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5/23 02:17:14
Name 신불해
Subject [일반] 정몽주 "피눈물을 흘리며, 신이 하늘에 묻겠습니다."




고려 말은 극도의 정치적 대혼란기였습니다. 


한반도의 남과 북에서 외적이 셀수도 없이 쳐들어와 민생이 칼날에 유린되었고, 몽골의 침입과 그 칼로 인해 재편된 비정상적 정치 체계는 후대로 갈수록 점점 더 큰 모순을 낳았습니다. 무언가 고치려고 해도, 어디서부터 고쳐야할지 알 수도 없을 지경에 이를 정도였습니다.



이런 복잡한 모순 중에 대표적인 부분을 하나 소개하자면... 원 나라 간섭기의 고려 사회에서 개혁을 하자고 부르짖고 폐단을 고치고자 한다면, 결과적으로 이는 자주적인 움직임으로 이해 받는 것이 일반적인 시각일 것입니다.



실제로 고려 중후반기에서는 이런 움직임이 몇번 있었습니다. 이를테면 폭정을 펼치던 충혜왕이 쫒겨나고 충목왕이 즉위하며 전대에 대한 반성 분위기와 더불어 개혁 논의가 벌어졌던 적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개혁 논의를 지원하고, 그 개혁 논의를 추진하는데 가장 큰 기반이 된 힘은 어디에서 나왔을까요?



기황후에 대한 이미지 검색결과




바로 원나라 황제 순제와 그 아내인 기황후였습니다. 아니.... 이게 대체 무슨 말인가?



당시 개혁파의 중추였던 왕후나 이제현 등은, 원나라 황제인 순제와 기황후의 전언을 개혁 논의의 주된 명분으로 삼았고, 개혁 논의에 반발이 있을때마다 '황제의 명령' 이라는 요소를 소위 말하는 치트로 삼았습니다. 그리고 논의가 지지부진해지면 직접 원나라로 가서 황제를 만나기도 했구요.


그리고 이 개혁 논의가 일단락 된것도, 기황후의 기씨 일족의 사람인 기삼만이 장형을 받고 맞아 죽자 상황이 바뀌어 반개혁파가 개혁파를 누르게 된 것이 계기였습니다.



이게...참 이상하지 않습니까? 개혁파는 '원나라 황제' 의 명령을 앞세워 개혁을 부르짖습니다. 그러면서 막강한 권문세족과 맞상대 합니다. 권문세족의 기득권과 싸우고 싸우다가 그 근원까지 가다보면 나타나게 되는것은 원나라의 정동행성(征東行省)인데, 이 정동행성은 원나라 조정의 중서성에 속해 있습니다.



대체 이게 뭘까요? 원나라와 확실하게 선을 그으려고 시도를 해본 공민왕 이전에 추진된 개혁정책은 바로 그런 모순을 가지고 있습니다. 개혁을 추진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힘은 원나라 황실인데, 당연하게도 그 힘을 빌려서 개혁을 하려고 하다보면 결국 원나라의 조직을 건들게 됩니다.



말하자면 결국 대리점 싸움입니다. 모순의 큰 원인의 힘을 빌려 그 모순을 제거하려고 했으니, 결국 실패할 수 밖에 없습니다. 더 자세하게 이야기하자면 한도 끝도 없어질테니 여기선 줄이겠지만, 이런 점만 보더라도 고려 말기 정치의 복잡함과 꼬일대로 꼬인 상황의 어려움은 어느정도 전해졌으리라 생각합니다.



CM1YFYj.jpg



그런 상황에서 개혁을 기치로 내세운 공민왕이 겪었을 어려움이 어느정도였을지는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차라리 적이 확실하다면야 목소리 높이고 맞서 싸우면 됩니다. 하지만 피아의 경계조차 불분명한 안개 속에서 헤메는 것은 이루 말할 수 없는 고통입니다. 내부적 상황만으로도 그런데, 외적은 끊임없이 쳐들어왔습니다. 결국 공민왕은 현실에 짓눌리고 찌들렸고, 점점 패배로 나아갔습니다.




gOz3bqf.jpg



공민왕 시기 숱한 외적의 침입중에서 '일상' 의 영역에서 모든것을 마비 시켜버렸던 것은 단연 왜구의 침입이라고 할 수 있지만, '가장 거대한 일격' 은 홍건적의 침입이었습니다. 무려 수십만에 달하는 홍건적이 중국에서 몰려들었던 겁니다. (사실 고려에 온 이 '수십만' 의 홍건적 조차 전체 홍건적 세력 중에선 일부에 불과했지만)



수도마저 홍건적에게 점령되는 최악의 상황에서, 고려 조정은 일반 백성은 물론이고 노비들까지 당근으로 유혹하며 무기를 들 수 있는 남자란 남자는 어떻게든 끌고 와 20만이라는 군사를 긁어 모았습니다. 그리고 개경 포위전에서 승리를 거두면서 최악의 위기 상황을 빠져나올 수 있게 됩니다.



최악의 상황에서 거둔 대승리. 아니, 승리를 떠나서 단시간 내에 엄청난 대병력을 집결시킨 계획과 추진력 역시 놀라운 성과였습니다. 이것이 가능했던 것은, 다름 아닌 정세운이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image.jpg

드라마 신돈의 정세운.




최악의 위기에서 말도 안되는 추진력이 발휘될 수 있었던 것은, 당초 산만한 지휘 체계를 일원화 시키기 위해 정세운이 '전권' 을 일임했기 때문에 가능했습니다. 정세운은 공민왕에 의해 총병관이 되어 모든 명령을 통제했고, 명령을 어기는 사람은 독자적으로 처벌할 수 있는 권한을 받았으며, 심지어 본래 일을 결정하는 기구인 도당의 권한도 뛰어넘었습니다.




...정세운이 도당()으로 가 분연히 소리를 높였다.

“나는 극히 한미한 출신으로, 나 같은 자가 재상이 되었으니 나라가 어지러워지는 것도 당연한 일이다. 죽령(嶺) 이남의 거주자로 주상을 호종한 사람들에게는 양곡을 지급하지 않고 종군하도록 결정이 이미 내려졌는데, 지금 왜 시행되지 않는가? 국가 기강이 이와 같으니 어찌 난국을 바로 잡을 수 있겠는가?”

이어 유숙()에게, 자신이 내일 출정할 것이니 가서 군대를 점검하라고 지시했다. 유숙이 전 부대가 이미 죽령()의 대원()에 당도해 있다고 보고하자, 정세운은, “부대가 늦게 집결하면 공도 책임을 면할 수 없을 것이오!”라고 엄포를 놓자 유숙이 즉시 가서 집결을 독촉하였다.

- 고려사 정세운 열전



왕이 권천우(權天祐)를 보내어 의복과 술을 내려주자, 정세운이 그 편에 다시 아뢰었다. “장수 가운데 적을 잡았다는 보고를 하는 사람이 있더라도 먼저 포상할 일을 결정하지 마소서. 저도 비록 적을 포획하더라도 보고를 감히 올려 역마를 번거롭게 하지 않을 것이며 큰 전투가 끝난 후 모든 전황을 보고하여 올리겠습니다." - 고려사 정세운 열전



 소개된 이야기들을 보면 알 수 있지만, 당시 정세운은 도당의 중신들을 꾸짖고 그 일원들에게도 대놓고 "제대로 하지 않으면 당신들도 처벌하겠다!" 고 하는 가 하면, 공민왕이 전쟁 중 공을 세운 인물에게 상을 보내자 "먼저 상 주는것을 의논하지 마시라." 는 등 그야말로 전시 총지휘관으로 행동했습니다. 이런 절대적 권한을 신하에게 위임하는 것은 왕 입장에선 대단히 위험천만 하지만, 당시 공민왕은 다른 방법이 없었기에 그렇게 했습니다. 그리고 결국 이런 조치로 인해 단시간 내에 많은 병력을 모을 수 있었고, 최악의 상황에서 승리를 거두게 됩니다.



그리고 전쟁이 끝난 지 4일 뒤, 정세운은 살해당합니다.


정세운을 죽인 것은 다름 아닌 정세운과 함께 전투에서 큰 공을 세운 안우, 이방실, 김득배 세 사림이었습니다. 그리고 이들은 기본적으론, 왕이 내린 명령서에 따랐을 뿐입니다. 그리고 그 왕이 내린 명령서는, 정세운과 사이가 좋지 않고 서로 공민왕에 대해 충성 경쟁을 하던 김용의 조작으로 이루어진 것이었습니다.


김용은 거짓명령서를 그들에게 전함과 동시에, 안우에겐 평소 정세운이 그를 시기하고 다녔다는 말도 늘어놓았습니다. 이런 간계에 안우와 이방실은 정세운을 바로 죽이려고 했고, 다만 김득배만이 신중론을 이야기하며 "일단 정세운을 체포하고, 왕에게 보내 일을 처리하도록 맡기자." 고 했지만 결국 다른 원수들의 등쌀에 못 이겨 정세운을 죽이고 맙니다.



이 정세운 살해 사건은 기록상으로는 김용의 '거짓 왕명' 이지만, 실제로는 공민왕의 음모가 아니었느냐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공민왕이 뒤에서 손을 썻는지, 그냥 김용의 돌출 행동이었는지는 확언할 수 없지만, 일단 확인되는 것은 공민왕이 끼어들었는지는 몰라도 조정 원로 대신들의 '묵인' 있었던 것은 거의 확실해 보입니다. 정세운이 죽은 뒤, 도당에서 대신들에게 큰소리 쳤던 일을 꺼내들어 "그때 말과 용모가 매우 거만했으니 이렇게 된 것은 마땅한 일." 이라고 말하는 사람까지 있었기 때문입니다.



일단 왕을 대리하고 있던 정세운을 죽인 것은 반란을 의미하는 것일 수도 있기 때문에(일선 병사들이 아직 3원수의 손에 있었으니만큼 더더욱) 분위기는 이상야릇해졌고, 공민왕의 출두 명령에도 불구하고 세 사람은 무언가 확신하지 못하고 머뭇머뭇 거렸습니다. 그러다 한달의 시간이 지난 후 결국 안우가 (반란 대신) 공민왕을 만나러 출두했지만, 그는 중문에서 문지기에게 잡히고 말았습니다.



만약 안우가 조정에 들어와 이야기를 꺼내면 김용의 음모(인지 혹은 그 뒷사람의 음모인지는 몰라도)가 밝혀지게 됨으로, 안우는 조정에 들어가지도 못하고 김용이 보낸 자객에게 철퇴를 얻어맞았습니다. 안우는 죽기 전에 세번이나 주머니를 흔들면서 "조금만 늦추어주어라. 부디 임금 앞에 나아가 주머니 속의 글을 드리고 죽겠다." 고 소리쳤는데, 안우의 주머니에는 김용이 전한 공민왕의 서신이 들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안우는 그것을 꺼내지도 못하고 또다시 철퇴를 얻어맞고 죽었습니다.



이때 함께 오지 않았던 이방실과 김득배는 도망쳤지만 현상금이 걸렸고, 가족들이 잡혀와 지독한 고문을 당한 끝에 행방이 밝혀져 결국 잡혀서 참살 되었습니다. 불과 얼마전 홍건적에 맞서 나라를 지킨 영웅들은 목이 달아난 귀신이 되었습니다. 대다수 일반 사람들에게 이 일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안우가 죽을 무렵)안우의 아들은 나이가 겨우 열 살 남짓했는데, 저잣거리에 나가 놀면 사람들이 다투어 그에게 먹을 것을 주면서, “지금 우리들이 편안히 먹고 자는 것은 세 원수(元帥) 덕분이다.”라고 했으며, 눈물을 흘리는 사람들도 있었다. - 고려사 안우, 김득배, 이방실 열전



그러나 '정치가' 들의 입장에선 달랐습니다. 앞서 말했듯 정세운이 죽을 무렵 "당연히 죽을만 했다" 는 말이 나오기도 했고, 안우가 죽을 무렵에 안우를 죽인 김용은 홍언박(洪彦博)·유탁·염제신(廉悌臣)·이암(李岩)·윤환(尹桓)·황상(黃裳)·이춘부(李春富)·김희조(金希祖) 등의 대신들과 함께 왕의 교지를 받들어 김득배, 이방실을 잡아 죽였습니다. 



즉, 이 일은 모두에게 공감대가 형성 되었던 일입니다. 김용은 자신의 라이벌을 죽였습니다. 정세운 등을 경계한 대신들은 이것을 관망했습니다. 그리고 공민왕은, 이 모든 일의 배후에 있거나 최소한 묵인했습니다. 그 결과, 공민왕은 전쟁을 막아내었고 전쟁을 막아낸 '위험인물' 들이 자연스레 사라지게 만들었습니다. 결과적으로 그들 모두는 득을 보았습니다.



무엇이 옳고 그른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 결과로 어떤 정치적 영향이 있었는가가 중요합니다. 비록 저잣거리 사람들이 "우리가 살게 된 것은 세 원수 때문이다." 라며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이 과정을 이해하는 사람들에게 있어 이런 모든 일들은 그저 불가피한 일이었을 뿐입니다. 극도의 모럴 해저드 상태에 상태에 놓인 고려 말의 정치적 현실이었습니다.



그러나 그 모든 이해를 집어치우고,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라고 하는 사람이 한 사람 있었습니다. 


바로 정몽주 였습니다.



cHV5CSw.jpg



당시 25살의 젊은 기린아였던 정몽주는 본래 김득배의 문생(門生) 이었습니다. 김득배가 죽자 정몽주는 공민왕에게 청해 시체를 거두고 수수습했고, 스스로 글을 지어 그 제사를 지냈습니다. 그런데 정몽주가 쓴 이 제문(祭文)은, 죽은 김득배에게 바치는 제문이라기보다는, 젊은 정몽주 본인이 느낀 시대에 대한 절망감 그 자체나 마찬가자인 내용입니다. 한번 보겠습니다.





“嗚呼皇天! 我罪伊何? 嗚呼皇天! 此何人哉? 盖聞, 福善禍淫者, 天也, 賞善罰惡者, 人也. 天人雖殊, 其理則一. 古人有言曰, ‘天定勝人, 人衆勝天.’ 天定勝人, 果何理也, 人衆勝天, 亦何理也? 往者, 紅寇闌入, 乘輿播越, 國家之命, 危如懸線. 惟公首倡大義, 遠近嚮應, 身出萬死之計, 克復三韓之業. 凡今之人, 食於斯寢於斯, 伊誰之功7)歟? 雖有其罪, 以功掩之, 可也. 罪重於功, 必使歸服其罪, 然後誅之, 可也. 柰何汗馬未乾, 凱歌未罷, 遂使泰山之功, 轉爲鋒刃之血歟? 此吾所以泣血而問於天者也. 吾知其忠魂壯魄, 千秋萬歲, 必飮泣於九泉之下. 嗚呼, 命也如之何, 如之何?”



아아, 황천이여! 




나의 죄가 무엇입니까? 




아아 황천이여! 




이 사람이 대체 누구란 말입니까? 




듣건대, 선한 자에게 복을 주고 악한 자에게 재앙을 내림은 하늘이며, 선한 자에게 상을 주고 악한 자를 벌하는 이는 사람이라 하였습니다.




하늘과 사람이 비록 다르다 하나 그 이치는 하나인즉, 옛 사람들이 말하길, 




 ‘하늘이 정한 운수는 사람을 이기나, 사람들의 중론은 하늘을 이긴다.’고 말했습니다. 




허나 하늘이 정한 운수가 사람을 이긴다는 것은 과연 어떤 이치이며, 




사람들의 중론이 하늘을 이긴다는 것은 또한 어떤 이치입니까?




지난날 홍건적이 침입하여 임금이 서울을 떠나셨습니다. 국가의 운 명이 한 가닥 실 끝에 달린 것처럼 위태로웠습니다. 




오직 공이 먼저 대의를 앞장서 부르짖자 온 나라가 호응하였으며, 몸소 만 번을 죽을 계책을 내어 능히 삼한의 대업을 회복하였습니다.




그러니, 




이제 오늘날 사람들이 이 땅에서 먹고 잠자는 것이 과연 누구의 공입니까?




비록 죄가 있더라도 공으로써 덮는 것이 옳을 것입니다. 




만일 죄가 공보다 무겁더라도 반드시 그 죄를 자복시킨 연후에야 베는 것이 마땅할 것입니다.




그런데 전쟁터에서 흘린 말의 땀이 아직 마르지도 않았고, 




그 개선의 노래가 아직 끝나지도 않았거늘, 




태산 같은 공로를 어찌하여 칼날의 피가 되게 하였습니까? 




이것이, 




제가 피눈물을 흘리며 하늘에 묻는 바입니다.




나는 그 충성스럽고 장한 혼백(魂魄)이 필시 아득한 후대에까지 구천(九泉)의 지하에서 눈물을 삼킬 것임을 잘 압니다.




아아, 운명이란 것이여,




어찌하리오,




어찌하리오!






이 정몽주의 비통한 심정이 절절하게 느껴지는 글은, 일찍이 사마천이 태초의 역사 첫머리를 기록하며 자문했던 것과 같은 것입니다.


'.... 혹자는 말한다. 천도(天道)는 특별히 친한 자가 없으며, 항상 선인과 함께 한다고. 그렇다면 백이와 숙제 같은 사람은 선인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은가? 이처럼 인을 쌓고 깨끗한 행동을 하였는데도 그들은 굶어죽고 말았다. 70명의 문도 중에서 공자는 안회만이 배우기를 좋아한다고 칭찬하지 않았던가? 그러나 안회는 굶기가 일쑤였고 술지게미조차 배불리 먹지 못한 채 젊은 나이에 죽고 말았다. 이것이 하늘이 착한 사람에게 보답하여 베푸는 것이란 말인가? (....)


나는 심히 당혹감을 금치 못하겠다. 도대체 천도라는 것은, 옳은 것인가 그른 것인가?' - 사기 백이숙제 열전 中




우리는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지금의 세계에서 살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안에서 답을 구합니다.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공을 세운 정세운과 삼원수를 죽이고, 묵인하고, 방조하고, 동의한 김용 및 대신들과 공민왕 역시 그렇다고 할 수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이해관계를 바꾸고, 상황에 따라 가치 판단을 달리 합니다. 그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입니다.


하지만 젊은 날의 정몽주는 자신 역시 현실에 존재하는 사람이면서도, 그 현실을 넘어 질문 합니다. 


하늘은 인간과 만물을 낳았으니 인간과 하늘은 하나가 아닌가? 그런데 이 역사의 비극들은 어찌 된 것인가? 과연 하늘은 존재하는가? 우리의 이해가 잘못된 것인가? 하늘이 인간을 이긴다 하고 인간이 하늘을 이긴다 하면, 하늘과 인간은 다른가? 그렇다면 인간에게는 영원한 가치의 기준이 존재할 수 있는가? 이 모든 가치는 상대적일 뿐이고, 절대적인 가치는 없다는 말인가?


젊은 성리학자로서 정몽주는 행위에 불변의 원칙을 가져다주고 삶에 영원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을 탐색하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런게 없다면 인생이 그날 살다 대충 수습해서 살다가는 하루살이같이 부질없이 않겠습니까.


그런데 젊은 정몽주의 눈 앞에 놓인 절망적인 세상은 그렇게 조화롭지 않습니다. 이것은 늘 정당한 길을 걸어가는 법을 배운 그가 학문으로 배운 세계가 아니었습니다. 그가 배운 학문, 그가 배운 이성으로서는 이해할 수 없는 일이었습니다. 그래서 묻습니다. "이것이 내가 피눈물으로서 하늘에 묻는 바." 라고. 



보통 그럴 경우 눈 앞에 놓인 길은 두가지 입니다. 첫번째는 그대로 현실 속에 가라앉는 겁니다. 김용, 대신들, 그리고 공민왕처럼 말입니다. 두번째는 아예 현실을 버리는 겁니다. 옛날 중국 왕조 등이 바뀌거나 대혼란이 있을때 아예 은거하는 은자들이 그렇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몽주는 현실 속에 가라앉지도 않았고, 현실에서 도망가지도 않았습니다.  그저 "명(命) 이로구나!" 라고 탄식할 뿐입니다.



그런 정몽주가 이성계와 매우 가깝고, 일정 시점까지 오히려 이성계 일파에 가까운 행보를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막판에 모든 것을 감수하고서라도 고려를 지키는 삶을 산것은 생각하면 이상한 일이 아닙니다. 어쩌면 고려를 무너뜨려야 하는게 옳을 수 있습니다. 정치적, 이치적으로 이성계에게 협력하는게 나은 일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결국 정몽주는, 25살의 나이에 이치에 맞지 않는 하늘에 부르짖었던 정몽주는, 그렇게 하지 않았습니다. 



정몽주는 죽은 뒤에 후대의 성리학자로부터 오히려 조선의 건국자들보다도 더한 사랑을 받았습니다. 송시열은 정몽주에 대해 "조선 문명의 창성을 열어놓아서 우리 동방 사람으로 하여금 망극한 은혜를 받게 했다." 고 하기까지 했습니다. 말하는걸 보면 기독교의 길을 열어놓은 예수의 죽음을 묘사하는것과 진배 없는 수준입니다. 말하자면 정몽주는 한 사람의 성리학자로서 완성된 삶을 살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현실 속에 가라앉거나, 현실 속에서 도망치지 않고, 삶 자체가 그 가치를 그대로 지킨 한 사람.... 자기가 성리학자라고 생각하는 후대의 선비들이 그 모습을 흠모한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닙니다.




0tTfePk.png



그렇다면 비록 맹자의 가르침에 영향을 받았다지만, 자기가 살던 나라를 무너뜨리는 일에 협력하게 된 정도전의 입장은 어떨까요?



정도전의 삼봉집을 보면, 일정 시점을 기점으로 정도전이 자신이 배운 학문에 대해 회의를 품는 모습이 나옵니다. 自詠(스스로 읋다) 라는 글을 보면,



요순 같은 임금 만들려고 공부했건만 / 窮經直欲致吾君

머리 희도록 엉터리라 한탄할 줄 내 어찌 알았을까 / 童習寧知歎白紛

미친 나의 이 말은 태평성대엔 아무 소용이 없었고 / 盛代狂言竟無用

남쪽으로 쫓겨나 친구들과도 헤어졌다 / 南荒一斥離羣群


임금을 요순으로 만들 수 없어 / 致君無術澤民難

왕통이 그랬듯 책이나 파고 지내려 했건만 / 擬向汾陰講典墳

십년 풍진에 전쟁도 너무 많아 / 十載風塵多戰伐

유생들은 영락해져서 구름처럼 흩어져버렸다 / 靑衿零落散如雲


유술이란 알고 보면 자기 일에 졸할 뿐이라 / 自知儒術拙身謀

병법에 뜻을 두어 손ㆍ오를 배웠었네 / 兵畧方師孫與吳

세월은 흘러가고 공은 끝내 못 세우니 / 歲月如流功未立

책상 위 『음부경』만 먼지 자욱하였다 / 素塵牀上廢陰符




라면서, 상당한 회의감을 보이는데, 보통 정도전의 '절명시' 로 이야기 되는 '자조' 가 나오는 시기도 대략 이 시점입니다.


操存省察兩加功 조존-성찰(성리학) 공력을 다해 살면서

不負聖賢黃卷中 책 속에 담긴 성현의 말씀 저버리지 않았네

三十年來勤苦業 삼십 년 긴 세월 고난 속에 쌓아온 사업

松亭一醉竟成空 송정에 한번 취해 그만 허사가 되었네.




정도전은 정말로 죽기 전에 '절명시' 를 남겼던 걸까 - https://cdn.pgr21.com/?b=8&n=62849

일전의 글에서 전 정도전의 이 '자조' 가 절명시가 아닐 가능성이 높다는 말을 한 적이 있습니다. 오히려 이성계를 만난 직후에 쓰여졌을 가능성이 높다는 말을 했는데, 그 해석대로라면 자조라는 시의 내용은 이렇게 됩니다.



 '삽심년 동안 학문의 길을 가면서 이 나라 고려를 부흥 시키기 위해 노력했지만, 더 이상은 아니다. 이제 나는 이성계라는 인물을 선택했다. 그렇지만, 본래 내가 가고 싶었던 길은, 이 길은 아니었는데....'



조국을 위해 학문을 공부하던 유생이, 되려 다른 선택을 하면서 나라를 뒤집으려는 생각을 하게 되지만, 그러면서도 "사실 이건 내 본의는 아니었다. 어쩌다가 여기까지 왔을까." 하고 씁쓸해 했다는, 흡사 다크나이트 같은 묘한 의미가 됩니다. 이렇게 회의감을 드러내며 '정몽주의 길' 을 포기한 정도전이지만, 그 중간중간에 아쉬움도 없잖아 느껴집니다.



그리고 삼봉집에서는 이런 내용도 있습니다.





……토지 분배가 고르지 못하게 되었다는 원망은 모두 신에게로 돌아옵니다. 그러나 이것은 작은 일로서 전하께서도 잘 알고 계시는 것인데도 신으로서는 변명할 수 없는데, 하물며 일이 크고 원망이 깊은 것이야 비록 신이 모르는 것이라도 신이 어떻게 스스로 모면할 방법이 있겠습니까? 


신이 최원(崔源)을 중국에 보낼 때에 죽었으면 안으로 선군(先君 공민왕)의 마지막 가시는 길을 바로잡아 드렸을 것이고, 위로는 천자(天子)를 속이지 않았을 것이며, (원나라와의 관계 회복에)서명(署名)하기를 싫어하던 사건에 죽었으면 넉넉히 위신(僞辛)이 현릉(玄陵 공민왕)의 자손이 아님을 밝혔을 것이며, 오랑캐의 사신을 물리칠 때에 죽었으면 위로 군부(君父)의 악명(惡名)을 벗기고, 아래로 온 나라의 신민들이 시군(弑君)의 죄를 면하게 되었을 것입니다.


 그렇게 했으면 신의 몸은 비록 죽었어도 이름은 살아 있을 것이니, 어찌 영화로운 일이 아닙니까? 


─ 삼봉집, 제 7권, 습유(拾遺) 전(箋)




일단 삼봉집에 실린 이 언급은, "나는 이 일(개혁) 하면 내가 욕 먹을지 뻔히 안다. 왕(이성계) 께서는 '다 내가 앞에서 욕 먹을테니 걱정 말아라.' 라고 하지만 실제로 일이 벌어지면 나만 욕 먹을 뿐이다." 라고 분통을 터뜨리는 와중의 내용이라 좀 더 과격한걸 고려해야 하겠지만, 내용을 보면 흥미로운것이 정도전 본인도 자신이 죽고 나면 어떤 말을 들을지 어느정도 짐작하고 있는 점이 보입니다.



기본적으로 개혁을 원하던 고려 말의 신진 유신들은 그 마지막 갈래에서 분열되었고, 이후 희생된 정몽주는 송시열로부터 "선생이 나신 것은 고려의 행복이 아닌, 우리 조선의 행복이다." 라는 말을 들을 정도로 하나의 상징, 어떻게 보자면 조선이라는 나라, 그 문명의 상징으로 남아 '무결한 인간' 이 된 반면에, 정도전은 무덤없는 인간이 되어서 죽었습니다.



정도전은 그로 인해 자기가 목적했던 바를 이루어 내었지만, 그 대신에 정몽주처럼 하나의 순결한 상징이 되기엔 너무 먼 지점까지 와버렸고, 본인도 그걸 생각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명나라에 사신을 보내라고 주장할때 자기가 죽었다면, 원나라에의 관계 회복을 거부해서 수난을 당한 때에 진작에 죽었다면, 그야말로 성리학자로서 완성된 삶을 살고 죽었을텐데 하고 말입니다.



정도전은 이렇게 말합니다. 내가 차라리 그때 죽었다면, 내 몸은 죽어도 (뜻을 지킨 성리학자로서)이름은 살아있을 것이라고. 바꿔 말하면 정도전은 자기가 그때 안 죽었으니 그런 식으로 이름이 남지 않을거라는걸 어렴풋이 이미 알고 있었다고 할 수 있겠죠.



물론 성리학적 기반 위에 세워진 조선 왕조가 이미 사라지고 없어진 현대의 역사적 평가로는 '그때 죽지 않았기에' 정도전의 역사적 평가는 비교도 안되게 올라왔습니다. 하지만, 그 당시에 살던 정도전 본인으로서는, '몸을 희생하여 인을 이루는' 최적의 자리를 놓쳐버린 것을, 그래서 너무 멀리 와버린 것을 조금 아쉬워 한 것 같기도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저그의모든것
17/05/23 02:34
수정 아이콘
잘 읽었습니다.감사합니다.
17/05/23 03:30
수정 아이콘
항상 좋은 글 감사합니다
솔로12년차
17/05/23 03:33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정말 감사드립니다.
하나의꿈
17/05/23 04:31
수정 아이콘
느끼는게 많네요. 감사합니다.
으와하르
17/05/23 04:39
수정 아이콘
공민왕의 몰락은 자업자득적 성격이 강한 것이, 저 정세운 안우 김득배 이방실 뿐 아니라 쌍성총관부 공략의 주역인 인당마저도 토사구팽의 운명을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권문세족의 힘이 강한 고려에서 왕이 권문세족들을 누르고 개혁을 하려고 했으면 독자적인 군사력을 지닌 무신들의 도움이 필수적이었을텐데, 개혁을 내세웠던 왕은 오히려 권문세족과 손잡고 무신들을 죽이고 또 죽였죠.

명장은 질시를 받아 죽고 세족들만이 남아 부귀를 누렸습니다. 명장들이 사라진 국경은 왜구에 의해 유린되어 백성들의 피로 시산혈해를 이루었고요. 그런 권문세족의 전횡과 왕의 자업자득을 보며 정몽주, 정도전은 무슨 생각을 했고, 이성계는 또 무슨 생각을 했을지.
요정테란마린
17/05/23 09:16
수정 아이콘
아무래도 무신들을 지속적으로 숙청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이전 세기의 무신정권에 대한 경계가 있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무신정변 이후 고려 명종부터 원종 중반까지는 왕이 허수아비에 가까웠다는 점이 공민왕 대까지 계속 상기 되어왔을 수도 있고요;;
이쥴레이
17/05/23 13:29
수정 아이콘
저도 무신정권에 대한 과거 경계때문이 아니었을까 하네요..
해가지는아침
17/05/23 06:03
수정 아이콘
매번 잘 읽고 있습니다. 마치 피지알 역사봇(?)같이 매번 쿨 차면 양질의 글을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sen vastaan
17/05/23 06:46
수정 아이콘
홍건적이든 뭐든 또 칼 들고 찾아오면 어쩔 생각이었길래 막자마자 모가지를 뎅겅해버렸는지...
임전즉퇴
17/05/23 07:27
수정 아이콘
외적은 둘째치고 저 김용한테 또 뎅겅할뻔..
강제 조기유학이 왕과 국내파가 신뢰를 쌓기 어렵게 했고 무신집권과 내정간섭의 역사가 의심병을
지병으로 만든 측면도 있겠죠. (국내파 우왕은 국내파라긴 묘한 상대에게 진짜 당했..)
17/05/23 14:44
수정 아이콘
그래서 왜구에게 시달렸죠
걸스데이
17/05/23 06:55
수정 아이콘
정몽주는 잘도 저린 시 짓고 잘 살아남았네요. 저런 시 짓다가 죽는 사람이 엄청 많았던 걸로 기억하는데
17/05/23 07:39
수정 아이콘
좋은 글 잘 봤습니다
정몽주에 대해서는 시류를 못읽고 변화를 두려워하던 꼰대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데 참 복잡하네요...
거기에 어떤 나라건간에 나라가 무너지기 전에 일어나는 일들이 참 상상을 초월하는 일이 많네요
카롱카롱
17/05/23 08:07
수정 아이콘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공민왕 배우는 거라곤 반원 자주 개혁정책인데
이런걸 배워야 진짜 역사교육이 아닌가 싶네요
Been & hive
17/05/23 08:14
수정 아이콘
뭐 이런것들도 있지만 노국공주의 죽음으로 공민왕이 맛이 갔다는 이야기가 있더라구요 쩝
즐겁게삽시다
17/05/23 09:31
수정 아이콘
와 너무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외쳐! 추게로!!
17/05/23 10:07
수정 아이콘
매번 좋은 글 잘 읽고 있습니다.
팬이에요 히히
오퍼튜니티
17/05/23 10:27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 ^-^
새벽포도
17/05/23 10:28
수정 아이콘
정몽주로 죽기 VS 정도전으로 살기
명예롭게 죽기 VS 변절자로 살기
사후 500년간 추앙받기 VS 사후 500년간 역적이었다가 복원받기

요즘 시대야 정도전이지만은 당시 성리학자로는 정몽주가 성공한 인생이네요.
언어물리
17/05/23 11:24
수정 아이콘
조선의 건국은 정도전이 큰 몫을 차지하고 정몽주는 이를 저지하려고 했던 사람인데 어째 그렇게 되었죠..
특이점주의자
17/05/23 12:04
수정 아이콘
건국은 이성계와 정도전이 했지만 실질적인 조선 이대왕이자 명군이며, 조선최고의 명군의 아버지인 이방원과 말 그대로 목숨걸고 권력다툼 하다가 졌기 때문이겠죠.
언어물리
17/05/23 12:10
수정 아이콘
그런데 정몽주도 이방원에게 죽임당한 건 같은데, 아마도 조선건국 이후에는 질서를 뒤집는 것보다 그 질서에 충성하는 것이 요구되었기 때문이겠죠..
백순겸
17/05/23 10:46
수정 아이콘
신불해님 늘 좋은 글 잘 보고 있습니다.

언제 기회가 되신다면 신돈에 대한 글도 써주시면 안될까요?
17/05/23 10:50
수정 아이콘
20만이라는 군사는 저 당시 고려로서 감당하기 힘든 병력이었죠
저때는 사병이 허용되는 시기라
급한대로 20만을 모았지만 저 20만이 전쟁이 끝나고 해산되는게 아니라 사병화 될 가능성이 큽니다.
그리고 마침 논공행상으로 정세운과 안우가 대립 상태였고요.

자칫 잘못 하다가 후한 말기 황건적을 잡기 위해
호족들이 군대를 양성하고 황건적난이 끝난후
그 군대를가지고 서로 치고박고했던 것처럼
그때 고려도 충분히 군웅할거 시대로 접어들 조건이
내외적으로 갖쳐줘 있던 상황 이였죠

물론 4원수 몰살 이후 군사력 약화로
강력한 반원정책을 포기하고
왜구 침입에 속수무책으로 당할수 밖에 없었지만요
17/05/23 14:00
수정 아이콘
20만이 사병을 입히고 먹이고 무장시키고 유지하는게 개인의 재력으로 가능 한가요?
17/05/23 14:21
수정 아이콘
한사람이 20만을 다가진게 아니라
여러장수들이 모은 병력이 20만이라는거죠
그리고 제가 따로 글적은것에도 말했듯이 당시 권문세족들은 넓은땅의 수조권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게 고려말에 가면 권문세족들이 영주화가 됩니다. 그래서 정도전, 조준이 조선이 창건하기전에 이 수조권을 손봤던거고요
장수들 다수는 이런 권문세족들이고요 또한 넓은 영지를 가진 권문세족들과 결탁할수도있지요
17/05/23 14:34
수정 아이콘
서로 20만 사병 나눠가졌으면 내전 비슷하게 미니 삼국지 찍다가.. 최영 이성계 시절의 왜구로 나라가 없어졌을 수도 있겠네요.
17/05/23 14:41
수정 아이콘
신라말 신라구처럼 고려구가 되어서 일본을 약탈할수도 있죠
사르트르
17/05/23 11:08
수정 아이콘
교과서로 배울땐 느낌이 잘 안왔었는데 신불해님 글들을 읽어보니 고려말이 민초들에겐 레알 헬게이트였네요. 남쪽으론 왜구 북쪽으론 홍건적 정부는 원나라 잔존세력과 신세력들이 싸우고 수탈은 점점 심해지고.. 이성계가 고려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세운 심정이 이해가 됩니다.
17/05/23 11:35
수정 아이콘
이 에피소드가 정도전에선 언급이 안됬는데 육룡이 나르샤에선 정도전 과거 이야기 형식으로 언급이 됬었습니다.
물론 육룡이 나르샤는 기본적으로 성실한 고증과는 거리가 먼 작품이었으나 암튼 의미는 비슷하게 전해진 것 같습니다.
이필현
17/05/23 13:12
수정 아이콘
좋은 글 너무 감사드립니다.
캐리커쳐
17/05/23 13:17
수정 아이콘
공민왕이 왜 저런 선택을 했는지는 무신정권을 감안하면 이해가 됩니다.
이해가 되기 때문에 이성계의 등장(조선의 건구)이 역사의 우연이 아닌 필연이었음 또한 이해가 되네요.
17/05/23 18:24
수정 아이콘
좋은글 감사합니다. 공민왕은 또 한번 재평가를...덜덜...
치킨은진리다
17/05/23 18:41
수정 아이콘
역사를 이런글로 배워야 재밌는데 좋은글 감사합니다.
경성아재
17/05/23 19:57
수정 아이콘
괜히 사림의 지져스 크라이스트가 아니군요.
17/05/24 00:47
수정 아이콘
난 왜 정봉주로 봤지.......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2027 [일반] Active X 문제. [19] 삭제됨4534 17/05/24 4534 1
72026 [일반] 친구에게 암호화폐를 설명한 이야기 [28] 삭제됨7286 17/05/24 7286 0
72025 [일반] 비트코인 오피니언 리더,선동가였나 선지자였나. [111] 고통은없나12649 17/05/24 12649 3
72023 [일반] 금연 성공! [63] 산타의선물꾸러미6730 17/05/24 6730 20
72022 [일반] 동생을 떠나보내며 [19] salyu7337 17/05/24 7337 39
72021 [일반] 위풍당당한 우리 킹의 입국장면이 화제입니다.gif [160] 아이오아이24581 17/05/24 24581 62
72020 [일반] 우당탕탕 연애 정복기 (5) [25] 껀후이5529 17/05/24 5529 2
72019 [일반] 파워블로거의 꿈(?) [32] Timeless7941 17/05/23 7941 15
72018 [일반] 참치회를 집에서 저렴하게 먹어보자. [71] aRashi17419 17/05/23 17419 67
72017 [일반] 알파고는 왜 가끔 이상한 수를 두는가 [46] 아케이드12954 17/05/23 12954 15
72016 [일반] 울리 슈틸리케 축구 대표팀 감독에 대한 독일/해외 축구팬들의 반응 [19] 삭제됨8218 17/05/23 8218 5
72015 [일반]  "경기도, 남북으로 나누자"…자유당 '경기북도' 설치법 발의 [101] 군디츠마라13460 17/05/23 13460 1
72012 [일반] 클라우드 펀딩/크라우드 펀딩, 정보격자/정보격차, 不동층/浮동층 [31] the3j5762 17/05/23 5762 2
72011 [일반] 조선왕조의 왕이 한 말 중 가장 멋졌던 말 [10] 바스테트9789 17/05/23 9789 1
72010 [일반] [전자담배] 아이코스가 국내에 들어온다고 합니다; [34] 황약사13471 17/05/23 13471 1
72009 [일반] 인공지능이 다시 한 번 사람을 이겼습니다... [154] Neanderthal17062 17/05/23 17062 4
72008 [일반] 문재인 대통령 "대통령으로서 노무현 추도식에 참석하는 건 오늘이 마지막" [36] 삭제됨15465 17/05/23 15465 56
72007 [일반] 리서치뷰, 문재인 대통령 잘한다 87.0%, 조원씨앤아이 추가(국민의당 꼴지 추락) [83] 로빈15129 17/05/23 15129 15
72006 [일반] 고려말 홍건적난 이후 [13] 로사7053 17/05/23 7053 13
72004 [일반] 영국 맨체스터 공연장에서 폭발로 최소 20명 사망(내용추가) [37] 군디츠마라11722 17/05/23 11722 0
72003 [일반] (일상, 사진) 동물 보호소에서 일하다 보면 [38] OrBef11113 17/05/23 11113 16
72002 [일반] 정몽주 "피눈물을 흘리며, 신이 하늘에 묻겠습니다." [36] 신불해15450 17/05/23 15450 89
72000 [일반] 윤석열 지검장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요? [43] 카카롯뜨13938 17/05/23 13938 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