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05/16 10:30:09
Name 손금불산입
File #1 GrBM_2kXQAAD1W2.jpg (761.8 KB), Download : 267
File #2 GrBgsYmXAAA_cmY.jpg (1.39 MB), Download : 267
Link #1 트위터
Subject [스포츠] [해축] 바르셀로나 24-25 라 리가 우승




우승컵에 '바르셀로나' 다 적어두고 언제 들어올리면 되냐 수준으로 우승이 확실시 되었던 바르셀로나가 이번 에스파뇰 경기에서 승점 3점을 따내면서 우승을 확정지었다고 합니다.



Gr-BTgx-EWMAABUDs

Screenshot-2025-05-16-at-10-26-13

21세기 들어와서 12번째 라 리가 우승이라고 하는군요.

시즌 도중에 부침도 컸지만 결국 이번 시즌 마지막엔 라 리가와 코파를 더블하며 영예로운 시즌을 보내게 되었네요. 수페르 코파는 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바이바이배드맨
+ 25/05/16 10:50
수정 아이콘
도메스틱 트레블이죠 챔스는 매우매우 아쉽지만 그거 제외하면 최상의 결과
손금불산입
+ 25/05/16 10: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우승 3번이니 트레블이라고 표현하면 엄밀하게 틀린 말은 아닌데, 슈퍼컵 같은 경우는 보통 더블, 트레블이라고 표현할 때 카운트를 잘 안하는 편이긴 합니다. 커뮤니티 실드, 수페르 코파, UEFA 슈퍼컵, 피파 클럽 월드컵 등은 국내에서 보통 다관왕이라고 표현하죠. 리그와 슈퍼컵 먹었다고 더블이라고 부르는 전례는 거의 없으니... 18-19 맨시티 역시 도메스틱 트레블이라 표현하지 도메스틱 쿼드러플이라고 표현히는 경우는 드물죠.
바이바이배드맨
+ 25/05/16 11:00
수정 아이콘
아닙니다. 이게 우리나라 축구팬들이 epl 기준이라 모든걸 epl처럼 해석해서 불만이 좀 있는편인데요.
라리가는 현지에서는 이게 트레블입니다. 리그컵이 없죠
https://www.fotmob.com/embed/news/01jv7q7t6cgc-Barcelona-Win-La-Liga%2C-Complete-2024-25-Domestic-Treble?utm_medium=share&utm_source=fotmob

https://x.com/Barca_Buzz/status/1923140007922893260
손금불산입
+ 25/05/16 11:13
수정 아이콘
(수정됨) 글쎄요. 그게 꼭 프리미어리그 중심 마인드라서 그런 것 만은 아닙니다. 저도 현지에 사는 사람이 아니니까 트레블이 맞냐 아니냐에 단언까지는 할 수 없지만, 대체로 트레블은 메이저대회 기준으로 카운트를 합니다. 굳이 유러피언 트레블이라고 표현 안하고 리그와 국내 컵 대회, 최상위 유럽대항전을 모두 우승한 기록을 트레블로 지칭하고 분류하고 있는 걸로 저는 알고 있거든요.

차라리 도메스틱 트레블이 PL 중심 개념이라고 하면 이해를 합니다만... 리그컵 권위가 애초부터 크게 좋은 편은 아니라 일례로 FA컵 탈락하고 리그, 리그컵, 챔스 우승한 경우에 이것도 (유러피언) 트레블 달성 사례로 들어가냐 마느냐 이런 논란이 있을 수 있겠는데 말이죠.

트레블이 3관왕이란 뜻이고 그러니까 트레블이란 명칭이 문제라는 것은 아니긴 합니다. 틀린건 아니지만 일반적인 기준은 아니다 정도? 하지만 그동안 통상적으로 시즌 단위 클럽의 성과를 평가할 때 기준이라면 슈퍼컵 성과를 더블, 트레블에 포함시키는 경우는 거의 없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라 리가에서는 이게 트레블이라는게 아니라 애초에 유럽에서 트레블은 유러피언 트레블을 지칭하는 경우가 일반적인 걸로 알고 있어요. 슈퍼컵도 다 포함시켜야 한다 이러면 그동안의 트레블 팀들도 다 딱 트레블에서 멈춘 팀이 없을겁니다.
바이바이배드맨
+ 25/05/16 11:18
수정 아이콘
(수정됨) 현지에서도 과거에서부터 스페인 축협에서도 도메스틱 트레블이라 불러왔는데 라리가 내에 일반적이지 않았다는 주장자체가 좀 epl 같은 관점이 일반적이라고 전제하는 느낌입니다. 애초에 도메스틱 트레블을 어디까지 지칭하냐는 건 리그컵이 있는 epl의 문제지 리그컵이 없어서 따지고말고 할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국내대회 3개 있는데 3개다 우승했으니 계속해서 라리가내 축구연맹, 기사들이 과거부터 그리 지칭해왔는데요. 4개인데 트레블이라는 워딩 주는 권위를 생각해서 슈퍼컵은 빼자는건 라리가는 성립할 수 없어요 4개가 아닌걸요. 3개대회에서 1개를 제외하면 애초에 태생적으로 라리가는 도메스틱 트레블이 불가능한 리그입니다. epl은 그렇게 불러주는거죠 라리가는 이렇게 부르는건데 왜 epl이랑 리그컵이 있는 팀은 라리가식으로 따지면 트레블워딩 권위가 안맞으니 적용할 수 없다가 나오는지. 그냥 epl과 라리가는 도메스틱 트레블을 지칭하는 대회가 다르다이지. 라리가도 성립할 수 없다가 아니죠

https://rfef.es/es/node/80605

스페인왕립축구연맹은 계속해서 도메스틱 트레블이라고 지칭합니다
손금불산입
+ 25/05/16 11:33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관점은 예전에 컵대회 2개 있는 나라에서 대부분 있던 관점들이에요. 당장 얼마전까지 리그컵 있던 프랑스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저도 PL 중심 관점을 굉장히 안좋앟는 편이지만 여기 문제에서 굳이 PL이나 PL 팬들을 들먹일 이유가 없어요.

그리고 이게 더블이냐 트레블이냐 따지는거는 double은 2고 treble이 3이다 이런 이야기를 하고자 하는게 아니니까요. 3관왕 맞으니까 트레블 맞고 전부 스페인 내 우승이니 도메스틱 트레블도 맞죠. 근데 그거야말로 지극히 스페인 내적인 관점인거고. 보통 유럽 축구를 아우르는 미디어에서 우승이라고 표현하면 별도의 표현이 없는 이상 당연히 메이저 대회를 기준으로 합니다. 슈퍼컵 대회들이 아우디컵이나 만델라컵 같은 근본 없는 대회는 아니지만은 메이저대회라고 분류하는 케이스를 적어도 저는 본 기억이 없네요.

더블도 맞고 도메스틱 트레블이라고 해도 틀린게 아닌데 왜 굳이 더블이 아니고 도메스틱 트레블이라고 고집을 할 이유가 있습니까. 기분 내고 싶다가 아닌 이상... 덕분에 시간 내서 바르셀로나 팬페이지도 들어가봤는데 거기서도 더블이라고 표현하시는 분들이 많던걸요.
바이바이배드맨
+ 25/05/16 11:35
수정 아이콘
저야말로 그냥 더블이라는건 잘못되었다고 언급한게 아니라 도메스틱 트레블라고도 충분히 불릴만한거라서 본문 더블이 잘못되었다는 말 한마디 없이 그래서 도메스틱 트레블이라 성공적 시즌이라 언급했을뿐입니다. 첫댓글 다시 보시죠.

근데 트레블 아니고 더블이 맞다고 다신건 맨시티 사례를 들며 손금불산입님이십니다. 그래서 맨시티사례로 이야기하는건 epl적 관점이며 스페인 자체네애서 인정된다고 근거로 댓글도 덧붙였는데 스패인 대회에서 스페인축구연맹이 인정하는 명칭을 썼을뿐인데 지금 본인 일반론에 의해 아니다라고 주장하시면서 고집하시는건 누구일까요?
손금불산입
+ 25/05/16 11:45
수정 아이콘
제가 바이바이배드맨님께 달아드린 3개 댓글 전부에서 '트레블이 틀렸다고 할 수 없다'고 지속적으로 언급하면서 해당 주장에 대한 직접적인 부정을 한 적이 없는데 고집이라고 표현하시는건 좀 유감이군요. 제가 반론하고 싶었던건 PL 중심의 편견쪽과 단순한 트레블 3글자에 담긴 일반론 정도였고, 라 리가뿐 아니라 다른 리그에도 함께 관심을 가지고 있는 입장에서 당연히 언급할 수 있는 정도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스페인 사람이 아니잖아요. 실제로 저는 슈퍼컵을 포함해서 트레블이라고 표현한걸 처음 들어봤거든요. 그래서 달아주신 레퍼런스도 흥미롭게 봤습니다. 그게 제 주장에 배치되지도 않으니까요. 그런데 왜그렇게 공격적으로 응답하시는지 이해가 되지 않네요.
바이바이배드맨
+ 25/05/16 11: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여담으로 도메스틱 트레블에 대해 마지막결론은 '엄밀해서 틀린표현보다는' 엄밀해서 말해서 '라리가한해서 도메스틱트레블이 맞는 표현이지만 더블도 엄밀히 말해서 틀리다고 볼 수 없다'에 더 가깝다라고 봐야한다고 생각하는 편이긴 한데 이정도 생각차이는 여기서 마무리하고요.

전 처음부터 손불금산입님 축구 지식은 굉장히 존중하는 편이라 첫댓글도 조심스럽게 더블이야기는 언급도 안한거긴 합니다. 애초에 공격적인 의도는 전혀 없었고 저도 계속해서 빠르게 쓰다가 불만->아쉬움으로 수정을 못한 부분이 있는데 저야말로 반대로 첫댓글부터 더블이야기는 아예 언급 안하려고 조심스럽게 달았는데 수정전에 체감상으로 저야말로 공격적으로 느껴져져서 손불금산입님 댓글 의도를 오해한 부분은 사과드리고. 애초에 저도 스페인내에서는 이리 사용된다는 언급과 레퍼런스 중심이라 공격성 의사는 전혀없고 호감가지고 계신 분이라 나름 건조하게 달았는데 그 부분이 손불금산입님께 공격적으로 느껴졌다면 사과드립니다.
+ 25/05/16 12:54
수정 아이콘
바이바이배드맨 님// 본문에서 더블을 언급했는데 댓글에서 ’도메스틱 트레블이죠’라고 하면
(더블이 아니라) 도메스틱 트레블이죠.
라고 느껴지긴합니다
바이바이배드맨
+ 25/05/16 13: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마킴 님// 사실 반대로 손불금산입님이 엄밀히 말하면 틀린말은 아니나 일반적이 않다라는 것도 직집적 부정은 아니지만 사실상은 부정적인 느낌이 드는 것처럼, 제 댓글도 반대로 직접적 부정은 아니었다라고 생각하시면 될거 같습니다.의견은 좀 다른제 제가 싸우자는건 아니야 이정도 이야기고 손불금산입님도 그런차원에서 댓글 달아주시는걸로 서로 받아들이자는 이야기죠
손금불산입
+ 25/05/16 11:58
수정 아이콘
저는 수정 전 내용이라고 해서 입장을 크게 바꿨다고 생각하지 않았는데, 주장을 뚜렷히 하고 오해가 없게 하고자 짧은 글을 더 길게 풀어쓰는 과정에서 수정 전 내용에 대한 아쉬움을 느끼실 수도 있었겠구나 생각이 드는군요. 처음부터 좀 길고 신중하게 글을 썼다면 좋았을텐데 저도 그러지 못한 것에 대해서 사과드립니다. 뭐가 어쨌든 바르셀로나가 아주 좋은 성과를 거둔 시즌임에는 분명하니 해프닝으로 너그럽게 이해해주신다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김퐁퐁
+ 25/05/16 10:57
수정 아이콘
바르셀로나가 쿠뎀그 이후 뭔가 계속 안풀리는거 같다가도 다시 반등하는 모습이 반갑네요
개인적으로는 해외축구판에 뭔가 동력이 없는 느낌이었는데, 라민 야말을 보면서 간만에 심장이 두근거렸습니다.
아무리 정교한 전술로 집약된 현대축구라도, 규격외에는 휘둘리더라구요

리오넬 메시를 처음으로 알게된 06년 이후, 이렇게 관심이 가는 선수는 네이마르 다음이라 참 오랜만입니다.
손금불산입
+ 25/05/16 12:02
수정 아이콘
다치지만 않으면 됩니다. 정말... 성장이 멈춰도 언제든 발롱도르 포디움을 노릴 수 있는 월드클래스 수준을 유지할테니 앞으로도 센세이셔널한 장면들을 많이 보여주면 좋겠군요.
카레맛똥
+ 25/05/16 12:27
수정 아이콘
야말의 10대가 메시의 10대는 뛰어넘을게 확실해 보이고 야말의 2030대가 메시의 2030대에 얼마나 근접할지 기대가 큽니다.
인생잘모르겠
+ 25/05/16 11:18
수정 아이콘
이렇게 빨리 살아날 줄이야.
애기찌와
+ 25/05/16 11:34
수정 아이콘
플릭감독도 첫해에 너무 잘해줬고, 슈체스니도 급하게와서 정말 잘해줬고, 토레스도 제몫해줬고, 야말은 하도 어린 나이에 뜨다 사라진 선수들을 많이봐서 긴가민가했는데 멋졌고 챔스가 아쉽지않은 시즌은 처음인거같아요 크으
무무보리둥둥아빠
+ 25/05/16 11:53
수정 아이콘
(수정됨) 야말이는 고작 07년생이라는게... 대체 상대팀들은 몇년을 더 봐야하는거여
글쓴이
+ 25/05/16 14:16
수정 아이콘
하이라이트만 보는 수준인데도 몇몇 선수들이 상대 등지고 버티는 수준이 엄청 높아져 보이더라구요. 축하합니다.
선플러
+ 25/05/16 17:32
수정 아이콘
챔스 넘 아깝당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기타] 스연게 재오픈 및 운영방침 공지 [38] jjohny=쿠마 20/05/10 221996 0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246337 0
공지 댓글잠금 [기타] 연예인 성범죄의 피해자 등에 대해 언급/암시/추정/질문하는 등의 행위를 금지합니다. [1] jjohny=쿠마 19/03/15 380123 0
공지 [기타] 몇몇 표현들에 대하여 가이드라인을 재공지합니다. [24] 17/10/25 452055 0
88496 [스포츠] [MLB] 세월이 흘러도 여전한 미국 노인 [9] 김유라2839 25/05/16 2839 0
88495 [스포츠] [KBO] 세월이 흘러도 여전한 노인네 투수 [8] 덴드로븀2599 25/05/16 2599 0
88494 [스포츠] [KBO] 세월이 흘러도 여전한 두 노인네 [14] 포스트시즌3031 25/05/16 3031 0
88493 [스포츠] [NBA] 오클과 덴버의 플레이오프는 2라운드는 7차전으로 갑니다... [27] 홍검2043 25/05/16 2043 0
88492 [스포츠] [MLB] 실시간 김혜성의 활약 및 오타니의 시즌 14, 15호 홈런 점심콜.gif (용량주의) [23] SKY923911 25/05/16 3911 0
88491 [스포츠] [KBO] 삼성 라이온즈 단일 시즌 투타 WAR 순위 [11] 손금불산입1710 25/05/16 1710 0
88490 [스포츠] [KBO] 1점대 선발투수, 0점대 불펜투수 [28] 손금불산입3058 25/05/16 3058 0
88489 [스포츠] [해축] 바르셀로나 24-25 라 리가 우승 [20] 손금불산입2086 25/05/16 2086 0
88488 [스포츠] 손흥민 이야기가 나와서 그런데 손흥민이 좋은 축구선수인가와는 별개로 주장으로서의 자질은 좀 의문이긴 합니다. [99] petrus5313 25/05/16 5313 0
88487 [연예] 따갚되에 실패한 황정음.gisa [44] VictoryFood9208 25/05/16 9208 0
88486 [연예] 하이브의 미국 현지화 걸그룹 KATSEYE (캣츠아이) 근황 [27] 코라이돈8686 25/05/15 8686 0
88485 [스포츠] [KBO] 10개 구단 현재 팀 도루 순위 [31] 손금불산입5335 25/05/15 5335 0
88484 [스포츠]  [KBO] 현재 신인왕 후보로 유력하게 꼽히는 2명 [31] 손금불산입6390 25/05/15 6390 0
88483 [스포츠] 약본즈 아버지 스탯.jpg [33] insane6599 25/05/15 6599 0
88482 [스포츠] [해축] 21세기 챔피언스 리그 징크스 [3] Croove2767 25/05/15 2767 0
88481 [스포츠] [NBA/MIN] ??? : 케빈 가넷 그거 미네소타서 컨파 한번 간 범부 아니냐? [46] 무적LG오지환2883 25/05/15 2883 0
88480 [스포츠] 인명사고가 났는데 7행시로 말장난이나 하고있는 창원시의회 [74] 슬로7746 25/05/15 7746 0
88479 [스포츠] [MLB] 김혜성 메이저리그 커리어 첫 홈런!!.gif (용량주의) [28] SKY924917 25/05/15 4917 0
88478 [스포츠] [MLB] 오타니 시즌 13호 홈런 점심콜 [10] kapH3170 25/05/15 317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