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 :
http://us.battle.net/sc2/en/blog/19993876/2016-starcraft%C2%AE-ii-world-championship-series-12-17-2015
한글 :
https://cdn.pgr21.com/pb/pb.php?id=gamenews&no=11038
2015년의 계획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점이 변경되었습니다.
1. 지역제한이 강화됩니다.
IEM, 드림핵, Red bull BG와 같은 대회가 WCS Circuit 체제에 통합됨에 따라 모두 해당지역의 비자가 있어야 출전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 한국 선수들이 참가할 수 있는 해외 대회는 7500 규모의 Global Events 뿐입니다. 2015년의 1티어 대회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2. 시즌이 줄어듭니다.
GSL과 SSL은 년 2시즌으로 축소됩니다. (WCS Circuit은 3시즌 유지) 다만 상금 규모는 늘어납니다.
3. 'Cross Finals'가 신설됩니다.
한국지역의 시즌이 종료될 때 GSL의 우승자, 준우승자, SSL의 우승자, 준우승자가 대결을 펼칩니다.
1:1 4강전과 집정관 모드의 이벤트전이 열린다고 하네요.
4. 그랜드파이널에 시드가 도입됩니다.
GSL, SSL, WCS Circuit 각 시즌 우승자 7명은 그랜드파이널에서 시드를 받습니다.
그 외의 선수들은 각자의 지역에서 경쟁하여, 한국지역에서는 포인트 상위 4명, 서킷지역에서는 포인트 상위 5명이 그랜드파이널에 진출합니다.
5. 그랜드파이널 16강이 조별 예선으로 바뀌며, 상금이 늘어납니다.
4명 1조로 구성되며, 2명은 WCS KR 소속, 2명은 WCS Circuit 소속으로 구성됩니다.
그랜드파이널 우승자에게는 이제 20만 달러가 주어집니다.
6. Circuit 대회의 등급은 다음과 같습니다.
2500 : 총상금 25000 달러를 놓고 겨루는 대회입니다. (이전의 3티어 대회)
5000 : 총상금 50000 달러를 놓고 겨루는 대회입니다. (이전의 2티어 대회)
Championship : 이전의 WCS Premier가 Circuit Championship으로 바뀌었습니다.
- 블리자드는 2500 대회를 5000 대회로 격상시키기 위한 투자를 계획중입니다. 2016년 내에 최대 8개의 대회가 블리자드 부스트를 받을 예정입니다.
---------
한국지역 토너먼트가 확실히 줄어드는 느낌이 나네요. 다만 리그의 집중도는 이전보다 커질 가능성이 크고, 블리자드 입장에서는 한국지역의 투자는 유지하면서도 한국 이외 지역에서도 스타크래프트 2 신이 성장하기를 바라는 것 같습니다.
스타크래프트 2 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해가 2016년이 아닐까 하는데, 그만큼 좋은 대회들로 한 해를 보낼 수 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