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05/24 20:40:31
Name kokoko
Subject [일반] 이재명은 어떤 정책을 펼칠까요?
솔직히 저는 이재명 후보가 대통령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그래서 이재명의 정책에 대한 몇 가지 질문을 pgr21에 올리고자 합니다.

1) https://cdn.pgr21.com/freedom/103175
이 글에 달린 댓글들을 읽는데, 역시 장기적 문제로 꼽히는 것은 RnD와 의료 쪽 문제인 것 같습니다.
이재명 후보가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려고 하는데, RnD 지원을 어느 정도로 늘릴 것 같고, 의료 쪽 문제는 어떻게 접근할 것 같으신가요? RnD 쪽은 많은 경우 정말 큰 타격을 입은 것 같은데, 잘 회복할 수 있을까요? 의대 정원을 어떻게 다룰까요? 어떤 분들은 재원 부족 얘기하시면서 민영화(아마 당연지정제 폐지를 의미하시는 듯)로의 수순을 얘기하시던데...

2) 아래에 달린 글들을 읽으니, '호텔경제학' 얘기가 있었습니다. (제 생각에는 경제주체에게 돈 주고 다시 뺏으면 지금껏 경제주체들이 했던 소비도 원상 복구될 것 같습니다. 호텔을 예로 들면 침대를 산 이후에 돈을 뺏기면 침대를 반품하고 소비를 취소할 것 같습니다. 반품이 불가능하다면, 다른 데에서 소비를 줄이겠죠. 한계소비성향이 변화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서요.) 이후의 대처를 보면 이것은 이재명의 신념인 것 같더라고요. 아마 재정적자도 각오한 것 같은데, 그렇다면 이재명은 어느 정도로 강력하게, 어떠한 방식으로 재정 확장 정책을 취할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물러나라Y
+ 25/05/24 21:02
수정 아이콘
기본적으로 윤석열 시절과는 비교도 안 될 정도로 좋아질 겁니다. 이미 행정력은 역대 대통령 후보 중 상위 1티어로 증명되었죠.
물론 피지알에 계신 민주당이 10개 중에 8~9를 잘해도 1~2개 못하면 나라 망할 것처럼 걱정하실 분들이 계시겠지만,
지금과는 R&D건 의대정원 문제건 합리적인 방안을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빠르게 진정시켜 나갈 겁니다.

분배정책만 침소봉대로 이재명 비토론자들이 크게 떠들어대는데,
이재명은 어제 토론에서 권영국의 분배 정책에 [공감은 하나, 지금은 성장이 우선]을 강조합니다.
일단 성장에 상당한 드라이브를 걸 겁니다.그리고 지역화폐나 이런 부분들은 일단 심각한 수준의 자영업을 살리기 위해
다소 재정 지출을 감안하긴 하겠죠. 그래도 OECD 수준에서 국가채무 자체가 높지 않은 나라니까요.
+ 25/05/25 04:38
수정 아이콘
제가 궁금한 것은 그 '합리적인 방안'이 구체적으로 뭔가 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현 민주당 의원이신 분이 의대 증원에 대해 어떤 주장을 했는지를 보는데, 민주당에서 그 때 제대로 된 인식이 있었는지 의뭉스러운 점이 없지는 않습니다,
https://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10378

이런 분들 목소리가 민주당에서 크지는 않겠죠?
부모님좀그만찾아
+ 25/05/24 21:03
수정 아이콘
댓글이 잘 안달리고 고요한게 폭풍전야 같네요...
다크서클팬더
+ 25/05/24 21:04
수정 아이콘
https://policy.nec.go.kr/
정책공약은 여기서 보시면 됩니다. 이번에 3년 조기대선이라 다들 공약집이 부실하기 짝이 없습니다.

그나마 거대양당은 구색은 갖췄는데 군소후보들은 그말싫..

실제 어떤 공약을 할지는 가봐야 아는 것이고, 그간 해온 것들로 예측들은 해 볼 수 있을듯 합니다.
물론 까봐야 아는것이구요.
+ 25/05/24 21:14
수정 아이콘
링크 감사합니다.
+ 25/05/24 21:08
수정 아이콘
일단 상법개정 및 주식시장 개선(저pbr주 관련)을 먼저 추진해줬으면 좋겠네요.. 국장 꼬라지가 참..
이강인
+ 25/05/24 21:11
수정 아이콘
저는 상당히 우려스럽습니다만, 저의 걱정이 기우로 끝나기를..
하늘하늘
+ 25/05/24 21:14
수정 아이콘
호텔경제학은 이재명의 정책이 아닙니다.
많은 분들이 이재명에 대해 안좋은 인상을 심어주려는 목적으로 호텔경제학이 마치 이재명의 주된 정책인양 묘사하지만
사실과 달라요.
이재명의 저 그림으로 설명하려고 했던 정책은 '지역화폐' 정책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골목상권 살리기가 주된 정책목표죠.
즉 '돈의 순환'을 강조한게 그 그림이고 돈이 순환만 해도 경제는 활성화 되는 효과를 볼 수 있다는걸 단순화 해서 표현한겁니다.
논의의 초점은 이재명의 지역화폐 정책이어야하는거지 소위 호텔경제학 짤이 아니에요.

솔직히 2번에서 님이 무슨 이야기를 하고 싶은건지 제대로 독해를 못해서 좀 주제를 잡기 힘든데
추측하자면 이재명은 마구 퍼주는게 신념이고 그러다가 우리나라 망한다 라고 읽히는 것 같습니다.
근데 성남시장시절부터 기본소득을 주장했고 그 접근을 아주 신중하게 해왔습니다.
경기도 지사선거에서도 공격하는 쪽에선 퍼주다가 경기도 다 말아먹는다고 했지만
코로나 시국에서도 부채는 늘었다지만 경기도 재정이 파탄났다는 이야기는 듣지 못했습니다.
비상한 시국에는 비상한 정책을 쓴다는게 이재명의 행정 모토이고
평상시에는 안정적인 정책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누구처럼 어느날 갑자기 사전협의 없이 터트리는 방식이 아니라
이재명이 했던 많은 정책들이 시간을 두고 부작용을 최소화 하는 방향으로 시행된 만큼
님이 걱정하는 그런 사태는 올 가능성이 적을거라고 전 보고 있습니다.
앙몬드
+ 25/05/25 00:18
수정 아이콘
이재명 본인이 연설이고 토론이고 나와서 몇번씩 호텔경제학을 직접 언급하고 있는데 어떻게 호텔경제학은 이재명의 정책이 아니라는 말이 나오는거죠
하늘하늘
+ 25/05/25 00: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재명 발언을 제대로 들었는지 궁금해지는 발언이네요.
그 그림은 이재명의 정책인 '지역화폐' 정책의 효과를 설명하는 수단으로 예시한거고
늘 그렇게 설명했습니다.
단지 이준석후보가 지역화폐에 대해 질문하는게 아니라 논란이 되었던 그 그림 자체에 대해 질문을 했기때문에 답변을 한것 뿐입니다.
+ 25/05/24 22:07
수정 아이콘
어떤 대통령이던 쇼앤프루브는 다 할려고 했으니
일단 지역화폐 활성화는 무적권 할 듯 합니다.
(여자)아이들
+ 25/05/24 22:17
수정 아이콘
사회적 약자와의 동행, 보살핌을 해주길 바랍니다. 이재명은 다른 몇 후보들처럼 기득권과 상류층을 위한다는 말을 한 적이 없는 걸로 압니다.
+ 25/05/24 22:30
수정 아이콘
아파트 값은 오를겁니다. 여기까지는 수순이라고 봐요
솜니움
+ 25/05/24 22:44
수정 아이콘
예전의 "값싸고 가성비 좋은 어쩌구~" 하는 한국의료 시대는 누가 어떻게 하든 이제 끝났다고 봅니다.
지난 정권(주범)과 국민(공범) 합심으로 건드리면 안될 부분을 건드렸거든요.
아니라고, 앞으로 좋아질 거라고 현실부정하는 분들은 행복한 분들입니다.
적어도 본인과 가족에 아픈 분이 없다는 뜻이니까요....(계속 그렇게 몸관리 잘하시면 됩니다.)

그럼 어떻게 될까? 아파트 청약통장을 생각하면 쉽습니다.
누군가는 운좋게 값싸고 가성비 좋은 의료를 계속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대다수는 그렇지 못할 것입니다.
덴드로븀
+ 25/05/24 23:22
수정 아이콘
https://policy.nec.go.kr/
[정당별 10대 공약]
공약제목 : 재원조달방안

[더불어민주당]
1. 세계를 선도하는 경제 강국을 만들겠습니다. : 정부재정 조정 및 총수입 증가분으로 충당.
2. 내란극복과 K-민주주의 위상 회복으로 민주주의 강국을 만들겠습니다. : 정부재정 조정 및 총수입 증가분으로 충당.
3. 가계·소상공인의 활력을 증진하고, 공정 경제를 실현하겠습니다. : 정부재정 조정 및 총수입 증가분으로 충당.
4. 세계질서 변화에 실용적으로 대처하는 외교안보 강국을 만들겠습니다. : 정부재정 조정 및 총수입 증가분으로 충당.
5.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나라를 만들겠습니다. : 정부재정 조정 및 총수입 증가분, 건강보험 별도 논의.
6. 세종 행정수도와 ‘5극 3특’ 추진으로 국토균형발전을 이루겠습니다. : 정부재정 조정 및 총수입 증가분으로 충당.
7. 노동이 존중받고 모든 사람의 권리가 보장되는 사회를 만들겠습니다. : 정부재정 조정 및 총수입 증가분으로 충당.
8. 생활안정으로 아동·청년·어르신 등 모두가 잘사는 나라를 만들겠습니다. : 정부재정 조정 및 총수입 증가분으로 충당.
9. 저출생·고령화 위기를 극복하고 아이부터 어르신까지 함께 돌보는 국가를 만들겠습니다. : 정부재정 조정 및 총수입 증가분으로 충당.
10. 미래세대를 위해 기후위기에 적극 대응하겠습니다. : 정부재정 조정 및 총수입 증가분으로 충당.

[국민의힘]
1. 자유 주도 성장, 기업하기 좋은 나라 : 기존 재원 활용, 추가 재정 소요 없음.
2. AI·에너지 3대 강국 도약 : 국비, 민간/글로벌 기업 투자 유치.
3. 청년이 크는 나라, 미래가 열리는 대한민국 : 국비/지방비, 기존 예산 재조정, 공공기금 활용.
4. GTX로 연결되는 나라, 함께 크는 대한민국 : 민자 유치, 국비/지방비, SOC 예산 재조정.
5. 중산층 자산증식, 기회의 나라 : 재정 소요 없음, 세제 개편/규제 완화로 세수 증대.
6. 아이 낳고 기르기 좋은 나라, 안심되는 평생복지 : 예산 조정, 효율성 제고, 국비/지방비/기금 활용.
7. 소상공인, 민생이 살아나는 서민경제 : 재정 재조정, 국비/지방비 활용.
8. 재난에 강한 나라, 국민을 지키는 대한민국 : 안전 분야 예산 우선, 기금 확충, 세수 기반 활용.
9. 특권을 끊는 정부, 신뢰를 세우는 나라 : 재원 소요 없음.
10. 핵을 이기는 힘, 튼튼한 국가안보 : 국방 예산 혁신/재조정, 안보/복지 투자 우선.

[개혁신당]
1. 대통령 힘빼고 일 잘하는 정부 만든다 : 부처·위원회 통합/효율화로 예산 절감.
2. 중국 베트남 공장을 다시 대한민국으로 : 리쇼어링 증가로 세수 확보, 기존 예산 재편성.
3. 지자체, 법인세 자치권 부여로 지방 경쟁력 강화! : 지방교부금 조정 활용, 별도 재정 투입 없음.
4. 최저임금 최종 결정 권한 지자체에 위임 : 기존 예산 범위 내, 지역경제 활성화 세수 증가.
5. 국민연금, 신-구 연금 분리가 유일한 해결책 : 구연금 국고 투입 최소화, 신연금 개인 납입.
6 .교권 보호를 위한 교사 소송 국가책임제 및 학습지도실 제도 도입 : 기존 교육청 예산 재편성, 비용 절감 효과 기대.
7. 5천만원 한도 든든출발자금으로 청년의 도전 응원! : 청년/학자금 예산 재편성, 추가 부담 최소화.
8. 현역대상자 가운데 장교 선발 한다 : 기존 예산 재배치, 등록금 지원, 간접비 절감.
9. 압도적 규제 혁파 위한 ‘규제기준국가제’실시 : 기존 예산 통합 활용, 투자/간소화 유인, 비용 절감.
10.‘과학기술 성과연금’ 및 ‘과학자 패스트트랙’ 등 「국가 과학영웅 우대제도」 도입 : 기존 연구 관련 예산 조정, 성과 차등 지급.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213175
공지 [일반] [공지]2025년 대선을 앞두고 선거게시판을 오픈합니다. [4] jjohny=쿠마 25/04/04 3064
공지 [일반] 선게에 단축키가 부여되었습니다. ( 8 키) [9] jjohny=쿠마 22/01/11 37906
6821 [일반] KBS 3000명 면접 여조 이재명 49%·김문수 34%·이준석 8% [11] 빼사스1081 25/05/25 1081
6820 [일반] 연금 개혁은 어떤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가? [38] 김은동1290 25/05/25 1290
6819 [일반] 일베글 81만건 분석한 작가 "제도화된 일베 현신, 그게 이준석" [414] 체크카드6534 25/05/24 6534
6818 [일반] 이재명 미세먼지 발언 관련 개혁신당발 팩트체크 [104] 전기쥐4036 25/05/24 4036
6817 [일반] 이번 선거 간단히 정리해보겠습니다. [36] akroma2082 25/05/24 2082
6816 [일반] 구조적 성차별에 관한 합리적 근거란 존재하는가? [63] meson1349 25/05/24 1349
6814 [일반] 이재명은 어떤 정책을 펼칠까요? [15] kokoko1437 25/05/24 1437
6813 수정잠금 댓글잠금 [일반] 뉴스공장 열혈 시청자 영포티 A씨는 이해 못하는 이준석의 힘 [364] tunatuna9565 25/05/24 9565
6812 [일반] 이준석은 후보융합의 꿈을 꾸는가? [166] 군령술사5436 25/05/24 5436
6811 [일반] “하느님 너무하십니다…” [33] 체크카드4002 25/05/24 4002
6810 [일반] 이재명은 왜 부정선거에 경도되었나? [46] 파편3968 25/05/24 3968
6809 [일반]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에너지 정책에 대한 이준석 후보의 생각은? [82] 사조참치3699 25/05/24 3699
6808 [일반] 개혁신당의 '과학기술 성과연금’ 및 ‘과학자 패스트트랙’ 등 「국가 과학영웅 우대제도」 공약 비판 [36] 바람돌돌이2619 25/05/24 2619
6807 [일반] 간병비 급여화 문제에 대해서 저는 적극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31] 김은동2653 25/05/24 2653
6806 [일반] 2차 토론회 개인적인 짦은 품평. [26] 굿샷2254 25/05/24 2254
6805 [일반] 이준석이 갈라치기를 하고 있다? 저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825] 무한의검제10112 25/05/24 10112
6804 [일반] 이재명 100조 공약 관련해서 [52] 좁쌀3928 25/05/24 3928
6803 [일반] 89년생 민주당 골수 지지자가 이번 대선에서 이준석에게 표를 주려는 이유 [297] 귀연태연9041 25/05/24 9041
6801 [일반] 대선 토론회 형식의 변화가 필요해보입니다. [28] 분당선1954 25/05/24 1954
6799 [일반] 2차 토론 후기 [136] 카레맛똥8887 25/05/23 888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