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05/17 17:58:49
Name 사조참치
Link #1 https://www.youtube.com/watch?v=eKPBBZKx7hk&pp=ygUe7J207J6s66qFIGXsiqTtj6zsuKAg6rCE64u07ZqM
Subject [일반] 오늘(5월 17일) 오후 광주에서 이재명 후보의 e스포츠 간담회가 있었습니다.
PGR 근본을 생각하면 관련글이 벌써 올라올 법도 한데... 아직 없어서 한번 올려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eKPBBZKx7hk&pp=ygUe7J207J6s66qFIGXsiqTtj6zsuKAg6rCE64u07ZqM
[[#이재명 LIVE] 소환사의 협곡에 오신 것을 환영하잼???? ⎮ K-콘텐츠 LEVEL UP!]

간담회와 함께 이재명 후보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플레이가 있었습니다만, 뭐 이건 특기(?)할 부분은 아닌 것 같고...
중요한 것은 대선 후보로서의 게임 문제에 대한 인식과 발언이겠죠.
성남시장과 도지사 당시 e스포츠와 관련한 게임시장의 경험(주로 선수 수명의 길이와 장래 문제 등) 같은 이야기도 나왔는데... 
개인적으로 주목한 부분은 크게 둘입니다.

1. 기성세대의 인식을 바꿔야 한다 (영상 17:00부터 19:00 전후)
동네가게 만화 보던 시절의 경험과 비교하면서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게임중독이나 기성세대의 인식 등에 대해 비판적이었습니다. 특히 박근혜 정권 당시 '중독'으로 규제하고, 당시 게임 종주국이었는데 중국에 추월당한 게 이런 영향이 아니냐.. 등의 견해도 나왔습니다(제가 주관적으로 옮기다 보니 틀릴 수 있습니다. 
기실 이재명 후보만이 아니라, 이미 재작년부터 민주당에서 이 문제에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개선 법안을 올린 적이 있었죠. '중독'이란 표현을 삭제하거나 질병 분류에서 빼서 인식을 개선하자는 취지의 법안, 확률 문제 개선하는 법안을 이미 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최근에는 게임특위를 발족해서 활동 중이기도 하고요.
묘하게 홍보가 안 되고 또 계엄 이슈가 너무 핫해서 묻혔습니다만...

2. 확률 조작 문제를 포함해, 게임 이용자들의 입장에서 화가 나는 문제가 많다(영상 43:50부터 45:00 전후)
[...그 회사는 안 그러겠지만 그 확률 아이템 이런 거 가지고 장난쳐 가지고 사람 약올리는 거의 뭐 기망에 가까운 예 그런 것들을 좀 안하면 좋겠다. 그래야 전체로 발전하지, 당장의 이익 때문에 그런 식으로 이용자들 사취 갈취하면 시장이 죽어요.]
저기 동석하신 분 중에 넥슨 관련자가 계신 것으로 아는데... 뼈가 있는 말이죠. 위에 언급한 확률 문제 관련 법안과도 연관이 있겠죠.
심지어 영상 마치려고 하기 직전에 잠깐만요 외치고 추가로 이야기를 했습니다.

전체적으로는 '산업으로 육성하자'는 방향성 하에서 다소 원론적인 이야기들이 많이 나왔습니다만, 적어도 게임산업을 대단히 긍정적으로 보고 접근한다는 인상을 받았습니다.
관심 가지고 본 분들도 많으실 테니 의견 달아주시면 좋겠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항정살
25/05/17 18:03
수정 아이콘
https://pal.assembly.go.kr/napal/lgsltpa/lgsltpaOngoing/view.do?lgsltPaId=PRC_F2F5E0M3M0L6L1K7K0I7R2R2P7Q3P1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김병기의원 등 10인)

김병기 의원 주도로 법률 개정하려고 하고 있죠
사조참치
25/05/17 18:12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그러고 보니 박정석 단장과 무릎 선수도 왔네요.. 박정석 선수는 너무 오랜만이라 얼굴도 못알아본..
넥슨 쪽 분은 e스포츠 팀장인 김세환 씨였군요. 분야가 다르긴 하지만 마지막 발언에 가슴 철렁했을듯..
(오타 나서 고쳤습니다)
시린비
25/05/17 18:12
수정 아이콘
뭐 롤에 대한 게시판이 활발한 모코나 모씨에서는 아마 반응들이 좋지 않은듯
'숟가락 올린다, 어차피 선거때 잠깐이다 게임에 대한 이해도 없다, 적으로 돌아설 것이다' 등등
사조참치
25/05/17 18:14
수정 아이콘
몇년 전부터 꾸준히 관련 법안도 내고 신경써 줘도 그런 반응이긴 하죠.
본문에야 탄핵 이슈 땜에 묻혔다고 썼지만.. 다시 생각해 보면 그런 여론이 민주당의 게임 관련 활동 묻히는데 더 크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물론 그렇게 할수록 민주당에서도 결국 게임계 챙겨줄 이유는 더 적어질 거고요.
人在江湖身不由己
25/05/17 18:28
수정 아이콘
네 다음 호텔경제학 이러면서 놀겠죠 크
카루오스
25/05/17 19:46
수정 아이콘
여성부가 게임에 대해 적대적인데 무슨 기대가 되겠습니까만은...
체크카드
25/05/17 19:59
수정 아이콘
영상 보시면 게임을 약물같은 중독으로 하는것에 문제가 있다고 이야기합니다
장관이 대통령을 조종하진 않겠죠
오류겐
25/05/17 20:11
수정 아이콘
문제는 여가부가 아니라 게관위 아닌가요? 여가부는 의외로 관여하는 바가 적고 문체부 산하 게관위가 만악의 근원입니다만
사조참치
25/05/17 21:17
수정 아이콘
셧다운제 폐지부터 해서 가챠확률 조작 방지 강화하겠다, 게임중독 지정도 빼겠다 등등 이것저것 해줘도 늘 이런 반응이니 민주당에서 신경써서 챙겨주는 것도 더 줄어들겠죠.
결국 정치인과 정치세력은 표심따라 가는 법이니까요.
허락해주세요
25/05/18 00:28
수정 아이콘
여가부는 그냥 담당업무 하는 주무부처입니다.
+ 25/05/18 08:1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여성가족부는 굳이 따지자면 청소년 관련하여 셧다운제의 주무부처였고, 문재인 정부 때(21년) 셧다운제가 폐지된 이후론 게임과 관련된 주무부처가 아닙니다.
게임과 관련한 여가부 업무는 인터넷과 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에 대한 진단조사와 치유 프로그램 지원, 전담 상담사 지원 등 대부분이 청소년 치유에 초점이 맞춰져있습니다.
무슨 펨코에서 말하듯 여가부때문에 게임산업이 발전하지 못한다, 여가부가 게임을 규제한다는 건 거짓말입니다.
짭뇨띠
25/05/17 20:27
수정 아이콘
궁금해서 게시판들에 검색해보니 아예 관심도 없는듯합니다.
반응이나 글이 아예 없어요.
시린비
25/05/17 20:56
수정 아이콘
아예 없지는 않고 찾아보면 있기는 합니다. 뭐 글이 엄청 많지는 않네요 관심이 적다는게 일단 맞는듯.
'아예 1도 모르는데 걍 쇼지
평소에 말 없던 정치인들이 갑자기 게이머 코스프레 하면 존나 아니꼽게 보임
무시하는거보단 관심 보이는 척이라도 하는게 낫다고 첨엔 생각했는데
요샌 쟤네가 이쪽을 어떤 식으로 보고 있나 생각해보게돼서 좀 거부감 생김
대놓고 정치인들이 버린 세대인데 이제와서 코스프레는
당선되고도 꾸준히 챙기는 모습 보여주면 이해할텐데 이미 통수를 몇번이나 쳐놓고
또 이** 하는거 보면 사람을 뭘로 보나 싶음
표빨이 하는게 보여서 짜증나
표 필요할때만 와서 공감하는 척
10년동안 속아서 이제 학습된거임'
등등을 봐서 말해본 부분입니다.
짭뇨띠
25/05/17 21:00
수정 아이콘
네 별 화제가 안되는 듯합니다. 정게나 롤갤이나 인기글 일반글들 검색어 몇가지 넣어서 돌려보는데 현재 핵심이슈로 여겨지지 않는건지 말이에요..
내일 티원 젠지 붙는게 더 화제같습니다.
아이군
25/05/17 21:03
수정 아이콘
뭐 이런거야 그냥 이벤트니깐...

반대로 이런 이벤트라도 주기적으로 해 주는 게 좋죠...
짭뇨띠
25/05/17 21:08
수정 아이콘
동의합니다. 게임업계에 대한 시선이 조금씩 고와지면 좋겠습니다.
kogang2001
25/05/17 18:22
수정 아이콘
아...이거때문에 어제 무릎선수가 방송을 못했군요.
밤에 급하게 공지 올리면서 토요일 갑자기 일정이 생겨서 금, 토 방송 못한다고 했는데 지방에 무슨 행사일까 했는데 거였군요.
환상회랑
25/05/17 19:31
수정 아이콘
저기서 여성 캐스터 분은 이터널리턴 리그하시는 천시아 캐스터. 우송대 이리학과 교수도 하시구요. 지역리그 출범한거 어필 좀 할 수 있었을려나 크크
도롱롱롱롱롱이
25/05/17 21:39
수정 아이콘
분명이 별 이슈 없이 지나갔어야 할 이벤트가 4번남의 sns로 아주 ...
인간흑인대머리남캐
25/05/17 22:02
수정 아이콘
무릎이 참여한게 신기하네여 격겜 선수를 챙겨주다니 역시 글로벌 스타 플레이어는 있고 봐야함 크크
사조참치
25/05/17 22:04
수정 아이콘
바로 옆에 누가 앉아있네.. 했는데 알고보니 무릎...
다람쥐룰루
25/05/17 22:56
수정 아이콘
게이머들한테는 정치인들은 자신들에게 신경꺼주길 바라는 마음도 있겠지만... 법과 제도가 어떻게 바뀌느냐에 따라 게이머들의 게임환경이 극과극으로 달라질 수 있다는걸 생각하면 본인이 유권자라면 관심을 가지는게 좋겠죠
중국은 미성년자가 아예 롤을 할 수 있는 환경이 못된다죠? 연습생 이런것도 힘들다고...
25/05/17 23:50
수정 아이콘
게이머들도 이제는 알죠, 저 정치인들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방구차야
25/05/17 23:5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이재명 개인의 관심은 잘 모르겠고, 결국 당에서 일을 하는 사람이 실제로 일할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느냐, 적당히 얼굴마담으로 내놓고 계층표심으로만 이용하느냐는 다를겁니다. 민주당은 오래전부터 전용기 의원이 역할을 하고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

https://youtu.be/RtKLNKzm6bg?si=euEW12Ysb4ETGGBS&t=38
(38초)

G식백과 김성회가 개혁신당 페이지에 출연해 관련 언급이 되네요. 개혁신당 간담회자리인데 허은아 대표(당시 의원)가 국민의힘에서 역할을 했던 포지션은 웃픈상황입니다. 그리고 개혁신당에서의 허은아는 다 알다시피....
사조참치
+ 25/05/18 08:26
수정 아이콘
전용기 의원 외에도 관련 법안 대표발의하고 이번에 게임위 위원장을 맡은 강유정 의원(이상헌 의원 밑에서 일했던 이도경 보좌관이 이분 쪽으로 갔더군요)이나 같이 참여하는 조승래 의원 등이 눈에 띄더군요.
그러고보니 g식백과 김성회 씨(동명이인이 있으니..)는 민주당이 게임관련 활동할 때 같이 참여할 만한데 묘하게 컨택이 없더군요? 이상헌 전 의원 당시에 시끄러웠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그 이후로 뭔가 트러블이 있나 싶긴 합니다.
25/05/18 00:35
수정 아이콘
걍 원론적인 이야기만 해서 알맹이는 크게 없었네요.
사조참치
+ 25/05/18 08:20
수정 아이콘
그 원론적인 이야기를 유력 대선후보가 직접 한다는 게 중요하니까요. 결국 실무는 다른 사람들이 맡고요.
간담회에서 나왔던 이야기들도 상당수는 이미 민주당 쪽에서 법안 발의 등으로 이야기가 된 사안입니다.

[22대 국회 1호 발의 게임법 개정안은 'e스포츠 진흥 법안' 표준계약서 사용하는 e스포츠 단체에 재정지원 근거 마련]
https://www.thisisgame.com/webzine//nboard/4/24985926?n=189645&page=16

[강유정 의원, '게임=질병' 분류 막는 통계법 개정안 발의]
https://m.inven.co.kr/webzine/wznews.php?hashtag=%EB%8D%94%EB%B6%88%EC%96%B4%EB%AF%BC%EC%A3%BC%EB%8B%B9&idx=297528&iskin=jojo&utm_source=chatgpt.com

[민주당, 게임특위 발족... 이재명 "게임 산업 발전의 길을 열겠다"]
https://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263/?category=2&n=207610
+ 25/05/18 08:47
수정 아이콘
등급 분류 제도 혁신 좋네요. 사전검열 유지하면서 민간으로만 바꾼다 이런 것만 아니면 만족.
+ 25/05/18 12:28
수정 아이콘
게임쪽은 그 원론적인 이야기도 안해서 문제였지요
25/05/18 01:02
수정 아이콘
싱글게임은 안 챙겨주려나요
사조참치
+ 25/05/18 08:27
수정 아이콘
당장은 중독 표현 삭제 등으로 인식 바꾸는 등의 포괄적 방향 외에는 좀 애매하네요; 결국 이 간담회도 'e스포츠' 간담회니.
25/05/18 02:17
수정 아이콘
영상 보고 왔는데 매니악한건 아니지만 그래도 정치인중에 이정도로 얘기가 진행되는게 있다는건 좀 놀랍네요.(나이생각해보면...)
뭐 원론적인 이야기는 많지만 그래도 적어도 이재명 정부에서 게임하는 사람들 그냥 사회의 악 혹은 사회에 버림밭은 존재취급은 안당하겠다는 생각정도는 합니다.
특이점이오고있다
+ 25/05/18 08:3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원론적인 이야기가 많아서 하드코어한 팬심은 못 얻을것 같은데, 그래도 아무소리 없는것보다는 낫겠죠.
게임 질병화 하려는 사람들 막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긴 할거고요.

몇몇 냉소적 사람들한테는, 그게 쿨하다고 생각할수는 있는데 결국 시간 지나면 남는것도 없고 받아 먹을수 있는것도 못 받아먹는다고 말해주고 싶네요.
썬콜and아델
+ 25/05/18 08:51
수정 아이콘
이 글을 보고 관심이 생겨서 조금 검색해보니 이런 기사도 있네요.

https://v.daum.net/v/20250307151313468

확실히 게임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게 느껴집니다.
이게대체
+ 25/05/18 12:44
수정 아이콘
(수정됨) 국내 게임의 부정적 인식을 정책탓만으로 돌리는 건 지양해야 하죠. 과거 게임을 질병이나 이런 식으로 보는 거 자체는 문제가 있다 보지만 그런 사람들이 있다 하더라도 게임 업계가 장사를 하지 못하게 막은 것도 없고 19금 게임 제외하곤 뭘 만들지 못하게 막은 것도 없죠.

게임 업계가 게임을 주로 소비하는 계층에게도 인식이 안 좋은 건 지나친 사행성 상품을 내놓거나 온갖 버그가 존재하거나 본질적으로 재미도 없는 것이고 저처럼 게임을 싫어하진 않지만 게임이 문화예술이라는 것에 긍정하지도 않는 사람 입장에선 재미라도 없어도 통념을 뒤집거나 그럴듯한 네러티브라도 담은 작품이라도 있어야 하는데 잘된 작품이고 안된 작품이고 적어도 국내 작품에선 본 적이 없네요. 이건 온라인 게임의 한계라고 생각하긴 합니다만, 아무도 온라인 게임만 만들라고 강요하진 않았으니 자업자득이죠.

벌어먹을려고 노력하는 건 알겠습니다만, 정말 그들 주장처럼 모든 사람을 아우르는 문화 예술처럼 취급받고 싶다면 본인들 스스로도 분발해야지 남들보고 그렇게 봐달라고 요구만 해선 아무 소용 없죠.
사조참치
+ 25/05/18 18:50
수정 아이콘
정책이 특별히 뭘 해줄 순 없을지라도 정책지원을 많이 받으려면 스스로 노력해야 할 지점이 있겠죠.
+ 25/05/18 18:20
수정 아이콘
잠깐 짬내서 절반정도 봤는데 별 내용이 없더라구요.
김성회라도 갔으면 모를까 박정석이랑 무릎은 뭐..
사조참치
+ 25/05/18 18:49
수정 아이콘
현장 실무 뛰는 사람들인데 김성회 씨에 비해 딱히 밀릴 이유가 없다고 봅니다.
+ 25/05/18 19:06
수정 아이콘
영상 보셨겠지만 질문 보는 내내 갑갑하더라구요
시간도 짧고 자주오는 기회도 아닌데 안타까웠습니다.
필드에서 뛴다고 의견 전달을 잘하는건 또 아니니까요
사조참치
+ 25/05/18 19:17
수정 아이콘
기존에 논의되었던 '중독'으로 치부하는 게임에 대한 인식과 사행성 문제 이야기가 나왔고,
두 사람을 통해서는 선수 수명이나 육성 문제와 관련하여 충분히 문제 제기가 되지 않았나요?
이미 진행되는 방안은 물론이고 차후 정책 진행에 중요하게 고려할 사항들은 충분히 보였다고 보입니다.
특히 현장의 의견 전달이 직접적으로 되었으니까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212699
공지 [일반] [공지]2025년 대선을 앞두고 선거게시판을 오픈합니다. [3] jjohny=쿠마 25/04/04 2503
공지 [일반] 선게에 단축키가 부여되었습니다. ( 8 키) [9] jjohny=쿠마 22/01/11 37051
6734 [일반] '기호 6번' 자유통일당 구주와 후보 사퇴 [8] 강가딘1035 25/05/18 1035
6733 [일반] 이재명 "대통령 4년 연임제 도입‥권한 분산하자" 개헌 제안 [44] 시린비4627 25/05/18 4627
6732 [일반] 김상욱 전 국힘의원, 민주당 입당 [33] 천연딸기쨈3763 25/05/18 3763
6731 [일반] 현 시점에서 국민의힘 대역전극은 불가능하겠죠? [87] a-ha5086 25/05/18 5086
6730 [일반] 오늘(5월 17일) 오후 광주에서 이재명 후보의 e스포츠 간담회가 있었습니다. [40] 사조참치5323 25/05/17 5323
6729 [일반] 국힘 출신' 김용남, 이재명 지지 선언…"DJ 꿈 이룰 사람 [182] 항정살9200 25/05/17 9200
6728 [일반] 피지알은 친민주당 커뮤니티인가, 에 관한 생각 [142] 한강두강세강5462 25/05/17 5462
6727 [일반] 대선 재검표의 추억 [13] 카린2580 25/05/17 2580
6725 [일반] 윤석열 국민의 힘 탈당 [73] 수돌이6271 25/05/17 6271
6724 [일반] 강해져서 돌아온 호텔경제학 [129] meson6589 25/05/17 6589
6723 [일반] 윤 대통령에 탈당권고한다던 김용태 비대위원장, 하루만에 '중요치 않다' (김용태,김재섭에 대한 비판) [21] 린버크3782 25/05/17 3782
6722 [일반] 아마 이번 대선의 상징이 될것같은 사진 [14] 어강됴리5019 25/05/17 5019
6721 [일반] 계엄날 윤석열과 통화한 나경원 [4] 체크카드3398 25/05/16 3398
6720 [일반] [社告] ‘5·18 보도’ 사과드립니다 [21] 유머4346 25/05/16 4346
6719 [일반] 황교안 선거운동 출정식…"부정선거 끝까지 싸워 승리할 것" [25] 기찻길2840 25/05/16 2840
6718 [일반] 민주당·조국혁신당 '연대'...진보당 '불참' [39] 기찻길3851 25/05/16 3851
6717 [일반] ??? : “윤석열·이재명 동반퇴진이 시대정신” [31] SaiNT4710 25/05/16 4710
6715 [일반] 헌재, 민주당 추진 재판소원에 찬성... "대법 따르도록 규정해야" 역제안도 [78] 전기쥐4636 25/05/16 4636
6714 [일반] 2025.5.16에도 여전한 이재명 후보의 '호텔경제학' [353] 여수낮바다12934 25/05/16 12934
6713 [일반] 뭔가 이상한 KBS 지지율 그래프 [24] a-ha4171 25/05/16 417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