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9/27 22:53:37
Name 식별
Subject [일반] 중세 용병들의 일상생활을 알아보자

Malpaga10.jpg 중세 용병들의 일상생활을 알아보자


훈련

 알프스 산맥을 건너 내려온 모든 초창기 외국 출신의 용병들은 살인에 숙달된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러나 이후 계속된 고급인력의 소모와 규모 확대로 인해, 용병단은 이제 그저 기회를 찾아 고향을 떠난 어중이 떠중이들을 받아들여 자체적으로 훈련시키고, 제대로 된 군인으로 거듭날 수 있게끔 자신들만의 체계적인 훈련 커리큘럼을 마련해야만 했습니다. 

 처음 용병단의 일원이 된 십대 초반의 소년들은 나이 많고 숙달된 용병의 하인이나 시종 노릇을 하며 훈련을 시작했는데, 그들은 아마 대부분 해당 용병단에 아버지나 삼촌, 또는 아는 형들 등 인맥을 따라 흘러들어왔을 것입니다. 처음에는 자질구레한 일부터 시작했는데, 갑주나 무기를 항상 최선의 상태로 유지하는 법, 선배들을 위해 물을 나르고 부상병을 처리하는 법, 그리고 기타 잡무나 운반 같은 것들을 하다가 점차 운명에 따라 훗날 자신이 맡게 될 역할에서 필수적인 전문지식을 교육받게 됐습니다. 

 기병이 될 소년들은 기마술과 말 관리법을 배웠을 것이고, 궁수나 석궁병이 될 소년들은 활과 쇠뇌를 다루는 법을 배웠을 것입니다. 높은 신분의 귀족들, 이를테면 고용주의 자식들이나 지휘관들도 용병대장들과 함께 전략을 논하며 영향을 주고 받았습니다. 특히 어린 귀족 소년들은 용병대장들에게 무술이나 계약 협상, 그리고 군을 지휘하고 운영하는 일들 전반에 대한 가르침을 받기도 했습니다.

 빽빽한 대열을 유지하며 전투에 임하는 것은 한 두번의 훈련으로 될 일이 아니었기에, 개인적인 본능을 거스를 수 있도록 오랜 시간 엄격한 훈련을 거쳐야만 했습니다. 오합지졸과 정예병은 훌륭한 무기나 보급만큼이나 해당 부대가 얼마나 훈련에 많은 시간을 쏟았느냐에 따라 갈렸습니다. 



Un_Condottiero_-_Leonardo_da_Vinci.png 중세 용병들의 일상생활을 알아보자



거주지

 용병단장은 부하들이 묵을 장소를 책임져야 했습니다. 간혹 용병들이 도시에 주둔할 수 있도록 허락된 운좋은 경우에는 폭행사건과 절도사건이 빈발했습니다. 고용주가 다스리는 수도 근처의 작은 촌락에 신세를 지는 경우도 있었는데 당연히 폐해가 엄청났기에 뒤로 갈수록 들판에 거대한 천막 야영지를 형성하는 것이 관례가 되었습니다. 이 움직이는 도시는 형형색색의 화려한 천막들로 되어있었기에, 당대인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그리고 당연하게도, 고용주 도시의 상인들은 위수지역 내의 이 용병들에게 각종 생필품 등에 바가지를 씌웠습니다.

 이 움직이는 야영지에는 갖가지 사람들이 몰려들었습니다. 외과의 겸 이발사들, 탁발수도사나 점쟁이, 잡상인이나 약팔이, 낭인용병이나 방랑기사, 그리고 군대가 가는 곳에는 늘 따라다니는 여자들이나 도둑들, 구걸하는 자들이 이 주위를 맴돌았습니다. 온갖 사람들이 몰려드는 야영지는 당연히 범죄와 질병의 온상이 되었고, 콜레라나 티푸스와 같은 각종 수인성 질병이 유행했습니다. 그러나 고용주가 임금을 체불할 경우, 용병들은 이 곳을 떠나려 하지 않음으로써 일종의 시위를 할 수도 있었습니다.


의료

 외과의가 이발사 역할을 겸했다는 데서 짐작할 수 있듯, 이 당시의 의학수준은 상당히 열악했고, "건강회복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의사를 보지 않는 것"이라는 페트라르카의 말이 딱히 과장된 것만은 아니었습니다. 골절상에 부목을 대거나, 상처를 봉합하는 것 정도는 이루어졌지만, 적절한 소독은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습니다. 

 가벼운 상처는 인두로 지졌고, 역방향으로 수염난 화살에 맞은 병사들은 화살을 빼내면서 2차적인 손상을 입어야만 했으며, 그런 상처에는 끓는 기름이 부어졌습니다. 복부 관통상을 입은 용병은 복막염에 시달리다가 죽었고, 폐가 뚫리거나 두개골이 함몰된 사람도 마찬가지로 앓다가 죽는 수밖에 답이 없었습니다. 만약 어떤 사람에게 숨을 불어넣었는데, 공기가 두개골이나 목, 그리고 가슴팍의 어떤 부분에서 새어나온다면, 남은 일은 명복을 빌며 기도하는 것밖에 없었습니다.


(계속)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솔로몬의악몽
25/09/28 00:19
수정 아이콘
굉장히 뜬금 없는 의문이기는 한데요, 용병이란 직업이 인맥을 타고 들어올 정도로 좋은 직업이었을까하는 생각이 드네요. 사회 초년생들 입장에서야 모험과 함께하는 삶이라는 느낌이었겠지만, 용병 베테랑들 입장에서 친척 젊은이들을 끌고 들어올만한 직업이었을까 궁금합니다.
이런 생각이 든 이유가, 예전에 드래곤라자를 읽었을 때 샌슨이 전투 10번인가 치뤘다고 하니 무척 놀라는 장면이 있었던 것 같거든요. 용병이라면 전투는 많이 참가해야 할테고, 죽을 가능성이 1/10이라 하더라도 몇 년 살아있기 힘든 직업 같은데, 그 직업을 생판 남도 아니고 친인척을 끌어들인다니 평화로운 시대를 살고 있는 저에게는 참 이해가 가지 않는 삶인 것 같습니다 크크크

아 그리고 좋은 글 정말 감사드립니다. 매번 정독하고 있습니다.
사부작
25/09/28 00:41
수정 아이콘
상처를 인두로 지지면 지혈 효과가 있긴 있나요? 효과 있는지 없는지는 보면 바로 알 것 같은데
지탄다 에루
25/09/28 01:25
수정 아이콘
재밌는 글 항상 감사합니다.
용병이라는 직업이 어지간히 돈을 많이 주지 않는다면 쉽게 하기 어려울 것 같은데, 그만큼 일반적인 삶에서 신분 상승의 기회가 없던 시대라고 봐야 하겠지요. 아니면 알려진 고정 수입보다도 약탈 등으로 기대할 수 있는 수입이 더 많았던 건가 싶기도 하구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35983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7] 오호 20/12/30 313705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7773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73780 4
105090 [일반] [팝송] 에이바 맥스 새 앨범 "Don't Click Play" [1] 김치찌개329 25/09/28 329 0
105089 [일반] 올해도 불꽃놀이를 보고 왔습니다 [6] 及時雨1374 25/09/27 1374 6
105088 [정치] 좌우 양쪽에서 까이고 있는 권력의 변방 3대장 [129] 유동닉으로3454 25/09/27 3454 0
105087 [일반] 중세 용병들의 일상생활을 알아보자 [3] 식별830 25/09/27 830 2
105086 [일반] 그래서 XXX는 영포티 브랜드인가요? [36] 카레맛똥2929 25/09/27 2929 2
105085 [정치] 민주국가는 성장을 못하는가 (2/3) 한국의 성장에 독재는 필수였나 [42] 사부작1800 25/09/27 1800 0
105084 [일반] 국가 전산망이 멈추었습니다. [37] 군림천하3748 25/09/27 3748 6
105083 [일반] 겪어보기 전엔 모르는 세계 – 부모되기 [9] 굄성879 25/09/27 879 10
105082 [정치] 종교개혁의 함의: 정치적 패배와 문화적 승리 [11] 슈테판2155 25/09/27 2155 0
105081 [정치] 2009년 국정원 심리전단이 하던 일 [208] 바람돌돌이10830 25/09/27 10830 0
105080 [정치] 영포티 타령, 인신공격의 최저선 [444] 딕시19069 25/09/27 19069 0
105079 [일반] 간짜장 썰 [16] singularian5168 25/09/26 5168 14
105078 [정치] 민주국가는 경제성장을 못하는가 (1/3) 독재를 경제성장론이 다뤄온 역사 [98] 사부작5478 25/09/26 5478 0
105077 [일반] 한국인은 왜 영어를 잘 못할까? [114] Quantumwk6110 25/09/26 6110 22
105076 [일반] 이탈리아의 영국인 용병대장, 존 호크우드 [1] 식별2674 25/09/26 2674 9
105075 [정치] 이쯤에서 보는 미일투자-관세합의각서 [163] DpnI11814 25/09/26 11814 0
105074 [정치] WSJ) 대미투자액 3500억불=>5500억불에 가까워질 수 있다 [538] 전기쥐20675 25/09/26 20675 0
105073 [정치] 영포티가 패션(브랜드)에만 적용되지 않는 이유 [162] 수지짜응9486 25/09/26 9486 0
105072 [정치] 키보드로는 영포티를 치지만 취향은 솔직한 분들에 대하여 [171] 유동닉으로10793 25/09/25 1079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