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2/23 16:25
그렇지 않아도 최근 개봉한 영화 <콘클라베>를 보고 생각나서 찾아보니 위중한 상태시더라구요.
다시 건강하신 모습 뵐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25/02/23 16:45
[십자가를 지고 가지 않는다면], 세속적으로 우리는 주교요, 사제요, 추기경이요, 교황일 수 있지만, [주님의 진정한 제자는 될 수 없다.] 진정한 권위는 봉사라는 사실을 결코 잊지 말자. 아주 가난하고, 약하고,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는 사람들을 끌어안아야 한다.
나무위키의 프란치스코 교황 항목을 보았더니 이런 울림 있는 말씀을 남겼네요. 하루빨리 쾌차하시기를 바랍니다. https://namu.wiki/w/%ED%94%84%EB%9E%80%EC%B9%98%EC%8A%A4%EC%BD%94(%EA%B5%90%ED%99%A9)#s-8
25/02/23 16:55
프란치스코 교황은 1981년 교황 암살 미수 사건 이후 교황들이 방탄차를 타는 전통을 깬 분이시기도 하네요.
현 교황인 프란치스코 교황은 [정어리 깡통 안에서는 대화가 안 된다]고 딱 잘라 말하며 방탄차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 https://namu.wiki/w/%EC%9A%94%ED%95%9C%20%EB%B0%94%EC%98%A4%EB%A1%9C%202%EC%84%B8%20%EC%95%94%EC%82%B4%20%EB%AF%B8%EC%88%98%20%EC%82%AC%EA%B1%B4#toc
25/02/24 17:11
영화가 관심받을거 같다는 원댓글에 동의하는 글이었는데 (영화에게) 호재라는 말이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무식하게 쓰인거 같습니다. 반성하겠습니다.
25/02/24 18:24
원댓글, 영화가 관심받을 거 같다는 게 아니라 그냥 문자 그대로로 보는 게 맞은 해석이라 생각돼요. 나중에 사실 여부 결과를 떠나서..
25/02/23 18:33
일단 교황이 되는 과정이 너무 오래 걸리는 이유로
선출이 된 시점들이 다들 노인이 된 이후가 클겁니다. 교황이 되는 과정 1. 신부가 된다 (최소 7년 ~ 10년이상) 2. 주교가 된다 (우리나라의 주교는 가장 어리신분이 70년생) 3. 추기경이 된다 (대한민국의 추기경 : 염수정 안드레아[81세], 유흥식 라자로[73세]) 4. 교황이 선종하면 추기경중 한명이 교황이 된다.
25/02/24 20:32
(수정됨) 이론상 남성 가톨릭 평신도도 추기경들이 뽑기만 하면 교황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다만 아무래도 추기경들이 바람 타서 확 엎자 식으로 투표하지는 않으니까.. 만약 된다고 해도 교황좌의 본질은 로마 주교라, 솔직히 사제는 돼야죠.
25/02/23 20:29
베네딕토16세는 95세까지 장수해서 하려면 17년정도 할수 있었을겁니다. 근데 건강상 문제로 8년만에 퇴위했죠. 돌아가신지도 얼마안됨
25/02/23 23:00
요한바오로 2세가 역대 교황 중에 3번째로 길게 한 사람이라고 하더라고요
대충 2천년동안 266명이니 평균 약 8년정도니까 의외로 20년에 2명이면 오히려 평균보다도 길게 한 걸로 봐야;;;
25/02/23 18:59
가톨릭 아닌 사람이 봐도 '이런 말을 해도 되나 ?'
싶을정도로 파격적이면서도 관용적 행보를 보이시던분이라 존경스러웠는데 ..
25/02/23 20:56
(수정됨) 제가 기억하는 첫 번째 교황님이십니다.
신자로서 교황님의 검소하시고 겸손한 성품, 그리고 관용적이고 포용적인 모습들을 정말 존경했습니다…..부디 쾌유하시길 간절히 기도드립니다.
25/02/24 15:07
https://www.catholictimes.org/article/20240621500043
제37대 성 마다소 1세 교황(재위 366~384년)을 포함해 스페인에서 3명의 교황이 나왔다. 성 다마소 1세 교황은 오늘날의 포르투갈에서 태어났다는 기록도 있다. 또 발렌시아 지역 귀족 보르자 가문에서 교황이 두명 나왔죠. 아 혹시 스페인어권이라는 표현이 스페인은 제외하고 말하는건가요?
25/02/24 15:31
(수정됨) 4세기는 스페인어라는게 존재하지도 않았을 시절이니 그냥 그대로 봐도 딱히 틀린표현은 아닌 것 같습니다.
보르자 가문은.. 그러게요?
25/02/24 15:12
이탈리아가 많이 해먹은건 알고 있었는데 생각했던것보다도 훨씬 훨씬 훨씬 더 많이 해먹었네요
우리가 많이 기억하는 현대 들어서는 이탈리아 출신 교황은 본적이 없는 것 같은데 말이죠
25/02/24 16:40
모든 믿는 이들의 목자요 인도자이신 하느님,
하느님의 일꾼 프란치스코 교황을 교회의 목자로 세우셨으니 그를 인자로이 굽어보시어 올바른 말과 행동으로 맡은 양떼를 보살피고 마침내 그들과 함께 영원한 생명에 이르게 하소서. 우리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아멘.
25/02/24 18:22
무교로써 평소 교황님의 행보에 참 감명을 받았습니다. 그러다 두 교황을 보면서 교황님의 다른 부분도 알게 되었습니다.
복잡한 기분이 들면서도 그럼에도 복음의 최전선으로 나아가시려는 자세에서 많은 가르침을 받았습니다. 제 삶에 교황이 몇 분이 더 계실지는 모르겠지만 가장 많은 배움을 받은 분으로 기억할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