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5/04/19 19:18:39
Name 김홍기
Subject [일반] 저물가의 시대 이제는 끝인걸까?
1. 질문
미국이 자국 산업을 보호하려고 하는 정책은 트럼프 1기부터 시작되었고 바이든때도 중단되지않고 지속되었어. 그리고 트럼프 2기에 들어와서는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해. 다음 대통령이 다시 민주당에서 나온다고 하더라도 미국의 자국 보호 기조는 약세나 강세정도로 세기만 바뀌지 방향은 아주 뚜렷해보이거든. 또 하나, 여러요인으로 중국에서 나오는 제품의 가격도 예전처럼 매우 싸지않아. 세계의 공장이던 중국과 동아시아의 제품이 비싸지고 미국이 다시 세계의 공장이 되려고 하는 거대한 흐름이 장기적 고물가를 만들어낼거라고 생각하는데 이에 대한 의견은?

2. Gpt 답변
지금 말씀하신 미국 중심의 산업 회귀 + 중국 제조업 비용 상승 + 글로벌 공급망 재편은 단기적인 정치 이슈가 아니라, 거시적·구조적 변화로 보고 접근하는 게 맞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 맞습니다. 이 흐름은 인플레이션의 장기화(구조적 고물가)의 근본적인 원인이 될 가능성이 큽니다.
정리해보면, 지금 말씀하신 3가지 흐름이 인플레를 구조적으로 만드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미국의 자국 보호주의: 트럼프 → 바이든 → 트럼프2기 → 그 이후까지도 계속

트럼프 1기 (2016~2020):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 관세 부과, 중국 견제 본격화

바이든 (2021~2024): 스타일은 다르지만 IRA (인플레이션 감축법), CHIPS Act 등으로 제조업 리쇼어링 유지

트럼프 2기 (2025~): 관세 60% 언급, 반도체·자동차·철강에 대규모 지원, 공급망의 국산화 가속


> → 요점: 어느 당이 집권하든 “핵심 산업의 자국 내 생산”이라는 기조는 유지됨.

2. 중국 제조업의 한계와 전환기

임금 상승, 환경 규제 강화, 부동산 붕괴, 인구 구조 악화(생산가능인구 감소) → 더 이상 “세계의 저가 공장”이 아님

제조 원가 상승 + 정책 불확실성 증가 → 기업들이 베트남, 인도, 멕시코 등으로 공급망 다변화 중


> → 요점: 공급망 다변화는 효율보다 안전을 택한 전략 → 단가 상승 유발 → 인플레이션 압력

3. 미국의 제조업 회귀 (리쇼어링·프렌드쇼어링)

반도체, 배터리, 희토류 등 전략 산업은 “자국 내 생산 or 우방국 생산” 유도

문제는 → 미국 내 생산은 노동력 비용 + 인프라 비용이 훨씬 비쌈

단가가 오르고, 그 부담은 최종 소비자 물가로 전이


> → 요점: 미국 제조업 부활은 물가 안정이 아니라 장기 인플레의 구조적 원인이 됨


이것을 하나로 연결하면?

> “고비용 공급망 구조 + 전략적 자국 생산 + 지정학적 단절 리스크”
→ 예전의 **저물가 글로벌 시대(중국 중심 공급망)**는 사실상 끝났고,
→ 고비용 블록화된 세계 + 안전 중심의 생산 체계가 장기적 고물가를 구조화하는 중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방구차야
25/04/19 19:22
수정 아이콘
당근 풀매수..
김홍기
25/04/19 19:20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다이소 풀매수..
하고 싶지만 둘다 직접투자가 안되네요 아숩다
김홍기
25/04/19 19:29
수정 아이콘
첫댓이 지워졌네요. 내가 안지웠는데 왜 그렇지? 다시 적자면
Gpt는 항상 제말이 옳다해주기에 신뢰가 안갑니다. 여러분의 생각이 궁금해요
25/04/19 19:56
수정 아이콘
이거 맨날 니쇼어링이니 뭐니 하는 말이 자꾸 나오는데 전 전혀 가능성 없다고 생각해요. 그냥 언론이 허들갑 떨고 정부는 여론의식해서 하는 척하고 그런거죠. 미국인들 맨날 제조업을 살리네 어쩌네 하지만 정작 미국인들이 생산한 값비싼 물건을 살 생각은? 그런 사람 전혀 없어요. 물가 조금이라도 오르는 순간 나라가 뒤집힙니다. 그러니 그런게 어떻게 가능하겠어요. 트럼프가 머저리라서 이런 간단한 것도 모르는터라 헛짓을 하고 있지만 결국 안되는 것은 안되는 거예요
김홍기
25/04/20 12:37
수정 아이콘
현대차가 미국으로 간건요? 애플 외 여러기업이 미국에 막대한 투자를 하겠다고 한건요? 물론 트럼프가 원하는 100%는 당연히 안되겠지만 20%라도 진행될것같은데요? 바이든이 보호주의 한 것도 잊으시면 안되죠
25/04/20 12:55
수정 아이콘
하기야 하겠죠. 미국이 하라면 어쩔수 없는 거니까요. 그런데 리쇼어링을 고물가가 될때까지 한다? 이건 말이 안된다는 거예요. 세상 어떤 정치인이 그런 짓을하겠어요. 정권이 날아갈텐데. 그러니 리쇼어링이 쇼란 거고요. 말로는 제조업 부흥이니 뭐니 하지만 실제론 그냥 생색내기만 몇개 하는 수준이니까.
25/04/19 20:07
수정 아이콘
GPT 4.0에게 같은 질문을 비판적으로 검토해보라고 하였습니다
결론만 전달합니다.

결론: 방향은 맞지만, 강도는 유동적
**정책의 방향성(보호주의 강화, 공급망 재편 등)**은 맞게 짚었음.
그러나 리쇼어링의 한계, 기술혁신의 영향, 글로벌 시장의 복잡성을 감안하면, “장기 고물가 = 필연적 구조”라고 단언하긴 어려움.
미국이 공장이 되기보다는, “미국은 핵심 기술과 자원, 동맹국은 중간재 생산”이라는 분산된 산업 구조가 더 현실적인 대안으로 보임.
25/04/19 21:32
수정 아이콘
중국의 디플레이션이 끝나간다는 얘기가 있네요.
고무닦이
25/04/19 21:52
수정 아이콘
91년 소련붕괴와 2000년 중국의 WTO 체제 이후 세계화를 거치며 저물가의 시대가 왔죠. 값싸고 효율적으로 생산하는곳에 외주를 줬으니까요. 근데 이제 외주를 주는 경제체계가 막을 내렸으니 물가가 오르는게 당연하죠
25/04/19 22:03
수정 아이콘
50년만에 돌아오는 인프라투자 홍수의 시작
https://cdn.pgr21.com/freedom/86596
소득과 집값의 최근 십수년간 추이 및 기타
https://cdn.pgr21.com/freedom/86748

이 글이 생각나네요.

"향후 인생의 계획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물가의 지나친 상승의 가능성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스타일의 경기침체가 아주 오랫동안 없었습니다. 경기침체는 반드시 원자재와 에너지의 폭락 및 금리의 가파른 하락을 부르곤 했습니다. 물가가 지나치게 오르며 경기를 망가뜨리면 그로인해 물가가 폭락을 하는게 기본 코스였죠.
근데 그게 아닌 스타일의 침체가 언젠가는 올 수도 있습니다. 경기가 망가질 정도로 충분히 오른 상태에서 사람들의 뒤통수를 강하게 때리는 식으로 추가적으로 폭등하는 스타일입니다."
안군시대
25/04/20 05:27
수정 아이콘
이번 관세전쟁으로 인해서 미국인들의 소비패턴이 근검절약과 저축중시로 바뀐다면 물가가 오히려 내려갈 수도 있습니다. 물론 그랬다간 전세계에 일본식 경기침체가 몰아닥치겠죠.
25/04/20 11:44
수정 아이콘
미국은 단연코 소비가 줄어들지 않을겁니다. 얘네는 소비하는게 문화에요. 일시적 영향으로 큰 틀이 절대 바뀌지 않는 나라에요. 관세 전쟁이 유야무야 마무리가 되면 다시 예전처럼 신나게 소비하는게 미국인들입니다. 3월 소매판매 보세요 지금도 소비가 장난 아닙니다 심리만 좀 위축됐을 뿐이지.
기다리다
25/04/20 09:51
수정 아이콘
중국의 정책상 아직까지는 어마어마한 디플레를 수출중입니다. 일단 만들고 안팔리면 수출땡처리..경쟁국들은 도저히 버틸수없어서 중국에 관세때리는 판국이고요. 아직 중국이 만들어주는 디플레압력은 중국 정책이 바뀌지 않는 한 유효합니다
성야무인
25/04/20 10:22
수정 아이콘
그건 좀 아닌것 같습니다.

중국내애서도

해외와 무역이 홍콩을 통해

광동 지역을 중심으로 행했던 것에

공업이 이제는 물류의 발달로

인해 서서히 내륙으로 공장을 이전 시키거나

중국 회사 자체도 인건비 때문에

자국의 공장을 라오스나 캄보디아 쪽으로

옮기고 있고

미국이나 타 국가도 아프리카의

나이지리아나 현재 무섭게 성장하고 있는

르완다 쪽으로 생산 및 인도의 서비스업도

비싸다고 원가 절감으로 옮기고 있습니다.



서서히
25/04/20 11:40
수정 아이콘
미국은 뭉뚱그려서 제조업을 살린다 라고 얘기하고 있지만, 사실상 첨단산업 제조업 (반도체 포함) 을 자국에서 생산하려는 노림수일겁니다. 잡것들 생산하는 의미가 아니에요. 이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고착화된다? 그렇지 않으리라 봅니다. 값비싼 노동력은 ai 와 로보틱스 발전으로 커버하리라 보고요. 인플레이션은 점점 안정화 될겁니다. 하지만 리쇼어링 된 제조공장들에서 인력이 그닥 필요하진 않기에, 트럼프를 뽑았던 많은 저소득층 백인들의 삶은 계속 팍팍할겁니다.
No.99 AaronJudge
25/04/20 13:16
수정 아이콘
그게 의문이긴 합니다.
트럼프는 공장을 대거 들여와서 중산층의 일자리를 늘려주겠다고 하는데
그러면 필연적으로 물가가 높아질 수 밖에 없잖아요? 미국인들 8만불 받는걸 베트남처럼 1만불로 깎는게 아닌 이상에야

그거 말고 고부가가치 제조업들만 들여오고 로보틱스랑 ai 대대적으로 도입하면 물가는 덜 오르겠지만 과연 그 일자리를 저소득 저교육 백인들이 차지할 수 있나 하는 의문이 들어요….애초에 일자리도 덜 만들어질 테고 그런 일자리들은 MIT랑 칼텍에서 공부한 사람들을 원할 텐데

둘 중 하나를 선택하면 몰라도
트럼프가 말했던 것처럼 둘 다 잡을 수가 있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저소득층 백인들의 일자리를 만들어주지 않으면 지지층 이탈로 트럼프가 손해를 보지 않을까요…? 
안군시대
25/04/20 13:21
수정 아이콘
실제로 그게 현실화 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거니까요. 지금부터 생산라인 세팅하기 시작해도 2~3년은 걸릴거고, 그렇개 만들어진 공장이 실질적으로 저소득층 백인들에게 일자리를 만들어줄지 아닐지도 그때 가봐야 알게되겠죠..
Ashen One
25/04/20 14:19
수정 아이콘
사람들이 잘 모르는 게 있는데, 아직도 전 세계 제조업 2위 국가는 미국입니다.
AI까진 몰라도, 이미 미국엔 사람없이 로봇으로만 생산하는 공장들도 있다죠.
하지만, 인건비를 제외하더라도 미국에서의 생산은 기본적으로 더 비싸다고 합니다.
뭐, 로봇들의 가격이 여전히 만만찮고 또 유지보수도 해야해서 그렇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사람을 쓰는 제조업들은 소위 말하는 값싼 이민자들을 고용해서 돌리고 있는 듯 하고요.
이마저도 트럼프 시절 이후론 사실상 어려워지겠죠.

더 나아가 인건비만이 전부가 아니에요.
인건비를 떠나서 미국 현지 CEO들의 말들에 의하면,
BtoB에 있어 미국 기업들은 중국 기업들에 비해 지나치게 고객 대응이 느리고, 부정확하며, 자신들의 편리만 우선시한다고 합니다.
이런 제조업에 있어서 비지니스 마인드가 이미 미국 기업들은 중국 기업들에 뒤쳐졌다고 하죠.
그래서 미국 CEO들이 중국 생산에 더 의존한다고 하네요.

인프라도 미국은 이미 뒤쳐져 있습니다.
트럼프가 알루미늄에 관세를 매기고 난 후, 알코어 CEO가 말했죠.
미국은 충분한 알루미늄을 생산할 전기가 없다고요.
미국에서 필요한 양의 알루미늄을 만들려면 못해도 원자력 발전소 7개는 더 만들어야 한다고요.
만든다 해도 전기값은 또 그렇게 쌀까요?

희토류는 또 어떻고요.
희토류는 말처럼 그렇게 희소한 자원이 아닙니다.
하지만 왜 전세계가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가하면 희토류를 정제하는 데 엄청난 양의 화학약품들이 사용되어야 하고
이로 인한 정제 과정에서 환경오염이 극심하기에 그냥 중국에 의존하고 있는 겁니다.
이걸 미국에서 할 수 있을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28] jjohny=쿠마 25/03/16 15661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0701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55001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57665 3
104097 [일반] 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31] Kaestro3366 25/04/20 3366 5
104096 [일반] 아청법 관련) 슬슬 또 스텝을 밟기 시작하는 제도권 [40] 실제상황입니다6460 25/04/20 6460 12
104095 [일반] 이게 그거였구나 如是我聞2428 25/04/20 2428 7
104094 [일반] 저물가의 시대 이제는 끝인걸까? [18] 김홍기5998 25/04/19 5998 0
104093 [일반] 인터넷이 거대한 망무새가 되어간다 [75] 고무닦이10292 25/04/19 10292 35
104092 [일반] "문과 놈들이 해먹는 나라"…이국종 교수, 국방부에 사과 [191] Davi4ever10308 25/04/19 10308 7
104091 [일반] 콜드플레이 2일차 후기 [26] aDayInTheLife2747 25/04/19 2747 1
104090 [일반] 광무제를 낳은 용릉후 가문 (1) - 한경제에서 용릉후 가문이 나오기까지 [7] 계층방정1863 25/04/19 1863 6
104089 [일반] 최근 사용한 AI툴들 목록 [36] Kaestro3971 25/04/19 3971 30
104088 [일반] (로이터 통신) 외계 행성에서 생명체 존재 가능성의 가장 강력한 증거 발견 [38] 잉어킹5989 25/04/18 5989 3
104087 [일반] 백종원씨 사태에 대한 대중 반응 변화 [105] 깐부8343 25/04/18 8343 2
104086 [일반] '메탄올 실명' 노동자 이진희씨 별세 [37] 수리검6239 25/04/18 6239 47
104085 [일반] QCY 무선 이어폰 품질 생각보다 괜찮네요 (광고글 X) [47] a-ha4834 25/04/18 4834 1
104084 [일반] 건법 앞의 평등 - 미국 유나이티드헬스케어 [61] 맥스훼인6044 25/04/18 6044 1
104083 [일반] 인구구조 문제는 절대로 해결 불가능한 문제일까요 [82] liten4767 25/04/18 4767 1
104082 [일반] 영남권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기부 인증 이벤트 결산 [7] 及時雨2247 25/04/17 2247 11
104081 [일반] 폭싹 속았수다 재밌게 잘 봤습니다 (약스포) [50] 빵pro점쟁이5975 25/04/17 5975 2
104080 [일반] '한 문제에 50만원' 현직교사 포함한 사교육 카르텔 100 여명 검찰송치 [41] EnergyFlow8929 25/04/17 8929 6
104079 [일반] <야당> - 뻔하다는 건? 말아먹진 않는다는 것. (노스포) [25] aDayInTheLife7564 25/04/16 7564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