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05/24 00:50:14
Name 분당선
Subject [일반] 대선 토론회 형식의 변화가 필요해보입니다. (수정됨)
얼마전 김준일 시사 평론가였나요? 정확히는 기억이 안나는데 누군가가 한 이야기가 참 공감이 많이 됐습니다.
저는 현재 토론회 룰이 토론이 생산적인 방향으로 흘러가지 않고 극단적인 상황으로 치닫게 만들고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지금의 토론회 방식은 하이라이트 뽑는 무대로 점점 변질되는 느낌입니다.
- 상대방을 공격하기, 그리고 그것을 되치기
- 그리고 그 소스를 뽑아내어 쇼츠, 릴스, 유튜브 영상으로 박제시켜 사람들의 뇌리에 각인 시키기

이러한 도구로 전락하다보니 건설적이고 차분한 토론이 진행이 되지 않습니다.

1. 우선 후보들을 자리에 앉혔으면 좋겠습니다.
- 스테이지에서 서서 이야기를 하는것이 생각보다 긴장도 되고 경직도 됩니다.
그러다보니 상대의 이야기를 차분하게 듣지 못하게 만드는 부작용이 있는것 같습니다.
- 앉아서 차분하게 상대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동의하는 부분은 동의하고, 반박하고 싶은 것은 반박하는것이 토론회의 정수 아니겠습니까.

2. 충분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 한 스테이지에 4명을 모두 모이게 하는것보다 요일별로 1:1로 돌아가며 하는게 좋아보입니다.
- 한시간이라는 충분한 시간을 주고 1:1로 대화를 하다보면 나에게도 충분히 반박할 시간적 여유가 있다는 안정감이 생기게 되고
- 그러면 상대방의 이야기를 캄다운된 상태에서 듣게 됩니다.

3. 사회자의 개입이 필요합니다.
- 능력이 훌륭한 사회자가 적절하게 개입하면, 토론이 논점 이탈되어 이상하게 흘러가는 경우 그것을 잡아줄 수 있습니다.
- 미국 토론회쇼를 보면 사회자가 이런 롤을 잘 수행합니다.
- 현재 사회자는 시간이 있다 없다 정도만 안내하고 있습니다.

문득 이 세가지의 조건을 갖춘 포맷이 MBC 백분토론과 비슷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이번 대선이야 세번 중 두번이나 지났으나 어쩔 수 없다 치더라도
다음 대선부터는 이런 형식이 도입되면 좋겠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수메르인
+ 25/05/24 00:54
수정 아이콘
지금 이건 토론이 아니라 그냥 순발력 테스트에요. 누가 더 먼저 상대가 빠르게 대답 못할 거 찾아서 던지는 게임. 네 후보 모두 이런 정도의 정치인이 아니고 나름 비전과 정견이 있을텐데 이걸 하나도 못 보여주고 있습니다.
분당선
+ 25/05/24 00:54
수정 아이콘
진짜 순발력 테스트라는 것에 매우 공감합니다.
미카엘
+ 25/05/24 00:54
수정 아이콘
후보 넷이면 일대일 총 6회. 시간 제한 없이 끝장 토론 여섯 번 보고 싶습니다.
분당선
+ 25/05/24 00:54
수정 아이콘
저는 그것이야말로 진정한 토론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조참치
+ 25/05/24 00:54
수정 아이콘
그런데 기존 토론회의 룰이 지금과 많이 달랐던가요? 늘 대선토론에 대해서는 비판이 많았던 거 같은데..
다만 마주앉고 긴 시간 들여서 토론 차분히 하라고 할 거면 아예 주요 당직자들까지 다 참여하는 형태로 바꾸는 게 나을 수 있습니다. 솔직히 지도자에게 '모두 빽빽하게 다 알아라' 하기엔 좀 애매하거든요... 대선후보들끼리만 모아놓는 순간 이미 '생산성'은 어느 정도 포기한다고 생각합니다.
수메르인
+ 25/05/24 00:57
수정 아이콘
지지난 대선 토론 방식도 말이 좀 나왔던걸로 기억하는데 차라리 그게 나아보입니다. 각 후보별로 PPT 발표하면서 주거니 받거니 하는 방식이었죠. 지금 이 토론 꼬락서니보니까 그 당시 방식이 정말 선녀네요.
분당선
+ 25/05/24 00:57
수정 아이콘
저도 토론회에 시청각자료들도 적극 활용되면 좋을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사조참치
+ 25/05/24 01:00
수정 아이콘
그것도 있고 아예 답변하기까지 준비시간도 좀 주고 하는 것도 좋겠죠.
그런데 솔직히 제대로 된 '토론'을 하려면 대선후보들만이 아닌 주요 당직자들까지 다 참여해서 의견 나누는 과정 자체가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그렇지 않으면 어차피 큰 의미가 있을까.. 싶어요.
대선토론은 이 사람이 어떤 사람인가를 슬쩍 살펴보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수메르인
+ 25/05/24 01:24
수정 아이콘
그렇게 한다면 많은 인재풀과 조직을 가동할 수 있는 거대정당이 많이 유리하겠죠. 실질적으로 대통령이 탄생할 여지가 있는게 두 거대정당 중 하나라는 걸 생각하면 맞는 방식이겠지만 글쎄요.. 군소후보들에겐 너무 가혹한 룰이 아닐까요
사조참치
+ 25/05/24 02:42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전 지금 여기서 어떻게 하는 것도 좀 애매하다고 봅니다. 공약의 건전성이나 합리성도 결국 거대정당의 강점인데 지금 토론은 그걸 약화시키고.. 그렇다고 전문가들까지 참여해서 제대로 펼쳐놓고 검증하려면 군소후보들이 묻히죠.
그래서 세세한 룰 변경은 있어도... 토론 정도는 할 수 있는지, 대략 어떤 사람이고 어떤 방향성이 있는지 확인하는 지금의 방식 이상으로 뭔가를 더하기엔 미묘한 느낌입니다.
도롱롱롱롱롱이
+ 25/05/24 00:55
수정 아이콘
사회자 두고 사항별 자기 정책 말하는 시간 가지고, 그 후 토론을 시작합시다.
정책 없으면 마이크 끄고, 머리 위에 정책 없음 띄워놓죠.
분당선
+ 25/05/24 00:58
수정 아이콘
지금 개인에게 주어진 시간이 너무 짧다보니, 다들 급해보입니다. 여유가 좀 생겼으면 좋겠어요.
짭뇨띠
+ 25/05/24 00:57
수정 아이콘
할 것이면 회수와 시간을 두배로 늘려주고 하브루타식으로 진행됨이 좋아보입니다.
과거 노무현 vs 이회창 토론같은 식으로요.
분당선
+ 25/05/24 00:58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요즘 알고리즘에 뜨는 그 영상을 보면 참 지금도 그렇게 진행되면 좋겠다 생각이 들더라구요.
마키의신화
+ 25/05/24 01:03
수정 아이콘
4명 모두 답변시간에 질문에 답은 안하고 지 할말만 하고 있어요..
한 여름의 봄
+ 25/05/24 01:08
수정 아이콘
진짜 좀 앉아서 했으면 좋겠어요. 두 시간 동안 서있는 거 애들도 힘들어하는데 늙은 사람들이 대부분인 대선판에서 서있게 하는 룰이라니...
+ 25/05/24 01:09
수정 아이콘
(수정됨) 개인적으로는 비교적 김준일 평론가의 의견에 동의하는 편이지만 서있어서 짜증낸다는 것에대해서는 부정적입니다. 서있어서 짜증내는 것도 봐야 하지 않을 까요... 기껏해야 두어 시간인데...
+ 25/05/24 01:13
수정 아이콘
지금 토론은 선관위측이 '욕을 안먹는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이죠.
매우 민감한 사안이기때문에 재미나 몰입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서로간의 유불리를 모두 제거한 '룰을 위한 룰'로만 구조가 짜져있구요.
사실 후보자들끼리 합의해서 룰이 없는 자유토론을 진행하면됩니다. 근데 그렇게 되면 누군가는 반드시 불리해지죠. 토론을 더 못하는쪽이요.
뭐 그런 그림이 나올리는 없다고 봅니다.
+ 25/05/24 01:18
수정 아이콘
질문을 왔으면 답을 해야지 역질문 해놓고 시간없어요 이래버리면 이뭔
분당선
+ 25/05/24 01:20
수정 아이콘
아.. 글쓴이로서 이 글에서는 후보자 이야기가 아닌 토론회 룰에 대한 이야기만 논의되었으면 합니다.
+ 25/05/24 01:50
수정 아이콘
사회자가 제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슈렐리아
+ 25/05/24 01:58
수정 아이콘
다루어야 할 사항은 많은데 후보는 많고 시간은 부족하니 정책에 대해서 심도있게 공격하거나 방어 할 수가 없어요. 그리고 후보에 대해 공격하는게 당장은 지지자 결집과 상대방 이미지 훼손을 이끌어내니까 다들 쉬운 길로 가죠.
현실적으로 공약 전반에 대해서 다룰 수 없다면 차라리 자격있는 후보가 네 명 이상일 때는 후보 하나씩 스포트라이트를 주는게 어떤가 싶네요. 각 후보별로 대표 공약 하나씩 고르라 한 다음에 하루에 공약 하나를 두고 다대일 공방을 펼치는 게 좀더 건설적이지 않을까요.
Quantum21
+ 25/05/24 02:36
수정 아이콘
[사회자의 개입하여 토론이 생산적이 되도록 유도한다]는 아주 어려운 문제일수 있습니다.
사회자의 개입이 크면 클수록 사회자가 가진 "정치적성향"에 대한 문제 제기가 없을수가 없습니다.
요즘같이 극단화가 강요되는 시대에는 양쪽 진영이 모두 동의하는 [객관적]인 사회자를 만나는건 불가능에 가까울 겁니다.
아이군
+ 25/05/24 03:0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도 이 문제를 지적하고 싶습니다. 특히 한국은 악명높은 한국논단발 대선 토론회도 있었죠

지금 시스템이 영 별로긴 한데 이게 워낙 아픔이 많아서...
https://www.youtube.com/shorts/BtDPLnYE-FU

심심해서 검색해보니 왜 한국의 대선 토론이 본문의 형태에서 지금의 형태가 되었는지 잘 볼 수가 있네요....
1. 후보자를 자리에 앉혀서 2. 소수만 불러서 충분한 시간동안 3.사회자가 적극적으로 개입해서 [김대중은 빨갱이다]라는 주장을 6시간 동안 주장했으니... 이거 본 사람들이 기겁해서 토론회 방법을 갈아엎을 만 하죠...

물론 오래전 일이라서 지금도 설마 이렇게 까지 하겠냐... 싶긴 하지만 지금 사회자들이 다 중립적이라는 보장은 없으니깐....
음... 좀 고민 해봐야 겠네요
+ 25/05/24 03:31
수정 아이콘
현 토론 시스템이 정말로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좋아하는 후보던 싫어하는 후보던 제대로 좀 들어보고 싶은데 맨날 시간이 말하다 끊기고 주제에 의견 끝까지 들어 보지도 못하고 그냥 오늘 보다가 꺼버렀네요.
유료도로당
+ 25/05/24 08:21
수정 아이콘
선관위의 제1 목표는 어느 후보가 말 더 했네 덜 했네 소리 안나오게 "공정하게" 하는것에 있고, 정확히 발언 시간을 초단위로 일치시키는것이 제일 중요하다보니... 그 외에는 곁가지에 불과하죠.

딥한 토론은 선관위 외에 후보들끼리 합의해서 하면 됩니다. 예를들어서 [양당 후보끼리 1:1토론 합시다] 하고 이재명-김문수가 합의하면 그냥 자유롭게 형식 합의해서 하면 되는것이죠. (근데 이뤄지기 힘들죠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213108
공지 [일반] [공지]2025년 대선을 앞두고 선거게시판을 오픈합니다. [4] jjohny=쿠마 25/04/04 2992
공지 [일반] 선게에 단축키가 부여되었습니다. ( 8 키) [9] jjohny=쿠마 22/01/11 37811
6805 [일반] 이준석이 갈라치기를 하고 있다? 저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200] 무한의검제3075 25/05/24 3075
6804 [일반] 이재명 100조 공약 관련해서 [46] 좁쌀2996 25/05/24 2996
6803 [일반] 89년생 민주당 골수 지지자가 이번 대선에서 이준석에게 표를 주려는 이유 [231] 귀연태연6287 25/05/24 6287
6801 [일반] 대선 토론회 형식의 변화가 필요해보입니다. [26] 분당선1570 25/05/24 1570
6799 [일반] 2차 토론 후기 [133] 카레맛똥8263 25/05/23 8263
6798 [불판] 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초청 2차 토론회 (2) [381] Pelicans12590 25/05/23 12590
6797 [불판] 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초청 2차 토론회 [379] Pelicans20049 25/05/23 20049
6794 [일반] 오늘 발표한 이준석 개헌안 생각 [240] 다크서클팬더10912 25/05/23 10912
6793 [일반] 민주주의의 관용과 상대주의 [21] 남편2798 25/05/23 2798
6792 [일반] 지귀연 "후배들 밥 사주고 주점 들러 찍은 사진... 술은 안 마셔" [86] a-ha7716 25/05/23 7716
6791 [일반] [한국갤럽] 이재명 45%, 김문수 36%, 이준석 10%, 유보 8% [58] 철판닭갈비5195 25/05/23 5195
6790 [일반] 여론조사로 가늠해볼 수 있는 김문수-이준석 단일화 효과 [87] 전기쥐4304 25/05/23 4304
6789 [일반] 김문수 지지자들 앞에서 이재명 지지선언을 한 손학규(?) [27] SaiNT5186 25/05/22 5186
6787 [일반] 정치 브로커 명태균과 어제(21일) 통화한 이준석 [135] Rio11302 25/05/22 11302
6786 [일반] [속보] 이준석 “단일화 없다... 끝까지 내 이름으로 승리할 것” [55] 사이프리드6349 25/05/22 6349
6782 [일반] 이번 대선 이재명 득표율 예상해봅니다. [44] 홍철4225 25/05/22 4225
6781 [일반] 이준석 "국회 해산권 긍정적으로 생각" [252] 전기쥐12828 25/05/22 12828
6780 [일반] 보수유권자로서 이재명 후보에게 바라는 거 딱 하나. [77] 국힙원탑뉴진스4089 25/05/22 4089
6779 [일반] [NBS] 이재명 46%, 김문수 32%, 이준석 10% [90] 철판닭갈비6078 25/05/22 6078
6778 [일반] 이재명 주춤, 김문수/이준석 상승세. [18] 아서스3461 25/05/22 346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