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7/04 00:49
문체부 국박 석박사 공무직 처우개선은 언급조차 없지요. 석박사급 연구원들이 정년까지 매년 1호봉 연봉(최저 임금+식대비)을 받으며 근무하고 있는 부분도 개선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25/07/04 01:15
문화산업 육성 이런거 나오는 것보다 현재 문화계 처우와 자율적으로 나아가게 물밑지원만 하면 좋겠어욤
+풀뿌리 문화사업도!!
25/07/04 01:41
하이브에서 넥슨쪽 사람들 데려와서 북짝대던 결과가 IM 자회사에서 뭐 한거 있나요.
정작 대표 지원님은 이미 오래전 관뒀고..과정에서 민희진사태 터진거고.. 민희진 호불호랑 별개로 뉴진스,피프티 사태에서 벌어진 근간엔 바로 이런 예술계노동자 처우가 근본적 이유입니다. 수십어 줬으니 됐다가 아니라 그 수십억 느껴보지도 개념잡히지도 못할만큼 어린 애들이 느낀 엔터계 실상이 이런 계 종같은 성장주의, 수치주의, 금권주의 가치관에 대해 진저리를 치는거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죠 니들 철이 없다 , 수십억 버는데 뭔 투정이냐...이따위 결과론적 평가로 얘기할게 아니라고요
25/07/04 02:05
르세라핌, 아일릿보다 더 나은 업계 최고 대우를 받은 뉴진스에게 예술계 노동자 처우를 운운하시는 건 본인도 이 산업의 이해도가 낮은 게 아닌가요; 이런 사람들이 뉴진스를 응원하는 건지.
차라리 메이딘, 오메가엑스 같은 사례를 언급하셨으면 공감했을텐데 말입니다. 폭행, 성추행을 당한 무명의 아이돌은 조명받지 못하면서 무시해(입증 못함)로는 국감까지 간 사건의 대비는 셀레브리티의 대중적 인기가 어떻게 권력으로 사용되는지 보여주었죠. 국회의원은 대중적 인기를 원하고, 셀럽은 정치적 권력을 원하고 서로의 이익이 결부된 야합이었을 뿐.
25/07/04 01:29
https://m.entertain.naver.com/home/article/241/0003440282
[이미경 CJ 부회장 美 연설, 온라인도 달궜다…‘아바타’ 조 샐다나까지 ‘리그램’] 2025.05.27. 각종 회사 사장 출신도 장관 후보자인 시대니까 이분이라도...?
25/07/04 01:52
고용노동부장관이 차라리 문화부장관을 맡아야 된다는 생각입니다.(이 시점에서는요) 뭔 겉으로 번지르르한 문화계 사람이 맡으면 오히여 근본적 문화계의 고질적 병폐는 해소되지 않고 가는거겠죠.(앞으로 가야할 케이컬처! 샷더마우스 다들 불쏘시개가 됩시다잉~~) 전 좌빨 아니고 우파에 더 근접합니다만, 이따위 열정페이 착취와 자본주의적 사기행각, 정부투자돈 빼먹고 이해관계에 얽힌 집단의 장난질에 떨려나는 종사자들이란 명제 앞에서는 검찰개혁,상법개정만큼이나 그냥 두고만 봐서는 될일은 아닙니다.
바꿔말해, 그런거 없이도 케이컬처는 잘 성장해 왔지 않냐라고 하는 사람이 있다면.. 굳이 과거사 뒤집어까지 않아도 현세는 잘 흘러나가고 있지 않느냐라는 의견과 같다고 밖에는 할수없네요
25/07/04 01:54
문화부가 아니라 문화체육관광부인만큼 허구연 총장이 왔으면 좋겠는데 힘들겠죠.
문학계는 도서정가제 입장이 뻔히 보이는지라 꺼려지고 만화계는 경험 쌓은 인물이 없으니 결국 영화나 엔터쪽에서 뽑아야겠네요.
+ 25/07/04 06:23
아이러니하게도 이익쉐어제 하는 순간 아예 프로젝트에 이름조차 못 올리거나 참여할 기회조차 박탈당하는 결과를 낳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형적인 의도와 현상이 불일치하는 결과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