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02/11 22:44:12
Name 홈스위트홈
File #1 버틀러.jpg (903.5 KB), Download : 896
Link #1 NBA매니아
Subject [스포츠] 골스가 왜 자신을 선택했는지 잘 보여준 버틀러 (수정됨)




vs 불스전

29분 출전 25득점 2리바 4어시 1스틸 1블락
자유투 11⁄13 84.6%




vs 밀워키전

31분 출전 20득점 9리바운드 6어시스트 4스틸
야투 4⁄12 33.3%
자유투 12⁄15 80.0%



버틀러가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에 오며 기분좋은 2연승을 거두었습니다.
골스가 위긴스를 내어주고 버틀러를 데려오며 온갖 비난을 받았지만 커리와 버틀러의 조화는 상당히 괜찮아 보입니다.

골스 get : 지미 버틀러
히트 get : 위긴스 + 슈뢰더+ 앤더슨+ 1라픽 1장

문제의 골스 대 히트의 트레이드였고 나이먹고 전성기 지난 버틀러를 상대로 골스가 위긴스 포함 너무 많이 퍼져서 손해라고 하는데 사실 그러한 말들이 이해가 잘 가지 않았습니다. 농구는 사실 A급 B급 여러명 있어도 S급 한명 보다 못한 스포츠이며 고작 5명이 뛰기에 선수 한명의 영향력이 매우 큰 스포츠라 자잘한 선수 여러명보다는 그냥 확실히 잘하는 선수 한명이 더 중요합니다.

슈뢰더나 앤더슨은 뭐 이미 아쉬울게 없는 선수들이고 1라픽 1장도 1라에 뽑혀서 아무 활약도 못하고 묻히는 선수들이 많다는걸 생각하면 엄청난 손해는 아닙니다.

결국은 버틀러와 위긴스 둘간의 비교인데 사실 고점만 놓고 보면 둘은 애시당초 비교대상이 아닙니다. 그냥 급자체가 버틀러가 위긴스보다 훨씬 높습니다. 버틀러는 본인이 1옵션으로 혼자 팀을 파이널까지 2번 올린 선수고 최소 2옵션까지는 확실히 보장되는 선수며 위긴스는 1옵션은 커녕 2옵션도 부족한 선수입니다.
위긴스가 각능력치가 육각형이고 밸런스 좋고 터프샷 잘 넣는다고 하지만 또 볼 핸들링이 안좋아 쉬운 이지샷도 잘 놓치고 해서 잘한다 잘한다 생각했는데 막상 스탯은 17~18점 정도에 그치는 선수입니다. 그리고 골스는 위긴스를 2옵션으로 쓴 2년동안 그 한계를 여실히 느꼈죠.

물론 위긴스가 더욱더 성장해서 확실한 1,2옵션으로 스텝업 할수도 있겠지만 그걸 기다리기에는 커리의 전성기가 얼마남지 않았다는게 문제입니다. 커리가 우승대권에 도전할 수 있는 건 많아봤자 2~3년 정도일테고 골스의 전략은 이 2년간 어떻게든 커리에게 우승 한번을 더 안겨주기 위해 모든걸 다 하는 것입니다. 커리 개인으로도 지금 역대 NBA 선수에서 11위정도를 하고 있는데 여기에 우승 1번에 파엠 1번만 더 추가하면 부동의 TOP 10은 물론 최고 7~8위까지도 올라설수 있을겁니다.

그래서 골스 입장에서는 어중간한 선수나 성장하는데 시간이 필요한 선수, 어떤 결과가 나올지 예측도 안되는 1라운드 1픽보다 지금 당장 확실히 우승에 도움이 되는 선수가 필요합니다. 원래는 그게 듀란트였는데 듀란트가 골스로 안오겠다고 하며 결국 남은 선택지는 버틀러 하나뿐입니다. 아니 오히려 버틀러가 날수도 있는게 듀란트는 절대 위긴스 + 1라 1픽으로 데려올수가 없죠. 쿠밍가라도 얹어줘야 데려올 여지가 있는데 버
틀러를 데려오고 쿠밍가를 지킬 수 있었죠.  

그래서 위긴스보다 급이 더 높고 플옵에서는 르브론, 듀란트 급의 플레이를 보여줄 수 있는 버틀러와 계약한거고 계약기간 2년동안 모든걸 불살라서 커리에게 우승 한번 더 주려고 하는게 골스의 선택입니다.

그리고 최근 2경기는 그런 골스의 선택이 옳았다는것을 보여주고 있구요.
버틀러는 스탯에서 가장 눈에 뛰는게 자유투를 정말 잘 뜯어내고 있다는겁니다. 그동안 골스의 가장 큰 문제는 자삥이 안된다는것이었고 자유투 성공률이 30개 팀중 30위였습니다. 야투 성공률이 항상 높을수만은 없고 성공률이 떨어질때 어떻게든 자유투를 뜯어내서 따라가야 하는데 골스는 그게 안되었고 결국 야투 난조면 그냥 침몰해서 가비지가 됩니다. 반면 버틀러는 매경기 13개 이상 자유투를 뜯어내서 80% 가까운 성공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두번째 경기에선 야투율이 33.3%로 난조를 보였지만 자삥을 통해 결국 20점 득점을 맞췄습니다. 이게 그동안 골스가 보여주지 못했던 모습입니다.

또한 커리와 버틀러의 활동반경도 달라 커리는 외곽에서 주로 활동한다면 버틀러는 프론트에 위치하며 서로 시너지 효과를 내고 있습니다. 위긴스가 3점을 노리면서 커리와 활동반경이 겹치는 경우가 자주 보였는데 버틀러는 아예 커리와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해서 리바운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뛰어난 BQ와 볼핸들링을 통해 중앙에서 절묘한 어시스트를 넣어주기도 합니다.

https://mania.kr/g2/bbs/board.php?bo_table=nbatalk&wr_id=14128549

버틀러의 BQ가 돋보였던 장면들입니다.



아직 2경기에 불과하지만 커리와 버틀러의 시너지는 매우 뛰어났고 커리는 이번 트레이드를 통해 다시금 우승대권에 도전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습니다. 예전처럼 위긴스를 2옵션으로 두었다면 우승은 거의 불가능했고 예전의 골스를 계속 반복했을 겁니다.

이 2년동안 다시한번 우승대권에 도전하여 커리 시대를 화려하게 마무리하는것, 이게 골든스테이트 워리어가 버틀러를 선택한 이유라고 생각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테픈커리
25/02/11 22:53
수정 아이콘
2경기만 보고 판단하기엔 이르지만
버틀러는 위긴스랑 급이 다른 선수긴 하네요.
아직은 버틀런 본인 성향의 게임이 아니라
약간 맞춰주는 느낌이 들어 더 지켜보긴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골스는 포젬스키가 정말 별로고, 버디는 경기가 쌓이니 폼이 괜찮은 탐슨급과도 비교할 수준은 아닌듯 합니다.
버틀러가 오니 쿠밍가가 좀 애매해보이네요. 쿠밍가가 아니라 앤트맨이었으면 정말 좋았을텐데말이죠;;
25/02/11 23:11
수정 아이콘
2년동안 언해피 안터트린다는 전제하에는 버틀러가 골스에 더 잘 맞는핏 같긴 합니다.
무적LG오지환
25/02/12 00:56
수정 아이콘
계약 마지막해 오기 전까지는 잘 뛸겁니다 크크
세법개론
25/02/11 23:16
수정 아이콘
버틀러가 모든 방면에 육각형인건 확실하지만 스페이싱 문제때문에 골스에 잘 맞을지 의문이었습니다.
하하 역시 농알못, S급 선수에게 조합이고 핏이 무슨 문제
아데바요 마냥 주구장창 페인트존 먹는 선수가 없으니 되려 버틀러만의 공간이 더 생겨버리고
본인 스스로 퍼실리테이터 역할로 스페이싱 조정을 해버리는 느낌이 드네요
모래반지빵야빵야
25/02/11 23:20
수정 아이콘
하필 첫 경기가 제 응원팀이자 버틀러의 옛팀인 불스전이라...하이라이트로 챙겨봤는데,

후반들어서 미친듯이 자삥하면서 (가뜩이나 그리 좋다 할 수 없는) 시카고 수비를 신나게 흔들더군요. 그래...그런 너가 시카고에 있을 때가 좋았다 ㅠㅜ 골스에서 행복농구하렴 ㅠㅠ
이직신
25/02/11 23:24
수정 아이콘
버틀러는 예전부터 느낀건데 온볼플레이어 치고 그렇게 쓸데없이 소유권을 많이 잡아먹는다는 느낌이 잘 안들어요. 그리고 어시스트 숫자 자체는 높은 편이 아닌데 시야가 넓고 볼 돌리는데 능숙하단 생각도 들고
25/02/11 23:38
수정 아이콘
트레이드는 이해가 갑니다. 어차피 커리 있는 동안 뭔가를 해야 하는데 지금 이대로는 방법이 없으니
25/02/12 00:01
수정 아이콘
서로의 합에 어색함이 느껴지지 않더군요. 오히려 위긴스나 슈뢰더가 겉도는 느낌이었어요.

부상만 당하지 않으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
스카야
25/02/12 00:09
수정 아이콘
잘하면 잘하는대로 못하면 못하는대로
버틀러 트레이드는
픽 1장으로 골스 커리시대의 마지막을 팬들에게 납득시키는
좋은 트레이드라고 봅니다.

손해가 없어요
Lazymind
25/02/12 00: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삭제(벌점없음), 표현을 주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홈스위트홈
25/02/12 00:44
수정 아이콘
젊은 선수에 대한 지나친 올려치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아무리 위긴스가 젊고 버틀러가 늙었다지만 서로 현격한 급차이가 있는데...
산다는건
25/02/12 00:50
수정 아이콘
이제 그린으로 괜찮은 빅윙이나 센터를 연성해오자!!!
가고또가고
25/02/12 01:20
수정 아이콘
불과 2년 전에 팀을 파이널까지 이끌었던 선수인데 지금도 건강만 하면 2옵션은 차고 넘치죠.
25/02/12 03:17
수정 아이콘
애초에 비교군이 듀란트였죠

1. 듀란트 못델고 온시점에서 대체자가 버틀러? 제정신?
2. 그 반대급부가 위긴스?
3. 오자마자 2년 1,000억 연장계약?
4. 에고 쎈걸로 유명한데, 그린이랑 사이좋게 지내는거 가능?

복합적으로 우려를 표한거죠
인생잘모르겠
25/02/12 08:18
수정 아이콘
2년 112니깐 2년 1500억.
25/02/12 05:1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문제는 부상이죠 쿠밍가마저 없어 지금 실질적인 골스포워드가 버틀러 그린 두멍입니다
써드유니급 산토스에 힐드 무디 포지엠스키 3번으로 돌려막기중이라 언제 펴져도 이상하지않은스쿼드입니다
버틀러가 연60 게임도 출전힘든선수인데...
커감독이 그래도 출전시간관리는 잘해주긴하는데 불안불안합니다

트레이드평가는 이런느낌이죠
버틀러에서 위긴스가 업그레이드인가 - O
이멤버로 우승가능한가 - X
+ 쿠밍가 연장계약하면 바로세컨에이프런초과인데 내년로스터는???
25/02/12 06:25
수정 아이콘
골스팬들이 위긴스를 지나치게 고평가한거죠. 아무리 늙고 태업해도 버틀러인데 애초에 위긴스랑은 비교군 자체가 아님. 그렇다고 위긴스가 젊은 유망주도 아니고
25/02/12 07:18
수정 아이콘
단 두경기이지만 시너지가 좋습니다.
버틀러가 들어오고 커리에게 공간이 많이 나고 커리 없는 구간 버클러 위주로도 경기가 안정적이에요.
무엇보다 반드시 득점이 필요할때 자유투 삥뜯기는 진짜 중요합니다.
Grateful Days~
25/02/12 07:19
수정 아이콘
실력이야 제대로 뛰면 저정도의 급이란건 알고있지만

문제는 또 언제 무슨 이유로 땡깡을 시전할지 모르는 분이라는게.. 겁나죠.
세인트루이스
25/02/12 10:08
수정 아이콘
22 근데 워낙 자기보다 훨씬 높은 급의 선수가 있는 팀이고, 커리가 또 에고 높이지 않는 스타일의 리더인지라 땡깡 안부리지 않을까 싶네요.
수리검
25/02/12 08:43
수정 아이콘
현시점에서 버틀러 > 위긴스라는 걸
부정하는 사람은 없죠

다만 많은 나이 잦아지는 부상
늘어가는 땡깡 (...) 등을 생각하면
과연 2년이라도 알차게 써 먹을수 있는가
하는 부분이 의문일 뿐

무엇보다도
이런식으로 미래 다 퍼가며 달릴때에는
'지금보다 나아지는' 수준이 아니라
본문 언급하신 것처럼
대권에 도전하는 전력이 되어야 의미가 있는데
과연 지금이 그런가? 하면
전 지난 두경기의 전력도 그정도는 아니라고 봅니다

위에 말한 불안요소를 생각한다면 더더욱요
닉네임뭐하지
25/02/12 10:16
수정 아이콘
골스는 미래 다 퍼준적이 없는데요...
수리검
25/02/12 10:53
수정 아이콘
위긴스와 1라픽이 미래가 아니면
뭐가 미래입니까?
25/02/12 11:04
수정 아이콘
위긴스도 어린 선수는 아니고,
보호 걸린 1라픽 한 장을 가지고 미래를 “다” 퍼줬다고 하진 않을 것 같은데요. 미래는 맞지만 적당히 준 듯 합니다. 
버틀러 계약도 커리 계약이랑 딱 맞춘 거고..내년까진 잡음 없을 거 같아요.
닉네임뭐하지
25/02/12 11:11
수정 아이콘
1. 위긴스 계약기간은 내년까지고 1라픽은 올해꺼 한장 내줬습니다. 그것도 탑10 보호 걸어서요. 유망주 지출은 아예 없구요. 이걸 누가 미래를 팔았다고 하나요? 미래 팔았다 하려면 듀란트한테 쓰려던것처럼 쿠밍가+1라,2라 픽다발 이정도 줘야 미래 다 팔고 달리는거죠.
2. 골스 미래는 커리 이후 에라인데 이번 커리 계약 끝나는시점부터 대부분 1라픽이 남아있는데 이건 미래 창창한겁니다. 버틀러 커리 계약 동시에 끝나면 리셋하든가 코비말년처럼 커리말년 보든가 하겠죠.
3. 버틀러 오기전까지 달리고싶다던 몇몇 커리 인터뷰보면 이런거라도 해야했고 딜 자체도 필요한부분을 합리적으로 잘 했습니다.
위긴스+1라픽 한장을 미래라고 보면 전 더 할말이 없네요 크크
+ 25/02/12 17:54
수정 아이콘
위긴스가 무슨 3~4년차도 아니고 쿠밍가,포젬 + 이번 트레이드 1라픽 제외하고 다 남아있으면 미래가 남아있는거죠
drunken.D
25/02/12 09:25
수정 아이콘
버틀러 트레이드 터졌을 때 수많은 사람들이 품었던 의구심들은 하나씩 풀어나가면 됩니다.
커리어 내내 증명론에 시달리던 커리 옆에서 버틀러도 증명해 줬으면 좋겠네요.
FactorioSpaceAge
25/02/12 09:43
수정 아이콘
전 부정적으로 봤었는데, 확실히 위긴스와 급이 다르네요.
부상을 잘 당해서 걱정이긴한데 부상없이 잘 하면 좋겠습니다.
25/02/12 10:14
수정 아이콘
느알못으로 자삥이 뭘 말하는거지? 했었는데 2경기 보고 바로 이해했습니다
25/02/12 11:06
수정 아이콘
이제 돌아올 쿠밍가 생신가와 조화만 된다면 재미날 듯 합니다. 
위긴스-쿠밍가-그린은 동시에 나올 수가 없던 게 문제였는데 
버틀러-쿠밍가-그린은 가능할 거 같아요. 
여기에있어
25/02/12 11:28
수정 아이콘
힐드랑 버틀러를 보면 골스 오펜스 시스템에서는 3점을 잘 쏘느냐보다 컷이랑 패스 흐름 이해하고 바로바로 움직이는게 더 중요한 덕목인듯 합니다.
따마유시
25/02/12 11:40
수정 아이콘
골랄이 잘나가야 재밌는데 둘다 보강은 제대로했네요
탑클라우드
25/02/12 12:04
수정 아이콘
밀워키전 하이라이트보며 든 생각이,
'아 버틀러 야투 진짜 부정확하네. 팀 플레이 원툴인데 어찌 파이널을 이끌었냐?'
근데 경기 끝나고 보면 20득점.

이전에 위긴스 보면,
'아 위긴스 야투도 정확하고 3점도 가능하니 볼 맛 나네'
근데 경기 끝나고 보면 19득점...
이야기상자
25/02/12 12:47
수정 아이콘
그나마 2경기 활약해서 이전 트레이드글처럼 황당한 위긴스 올려치기는 안보여서 다행이네요
커리 era 에 해볼만한 팬, 팀, 커리 모두에게 리즈너블한 무브이긴 합니다
안철수
25/02/12 15:09
수정 아이콘
커리 쌩쌩할때 그린 탐슨 똥기저귀 너무 오래 치운거 같은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기타] 스연게 재오픈 및 운영방침 공지 [38] jjohny=쿠마 20/05/10 216068 0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240914 0
공지 댓글잠금 [기타] 연예인 성범죄의 피해자 등에 대해 언급/암시/추정/질문하는 등의 행위를 금지합니다. [1] jjohny=쿠마 19/03/15 370231 0
공지 [기타] 몇몇 표현들에 대하여 가이드라인을 재공지합니다. [24] 17/10/25 442889 0
87060 [스포츠] 롯데 대 대만 친선경기 1차전 결과 (내눈) [12] 성야무인2675 25/02/12 2675 0
87059 [스포츠] [해축] 리버풀 보름동안 5경기 일정 시작 [2] 코마다 증류소1523 25/02/12 1523 0
87058 [스포츠] [해축] 아스날 하베르츠 잔여 시즌 아웃 예상 [11] 손금불산입1563 25/02/12 1563 0
87055 [스포츠] [KBO] 오늘 내일 대만 국대와 하는 연습경기에 당황한 롯데 [25] 매번같은5002 25/02/12 5002 0
87054 [스포츠] 축구팬들 재밌게 볼 만한 풀경기 올라왔네요 (2006월드컵 한국:프랑스) [20] 시나브로2638 25/02/12 2638 0
87053 [스포츠] [KBO] 승리를 가장 잘 지킨 마무리 정해영 [29] 손금불산입2912 25/02/12 2912 0
87052 [스포츠] [KBO] 노경은 나이에 노경은보다 더 잘했던 투수 [12] 손금불산입3484 25/02/12 3484 0
87051 [스포츠] [해축] 레알 마드리드 vs 프리미어리그 [8] 손금불산입1826 25/02/12 1826 0
87049 [스포츠] [해축] 하베르츠마저 부상, 아스날은 비상 [17] 코라이돈2579 25/02/12 2579 0
87047 [스포츠] [해축] 폼이 심상치않다는 우스만 뎀벨레.mp4 [8] 손금불산입2613 25/02/12 2613 0
87046 [스포츠] [해축] 맨시티 vs 레알 마드리드 챔스 녹아웃 PO 1차전.gif (용량주의) [11] SKY923638 25/02/12 3638 0
87045 [스포츠] 임효준(린샤오쥔)이 중국으로 귀화한 이유 [52] 홈스위트홈9518 25/02/12 9518 0
87044 [스포츠] 골스가 왜 자신을 선택했는지 잘 보여준 버틀러 [35] 홈스위트홈5719 25/02/11 5719 0
87041 [스포츠] 맨유에서 박지성과 뛰던 치차리토 근황 [13] 에어컨5280 25/02/11 5280 0
87040 [스포츠] 치트키 쓰는 삼성 라이온즈 신규 콜라보 [11] 유머3340 25/02/11 3340 0
87039 [스포츠] "넷플릭스, 해도 해도 너무하네"…한국 프로야구까지 '눈독' [31] 핑크솔져5755 25/02/11 5755 0
87038 [스포츠] [쇼트트랙] 기아팬 인증한 김길리 [10] Croove4757 25/02/11 4757 0
87036 [스포츠] KBO 구장 전광판 크기 비교 [12] 여기4090 25/02/11 4090 0
87035 [스포츠] [NBA] 르브론을 보고 행복하게 웃는 돈치치 [41] kapH5009 25/02/11 5009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