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04/22 19:36:43
Name 홍검
File #1 지미버틀러.jpg (472.3 KB), Download : 973
Link #1 조코피
Subject [스포츠] [NBA] 스탯만으로는 설명이 안되는 남자, 지미 버틀러 (수정됨)


버틀러가 위긴스와 트레이드되어 골스로 왔을때 많은 이들이 골스가 최악의 트레이드를 했다고 평했습니다.

그때 주된 논리중 하나가 버틀러나 위긴스나 스탯으로만 보면 별 차이도 안나는데 왜 훨씬 젊은 위긴스를 주고 35세나 되는 버틀러를 데려오냐 였습니다.

오죽하면 버틀러는 위긴스의 옆그레이드라는 소리만 나왔습니다.


트레이드전 스탯만 보면

위긴스 : 17.6득점, 4.6리바운드, 2.3어시스트

버틀러 : 17.0득점, 5.2리바운드, 4.8어시스트


득점만 보면 둘다 비슷비슷합니다. 그냥 20점 안되게 넣어주는 선수... 그런데 이런 스탯에는 맹점이 있더군요.

바로 타이트한 상황에서 2점과 가비지 상황에서 2점은 다 똑같은 2점이라는거...

경기를 보면 알겠지만 버틀러는 가비지거나, 팀이 많이 앞서거나, 혹은 우리편이 슛감이 좋을때 그냥 패스를 줍니다.

그러다 경기가 타이트해지고, 팀이 밀리고, 우리편 슛감이 안좋아서 자신이 해결해야 할 때 어떻게든 밀고 들어가 자유투를 뜯어냅니다.

그렇게 터프한 상황에서 어떻게든 득점을 해서 분위기를 다시 자기팀으로 끌어옵니다.

위긴스의 2점과 같은 2점이라도 순도가 다릅니다.




그리고 득점보다 더 중요한건 높은 BQ를 바탕으로한 볼핸들링과 수비, 디시전 메이킹입니다.





버틀러 커리 그린 높은 BQ 를 가진 3인방이 만든 커리의 3점



버틀러 질식 수비



버틀러 패스



볼핸들링 되고 수비 뛰어나고 디시전메이킹 되고 패스되고 농구의 모든 면에서 큰 육각형인데 이 모든게 사실 스탯에 나타나지 못하죠

볼핸들링 되서 커리의 부담을 덜어주고

자신이 직접 인사이드 파고 들다가 외곽에 패스 찔러줘서 3점 메이드 하고

높은 BQ를 바탕으로 그린과 함께 뛰어난 수비 시너지를 보여주고

이런 모든게 스탯으로는 다 담기지가 않습니다.



그래서 평득만 보면 위긴스와 똑같아 보이는데 막상 위긴스 있을때와는 달리 팀은 훨씬 더 많이 이깁니다.




그리고 버틀러가 가진 또 하나의 플러스는... 플옵만 되면 지미 조던 모드가 된다는 것입니다.


지금까지는 정규시즌의 버틀러를 말하는 거였지만 이 선수는 플옵만 되면 선수 자체가 바뀝니다.

정규시즌의 버틀러에서 한두단계 스텝업되어 릅듀카 부럽지 않은 완벽한 공수겸장의 에이스 선수가 됩니다.

한두번 그런거면 모르겠는데 이정도되면 플옵 버틀러는 과학입니다.



플옵 버틀러까지 생각한다면 위긴스로 버틀러 데려온건 골스에게는 역대급 개꿀 트레이드였습니다.

솔직히 위긴스로 버틀러 데려온다는건 지금 생각하면 말도 안되는 소리였죠.




결국 조코피도 버틀러 트레이드 잘못 깠다가 거울치료 당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코미카도 켄스케
25/04/22 19:39
수정 아이콘
25/04/22 19:55
수정 아이콘
제가 바로 그 농알못입미다. 지미조던형 미안해..
봐도봐도모르겠다
25/04/22 19:58
수정 아이콘
죄송합니다
죄송합니다
죄송합니다.
일단 세번 고개 박고 시작합니다. 크크
위긴스가 너무 효자였던지라 남의 자식이던 버틀리가 이정도로 효자인줄 정말 생각도 못했습니다.
버틀러오고 골스 농구 보는맛 넘 달아서 좋네요.
약설가
25/04/22 20:35
수정 아이콘
농알못입니다. 죄송합니다.
25/04/22 22:08
수정 아이콘
파묘를 멈춰주세요..
다행이 저는 나름 긍정적인 댓글로 달았군요... 휴..
자이너
25/04/23 08:31
수정 아이콘
크크.. 전 쓰지는 않았군요.
저도 농알못이였습니다.
FactorioSpaceAge
25/04/23 08:32
수정 아이콘
저도 농알못이었습다ㅠ
같은 스탯이어도 경기 내 영향이 전혀 다르더군요….
이야기상자
25/04/23 09:05
수정 아이콘
안녕하세요 농잘알입니다 크크
+ 25/04/23 11:10
수정 아이콘
와우 인정합니다 댓글 쓰신 그대로네요
25/04/22 19:42
수정 아이콘
파이널 2번간것부터가 대단한 선수라고 생각합니다.
일모도원
25/04/22 19:49
수정 아이콘
위긴스도 좋은 선수였지만 고점이 다른 지미 조던~!!
씨네94
25/04/22 19:51
수정 아이콘
??? 아니 태업에 부상병동 늙은이를 이 가격에... 골스 단장부터 다 미친건가..

라고 했던 농알못은 오늘도 대가리를 박고 있습니다.
동굴곰
25/04/22 20:03
수정 아이콘
인비지블 썸띵...이란게 진짜 존재하긴 한가봄.
25/04/22 20:32
수정 아이콘
위에 댓글에 나온 글에도 적었지만 트레이드 당시에 버틀러가 마이에미애서 태업을 하면서 이미지를 깎아먹고 그러면서 물음표가 많았던 트레이드라고 생각합니다. 골스에서 태업 없이 하니까 본인의 클라스를 증명하는거 같구요.
스테픈커리
25/04/22 20:36
수정 아이콘
저도 엄청 부정적으로 봤는데
S 급선수는 왜 S급인지 다시 보게 되었습니다.
역시 농알못인 제 자신이 부끄럽네요.
라울리스타
25/04/22 21:03
수정 아이콘
그냥 포지션이나 기록 보면 나이 더 많은 위긴스인데...인게임에서는 완전히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운동 능력 좋고, 한 때 팀에서 1옵션 밀어줬을 정도로 스킬셋도 나쁘지 않고, 워리어스 와서는 삼점슛도 만개했던 위긴스이지만
은근히 잔 실수가 많고, 믿고 공을 맡길 만큼 플레이 메이킹이 있는 것도 아닌 데다, 그러다 보니 죽은볼 처리는 터프샷밖에 없지요.
그 터프샷들을 적중할 정도로 손 끝 감각이 좋지 않음.

반면 버틀러는 운동 능력이 그다지 뛰어나 보이지도 않고, 스킬셋도 오히려 위긴스보다도 덜 화려해보이고, 삼점슛은 없는 수준이지만,
잔 실수는 거의 없고, 수비와 플레이 메이킹 모두 됨, 그러다 보니 커리에게 더블이 붙어도 버틀러에게 공을 주면 동료를 살리거나 때로는 1:1로 다양하게 수비를 찢음. 버틀러에게 조차 그래비티 효과가 생기다 보니 커리에게도 더 양질의 찬스 발생.

워리어스가 찾던 유형의 2옵션 그 자체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궁합이 좋아 보입니다.
테돌이
25/04/22 22:12
수정 아이콘
커리가 그런 기자의 질문에 대답했죠.

"버틀러는 2옵션이 아니에요. 그는 또 하나의 좋은 옵션입니다."
(그게 2옵션인가..)
아우구스투스
25/04/22 21:13
수정 아이콘
연장계약이 좀 비싸다거나 혹은 나이와 부상을 가지고 이야기할 수 있죠.

근데 위긴스하고는 경기를 보면 급이 다르고 무엇보다 플레이의 질이 달랐거든요.

너무 비싼 가격 아니냐 할 수 있으나 저 방향은 아니죠.
25/04/22 21:28
수정 아이콘
커리 그린이 있는 팀을 가서 잘된 일이죠. 버틀러가 라커룸 리더 역할을 못할 때 잘하는데 골스에서 커리나 그린 상대로 얘가 뭘할 수 있는 구도가 아니니..
이직신
25/04/22 22:23
수정 아이콘
버틀러는 매번 말하지만 어시 수치에 비해 정말 시야가 좋단 느낌을 확 받습니다. 다이렉트로 떠먹이는 어시스트보다 전체적으로 볼을 어떻게 돌려야되는지 맥을 잘 짚는 느낌입니다.
25/04/22 22:31
수정 아이콘
버틀러는 농구를 맛있게 하죠.
25/04/22 23:03
수정 아이콘
최선참 리더 역할을 맡을 때마다 팀내 불화가 터지는게 문제였는데 골스에선 딱히 리더역할이 필요가 없는것도 한몫하긴 하는듯합니다.
25/04/22 23:35
수정 아이콘
게다가 팀 자유투도 미친듯이 좋아지고(젊은 선수들을 직접 훈련 시킨다는 해설의 말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어떻게 저 한 명의 선수가 왔다고 팀이 이렇게 달라지는지 신기할 따름입니다.

인터뷰할 때 보면 커리에 대한 존경심도 상당하더군요.

근데 쿠밍가는 왜 출전을 아예 못하고 있는 건지, 정말 불화가 있긴 한가 봐요.
25/04/23 07:43
수정 아이콘
버틀러가 마이애미때 젊은선수들 집에 농구골대사서 보냈다는 썰이있죠 크크
쿠밍가가 휴스턴전 평득이 20점인데... 부상도아니고....
산토스도 나오고 똥쟁이 버디버디도나오는데참...
불화설은 어떤내용인가요???
25/04/23 09:27
수정 아이콘
전에 스포티비에서 캐스터가 "불화설이 들리긴 하더라구요."라고 잠깐 언급하더군요.

아마 카더라여서 그 이상의 언급은 안 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우리 귀여운 버디버디는 혹시 뛰어다니는 모습 때문에 똥쟁이인가요?
25/04/23 09:33
수정 아이콘
1차전 못해서 똥쟁이죠머 크크 커리도 못하면 똥커리니까요 크크
1차전은 똥쟁이 버디버디였지만 2차전은 또 지구최고3점슛터가 될수있는게 버디버디라 쓰긴쓸텐데...
버틀러가 농담이지만 이번 플옵1차전하고난 인터뷰에서 버디버디는 드리블하면안된다고 크크크
+ 25/04/23 10:35
수정 아이콘
아 그런 거였군요. 크크

커리는 배트맨, 버디는 똥쟁이!
+ 25/04/23 12:50
수정 아이콘
불화보다도 버틀러와 쿠밍가가 공존이 안됩니다.

쿠밍가가 BQ도 낮고 외곽슛도 안되고 그냥 우탕탕탕 골밑으로 파고 들어서 득점 올리는게 다인데 버틀러와 동선이 겹치고 둘이 같이 있으면 볼 흐름이 매끄럽지가 못합니다.

무엇보다 쿠밍가가 BQ떨어지는 플레이를 하면 버틀러가 못견뎌하는게 눈에 보이기도 하고

버디힐드는 그래도 외곽 터질때는 터지니까 로또 긁는 심정으로 계속 써보는데 쿠밍가는 버틀러가 들어온이상 이제 쓸데가 없어요.
+ 25/04/23 14:09
수정 아이콘
댓글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버틀러와 쿠밍가의 공존 부분은 골스 팬이라면 아마 대부분 아시는 내용일 거라 생각됩니다.

위에 Mamba 님도 언급하셨지만 쿠밍가가 부상도 아닌데 몇 경기 째 아예 1분도 나오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고

이에 대해 중계진이 잠깐 불화설을 언급했다는 것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뭐 이유야 어찌 되었든 나름 잘하고 있던 쿠밍가 본인으로서는 굉장히 억울하고 없던 불화도 생길 것 같긴 해요.

아주 가끔이지만 카메라에 쿠밍가의 얼굴이 보이면 마음이 짠하고 그렇네요.
25/04/23 00:08
수정 아이콘
전 개인적으로 위긴스는 과대 평가된 선수라고 생각했습니다..
25/04/23 00:23
수정 아이콘
뭔가 피펜 느낌이네요
무무보리둥둥아빠
25/04/23 02:57
수정 아이콘
저는 당시에도 나름 긍정적으로 생각도 했고 댓글도 긍정적으로 달았었더랬죠. 제가 생각했던 부분에서 바로 반등하고 효과를 보는게 보여서 무척 좋았지만 분명 그 예상 이상으로 잘 녹아들었습니다. 저 클래스 되면 녹아든다는게 큰 의미가 없는거였다는것까진 몰랐네요
25/04/23 07:40
수정 아이콘
당연히버틀러가 더나은선수인건 의심할여지가없었지만 이때반응이 안좋았던건
1.듀란트 영입한다했다 엎어져서 버틀러로 선회하여 패닉바이처럼느껴짐
2.버틀러 저돈주고 다음시즌 쿠밍가 연장계약하면 다시 세컨에이프런 넘기는데 지금선수단으로 우승가능?
이랬는데 아무의미없는 우려였던걸로
지금 걱정되는건 버틀러출장시간이 40분이라 몸이버텨줄지가...
자이너
25/04/23 08:40
수정 아이콘
저도 그전 플옵 지미만 보고 평소 마이애미 경기는 못 봐서 버틀러가 정확히 어떤 선수인지 몰랐습니다.
당연히 시즌 스탯이 플옵보다 낮아서 플옵만 뭔가 불타오르나(?) 그런 생각만 하고 있었죠.
그런데 골스에 와서 하는 플레이를 보니 스탯으로 표현할 수 없는 완전히 다른 유형의 선수 입니다.
한마디로 팀버프(?)형 선수에요.
평소에는 버프로 팀 전체의 능력치를 올려주고 결정적일때는 본인이 해결사로 나타나는 특이한 유형의 선수입니다.
raindraw
25/04/23 08:42
수정 아이콘
당시에 타팀팬으로서 생각은 버틀러 영입 자체는 나쁘지 않은데
너무 비싸게 영입한게 아닌가 생각했는데 역시 저는 농알못이었습니다.
25/04/23 09:09
수정 아이콘
어쨌든 상대적 약체인 마이애미를 파이널에 두 번이나 올린 선수
25/04/23 09:33
수정 아이콘
버틀러야 이적후 1,2년은잘해서...
3년차이후부터 땡깡이 문제지
Pelicans
+ 25/04/23 10:41
수정 아이콘
아무튼 지리는 남자
+ 25/04/23 14:54
수정 아이콘
히트팬이라 버틀러 폭망해버렸음 좋겠는데 요새 하는거 봐선 실력은 인정 안할수가 없겠습니다.... 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8132 [연예] [골때녀] 원더우먼의 비상과 비상, 그리고 희망? [11] 빵pro점쟁이4250 25/04/23 4250 0
88131 [스포츠] [WWE] 오늘의 RAW 애프터 매니아 [5] SKY922441 25/04/22 2441 0
88129 [연예] 대만미디어에서 시작했다는 2025 치어리더 인기투표 [18] 아롱이다롱이6260 25/04/22 6260 0
88128 [스포츠] [NBA] 스탯만으로는 설명이 안되는 남자, 지미 버틀러 [39] 홍검5298 25/04/22 5298 0
88127 [연예] [드라마 신병] 박민석 면회왔다. 여자던데? [8] Croove6903 25/04/22 6903 0
88126 [스포츠] [WWE 레슬매니아 스포있음] 돌고 돌아 다시... [20] 웃어른공격2912 25/04/22 2912 0
88124 [스포츠] 여자배구 FA 최대어 이다현 흥국생명행 [34] 쿨럭4824 25/04/22 4824 0
88123 [스포츠] [NBA] 디트 VS 뉴욕, 클리퍼스 VS 덴버 하이라이트 [27] 그10번2432 25/04/22 2432 0
88122 [스포츠] [KBO] 현재 외국인 타자 홈런 순위 [19] 손금불산입3978 25/04/22 3978 0
88121 [스포츠] [KBO] 규정이닝 선발 투수 0승 클럽 [21] 손금불산입3236 25/04/22 3236 0
88120 [스포츠] [K리그] 최근 3년간 K리그 평균 관중 [15] TheZone3464 25/04/22 3464 0
88119 [스포츠] [해축] 리즈, 번리 다음 시즌 PL 복귀 확정 [23] 손금불산입3097 25/04/22 3097 0
88118 [스포츠] [해축] 토트넘.. 누누 감독.. 챔스 진출.mp4 [14] 손금불산입4111 25/04/22 4111 0
88117 [스포츠] 프로야구 매출 상승, 키움히어로즈 작년 77억 흑자 [24] 핑크솔져7242 25/04/21 7242 0
88116 [스포츠] 네이버 스포츠 기사의 품질 관리는 없는 것 같습니다. [28] qwertyy6662 25/04/21 6662 0
88115 [스포츠] [WWE] CM 펑크 레슬매니아 41 프로모 및 등장씬 [3] SKY922583 25/04/21 2583 0
88114 [연예] 츄 미니 3집 타이틀곡 'Only cry in the rain' M/V (+최근 여러 영상) [4] Davi4ever2687 25/04/21 2687 0
88113 [스포츠] [기아] 김도영 복귀소식 [30] 삼각형6639 25/04/21 6639 0
88112 [연예] [단독] 고윤정 구교환, '나의 해방일지' 박해영 작가 신작 출연 [15] 씨네945740 25/04/21 5740 0
88111 [스포츠] [해축] 점입가경 세리에 A 우승 레이스 현황 [9] 손금불산입3694 25/04/21 3694 0
88110 [스포츠] [해축] 이재성 시즌 7호골.mp4 [5] 손금불산입2921 25/04/21 2921 0
88109 [스포츠] [NBA] 골스 VS 휴스턴 하이라이트 [19] Mamba3105 25/04/21 3105 0
88108 [스포츠] 갑자기 공식? 갈드컵을 개시한 한국프로축구연맹 [56] AGRS5353 25/04/21 5353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