루뭉실하게 상상하는 선진국은 어디에도 없죠.
20/01/19 17:28
수정 아이콘
무조건적 동경의 대상이라면 과거에는 미국. 그 다음에 일본. 싱가포르도 잠깐 유행했었죠. 90년대에는 똘레랑스로 대변되는 프랑스 유행 열풍이 있었고 21세기에 들어서는 북유럽이었죠. 흐음... 다음 유행은 어디일까요? 저는 중동쪽 한 번 밀어봅니다. 아직 현금이 꽤 있는 나라니까요.
CapitalismHO
20/01/19 17:40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엔 한바퀴 돌고 이곳도 저곳도 미묘해지면 과거로 시선을 돌릴 것 같습니다. 이를태면 (지금도 많이 그러지만) IMF이전 대한민국을 지금보다도 더 이상화하지 않을까합니다. 기억은 점점 마모되기 마련이고 환상을 투영하기엔 더 좋아지겠죠.
절름발이이리
20/01/19 18:11
수정 아이콘
뭐 서브프라임 터지기 전까지 두바이 모델에 대한 열풍이 잠시 있었습니다. 그 외엔 부러워 하기엔 너무 그닥이거나 상황이 워낙 다른지라.
20/01/20 00:24
수정 아이콘
중동도 이미 10년전에 유행지나갔습니다 위에 두바이도 말씀해주셨지만 그거랑은 또다른 차원으로

관대한 이슬람론이라고... 멍청이들이 혹했던 이론이 있었죠
Chandler
20/01/19 17:59
수정 아이콘
하지만 영국음식만은 절대 쉴드불가..
cienbuss
20/01/20 11:35
수정 아이콘
그중에 영국이 포지션이 애매해서 요즘들어 더 까이는 것 같습니다. 미국이야 좋아하든 싫어하든 장단점이 뚜렷한 나라라 보통 한 쪽을 부각시키면서도 양면성 자체를 부정하진 않고. 일본도 국력이나 서양에서의 이미지 대비 근현대사의 대내외적 만행이나 정치수준에 대해서는 국민감정도 있어서 줄기차게 까지만. 정치 외적인 면에서 갈라파고스화나 보수적 측면을 감안해서도 역량이 대단한 건 인정하는데.

영국은 요즘 들어서 부정적인 의미에서의 제국주의시대의 패권국인 측면이 부각되고, 미국 좋아하는 사람들은 미국 하위호환이라 까고, 독프 같은 대륙계 국가 좋아하는 사람들은 같은 유럽이라기엔 너무 다른 나라라 이질적이어서 까고. 일본 깔 때 같은 섬나라라고 까이기도 하고. 그리고 좋아했던 사람들도 브렉시트에 실망했고. 근데 참 흥미로운 나라인 게 전통을 고수하고 기존의 질서가 남아있다는 점에서는 보수적인 나라인데. 언론의 자유가 매우 강하게 보장되며 자동차 규제 같은 흑역사가 있긴 해도 다른 유럽국가에 비해 금융업이나 첨단산업쪽으로 노력을 많이 한다는 점에서는 대륙보다 진취적인 것 같고.

선진국도 다 뜯어보면 문제가 있기 마련이지만 시스템적 측면에서 미국이나 독일 정도면 배울 가치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영국도 얼핏 보면 미국 하위호환 같아서 배울 게 없을 것 같지만 예를 들어 입시제도는 미국보다 영국을 참고하는 게 나았을 것 같다는 느낌이 들고. 일본은 우리가 모방해 왔지만 슬슬 길이 갈리고 있다는 느낌이 들고. 프랑스는 제도 자체가 근현대 서양의 시초이지만 이후 너무 독자적으로 발전해서 다른 나라들이 참고하기에는 같은 대륙계 국가인 독일이 뭔가 더 깔끔한 것 같고.
CapitalismHO
20/01/20 16:09
수정 아이콘
영국이 애매한 포지션이란게 맞는 말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한번 까이는 트렌드가 생기니 더 확대 재생산되고 있지 않나도 생각이 드네요.
그린우드
20/01/19 16:43
수정 아이콘
닉값하는 글이네요
20/01/19 17:28
수정 아이콘
이번에 트럼프 탄핵관련해서 미국 상원 투표가 Yea or Nay라고 돼있던데 그것도 원래는 영국 전통에서 온건가요? 아니면 그냥 고어인건가요?
표절작곡가
20/01/19 20:59
수정 아이콘
독일어로는 Ja oder Nein이군요.
발음은 야 오더 나인...

역시 기원은 못 속이는 게르만계 언어~~~
Lord of Cinder
20/01/19 23:43
수정 아이콘
고어인 것으로 보입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Yes_and_no 에 따르면 옛날 영어에서는 부정의문문에서는 Yes, No로 대답을 했고 긍정의문문에서는 Yea, Nay로 대답을 했는데 (즉, 4가지 형태) 오늘날에는 그냥 어떤 의문문이든 대답으로 Yes, No만 사용하는 2가지 형태로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Yea, Nay의 어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Yea는 독일 쪽의 영향을, Nay는 스칸디나비아 쪽의 영향을 받아 영어에 들어갔던 말이라고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4098 [일반] 한강 유람선의 호랑이 모형 이야기 [11] 及時雨7847 20/01/20 7847 30
84096 [정치] 조원진과 갈라선 홍문종, 전광훈‧변희재 등과 통합 모색…총선 전 신당 가능성도 [28] 나디아 연대기8283 20/01/20 8283 0
84095 [일반] 안나푸르나 한국인 교사 실종과 국비외유 [74] 치열하게13596 20/01/20 13596 5
84092 [일반] 넷플릭스에서 지브리 작품 21편을 전세계 서비스 예정. [31] 삭제됨11560 20/01/20 11560 2
84091 [일반] 한국(KOREA)형 경제전략모델(2) [3] 성상우4958 20/01/20 4958 2
84090 [정치] 불교계에 육포선물이 왔다고 합니다. (정치) [148] 이른취침15069 20/01/20 15069 0
84089 [일반] [역사] 유길준의 서유견문에 대한 고찰 [1] aurelius7363 20/01/20 7363 4
84088 [정치] 안철수 입국 기자회견 전문 '실용적 중도정치 실현하는 정당 만들겠다.' [113] 니지11936 20/01/20 11936 0
84087 [일반] 영국 식민지 깃발들의 바탕색이 빨강, 파랑인 이유 [20] 삭제됨7581 20/01/20 7581 16
84086 [일반] 용돈의 정의 (feat. 유부남) [64] 카미트리아10697 20/01/20 10697 0
84085 [일반] 이국종 교수가 외상센터장 자리에서 물러납니다. [76] 시원한녹차13720 20/01/20 13720 0
84082 [정치] 원내 정당이 하나 더 생겼네요. [43] 유료도로당13844 20/01/19 13844 0
84081 [일반] [역사] 1906년 어느 조선 지식인의 기고글 [17] aurelius8665 20/01/19 8665 6
84080 [일반] 롯데 신격호 명예회장 별세. 향년 99세 [15] 독수리의습격11254 20/01/19 11254 0
84079 [정치] 유승민 "박근혜 빨리 사면됐으면…정치권 전체 노력해야" [133] 나디아 연대기16454 20/01/19 16454 0
84078 [일반] 아직도 영국 의회에서 사용하는 몇가지 중세 노르만 불어구절 [18] 삭제됨6597 20/01/19 6597 3
84076 [정치] 앞으로 민주당을 찍지 않기로 다짐한 이유 [104] antidote18161 20/01/19 18161 0
84075 [일반] [역사] 1919년 어느 한 조선인 노스트라다무스의 기고글 [33] aurelius13474 20/01/19 13474 19
84074 [일반] 한국의 미래 인구수를 계산해봤습니다. [105] Volha15848 20/01/19 15848 9
84073 [일반] [역사] 1919년 김규식은 파리에서 무엇을 주장했는가? [2] aurelius7291 20/01/18 7291 4
84072 [일반] 겨울왕국은 아렌델의 영토확장을 동화적으로 풀어낸 프로파간다 [23] VictoryFood12309 20/01/18 12309 21
84071 [일반] 인구론은 아직 유효한것 같습니다. [15] 삭제됨7957 20/01/18 7957 0
84070 [일반] 부산도 지역화폐가 나왔습니다. [27] style13657 20/01/18 1365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