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9/13 00:41:17
Name 빼사스
File #1 comm_30363420_20250912171632_c30049b29672ae03_thumb.jpg (34.6 KB), Download : 214
File #2 comm_30363420_20250912171632_33046b20d163d6d2_thumb.jpg (34.9 KB), Download : 214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j2OZC0nM1f4
Subject [방송] 통돌이 세탁기 vs 드럼 세탁기 세척력 비교






오늘..아니 어제 올라온 귀곰 채널에서 통돌이 세탁기에 대한 기존 상식이라고 믿었던 게 깨진 결과가 나왔습니다.
오염포로 돌려본 1차 결과 드럼 세탁기가 2배 이상 뛰어난 세척력,
그래서 통돌이가 빨래 끼리 비벼져야 더 세탁이 잘 되는 거라는 이슈로 다시 시도한 2차 결과 역시 드럼 세탁기의 압승
물론 귀곰은 최신형 LG 세탁기라 더 큰 차이일 수 있다고 했지만
영상 내용으로는 2013년인가에 이미 해외에서 논문으로 드럼세탁기가 더 세척력이 높다고 했다는군요.

우리는 보통 통돌이가 더 세척 잘 된다고 믿지 않았나 싶지만 그걸 깨는 결과입니다.
요즘 가끔 6년된 드럼세탁기 세척이 영 마음에 안 들어서 통돌이 다시 들일까... 했는데 말이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동쪽의소나무
25/09/13 00:46
수정 아이콘
통돌이가 더 세척력이 좋을 거라는 게 왜 통념이었는지 모르겠네요. 진짜 그렇게들 생각했나요?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하고 있었다니까 그런갑다 하고는 있는데...

잠깐 생각해 봐도 모든 세탁물을 같은 방향으로 번갈아 돌리는 것보다는 들어올려서 내치는 드럼이 더 세척력이 쎌 것 같지 않나요...;?
빼사스
25/09/13 00:53
수정 아이콘
보통은 통돌이가 좌우로 비벼 빠는 느낌이라서 더 잘 될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던 듯해요. 사실 통돌이를 보면 마구 좌우로 회오리처럼 회전되어서 정말 잘 된다는 느낌이거든요.
동쪽의소나무
25/09/13 01:04
수정 아이콘
손빨래야 한손은 좌로, 한손은 우로 교차하니까 비벼 빠는 건데,
통돌이는 다같이 좌로 돌고 다같이 우로 도는데 무슨 수로 둘이 빡세게 비비겠나.... 싶어요 크크
+ 25/09/13 02:37
수정 아이콘
빨래꺼낼때 지들끼리 엄청 꼬여있으니 강한힘이 작용하는 느낌이들죠
드럼은 낙차로만 빤다고하니 신뢰감이 들지않았고..
덴드로븀
25/09/13 00:55
수정 아이콘
통돌이 : 손으로 빨래하듯 비벼빠는것 같으니까 뭔가 잘 빨릴것 같음
드럼 : 혼자 철푸덕 철푸덕 소리만 나고 힘도 없고 뭐하는건지 모르겠으니 잘 안빨릴것 같음

1969년 : 국내 최초 세탁기 금성 백조 세탁기
1980년대 후반 : 대단지 아파트 시대로 베란다가 생기고 세탁기가 혼수 필수품
2000년 이후 : 드럼 세탁기 보급 시작

드럼세탁기가 퍼지기 시작한게 얼마 안되다보니 어르신들의 인식이 그대로 넘어온게 큰것 같긴 합니다.
25/09/13 00:55
수정 아이콘
헉 빨간약이..
25/09/13 01:00
수정 아이콘
헐 드럼버리고
통돌이 쓰고있는데
캡틴백호랑이
25/09/13 01:02
수정 아이콘
어쩐지...
25/09/13 01:05
수정 아이콘
영상제작자분도 언급했지만 식기세척기 같은거죠... 초기에 식기세척기 써보고 식기세척기 별로다... 요즘 써보면 진짜 좋은데 말이죠.
드럼이 초기에는 kg도 작고 별로였고 사람들이 잘 쓸줄도 몰랐죠. kg도 작은데 옷 가득 넣어서 빨래한다거나. 요즘은 kg도 넉넉하고 빨래 끝까지 채우지도 않으니 드럼이 훨씬 좋을거 같습니다.
25/09/13 01:22
수정 아이콘
영상마다 광고링크 달아놓는 개인 유튜버의 실험을 어디까지 믿어야 할지는 모르겠습니다.
드럼이 훨씬 비싸니까 장사꾼 입장에선 팔고싶겠죠.
미국 컨슈머리포트는 통돌이 세척력이 더 좋다고 합니다.
https://www.consumerreports.org/appliances/washing-machines/buying-guide/#what-makes-a-good-washing-machine
빼사스
+ 25/09/13 01:43
수정 아이콘
귀곰은 꽤 오래 전부터 상당한 비용을 들여서 제대로 분석하기로 정평이 난 인물입니다. 영상에 나온 오염포만 해도 엄청난 돈이 들어가는 소모품이고요. 광고 단 유튜버라고 해도 제안받은 상품도 대차게 까는 인물입니다.
+ 25/09/13 02:0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도 귀곰 유튜브 많이 봤고 최근 가전제품 사면서 도움받았습니다.
그래서 어떤 사람이고 어떤 한계를 가졌는지도 잘 압니다.

컨슈머리포트는 천만달러 단위의 돈을 쓰는 100년 가까운 역사를 가진 "비영리" 소비자단체이며
그들의 리뷰 페이지에는 제품 광고 링크가 없습니다.
동쪽의소나무
+ 25/09/13 02: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미국 HE TopLoad (고효율 통돌이) 는 한국 통돌이와는 세척 알고리즘이 다릅니다. 미국 거 보고 있으면 좀 답답하던데 ;;
https://youtu.be/LNDvg2VyNvA?t=462 (2025 BestWasher LG WT8405. 7분 40초에 세탁장면이 나옵니다.)
전문가가 아니라서 틀릴 수도 있지만, 여튼 미국과 한국 세탁기는 방식이 많이 다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컨슈머리포트 평가 결과 드럼 세탁기는 고효율 통돌이 세탁기와 교반식 세탁기보다 세척력이 뛰어나고 물을 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가 컨슈머리포트 구독자는 아니라서 세탁력 평점이 얼마인지는 모르겠지만, 2024년 기사를 보면 세척력도 드럼을 높게 쳤나 봅니다.
+ 25/09/13 02:37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미국 세탁기가 다른방식인건 몰랐습니다.
그리고 제가 링크한 페이지에는 he topload 장점이 wash performance 라고 나오는데 한국 기사에는 왜 반대로 써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동쪽의소나무
+ 25/09/13 02:4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기사가 정확하게 쓰여진 게 맞다면, 링크페이지 wash performance 앞에 (Agitator TopLoad에 비해) 가 생략된건가 싶네요.
"FrontLoad가 비싸고 좋은 건 알겠는데, 이건 둘 다 TopLoad 잖아요. HE TopLoad가 Aglitator TopLoad 보다 훨씬 비싼데 왜 사야 하나요?"
를 설명하기 위해 들어간 문장이 아닌가 싶습니다.
25/09/13 01:28
수정 아이콘
드럼 세제가 따로 있는 이유가 일반 세제로 하면 더 거품이 많이나서 그렇다고 알고 있었어서요. 당연히 드럼이 더 셀거라고 생각했어요.
우상향
+ 25/09/13 01:53
수정 아이콘
보통 빨래는 미루다가 한꺼번에 하는 경우가 많으니, 빨래 최대치로 넣고 하면 드럼은 낙차가 줄어들어서 통돌이 우위가 아닐지.
제가 본 글들도 다 이런 이유로 통돌이가 세척력이 좋다고 하더군요.
시혁희진
+ 25/09/13 02:10
수정 아이콘
세탁기는 제일 큰 25키로 짜리로 준비해 놓고서 정작 세탁물은 티셔츠 8장 정도만 넣고서 돌린게 좀 아쉽네요.
전기쥐
+ 25/09/13 02:20
수정 아이콘
음 다른 유튜브에서는 통돌이가 더 낫다고 하던데요..
안철수
+ 25/09/13 02:32
수정 아이콘
통돌이의 세척력은 잘 모르겠으나
드럼은 빨래를 얼마나 채우냐에 따라 세척 효과가 천차만별이라 본문 실험은 애매하네요.
interconnect
+ 25/09/13 03:32
수정 아이콘
물의 온도도 같게 맞췄는지 모르겠네요.
드럼은 무조건 가열하지 않나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9288 [유머] 빛의 속도로 차여 본 적 있나? [4] 마스터충달760 25/09/13 760
519287 [유머] [컴덕]10400은 현역입니다. 아무튼 그렇습니다. [1] manymaster751 25/09/13 751
519286 [방송] 통돌이 세탁기 vs 드럼 세탁기 세척력 비교 [21] 빼사스1803 25/09/13 1803
519285 [게임] 위기에 빠진 파엠 시리즈를 구하러 온 사람 [6] 길갈1980 25/09/12 1980
519284 [게임] 닌텐도 다이렉트에서 공개했다는 기기.jpg [10] Thirsha2648 25/09/12 2648
519283 [기타] 현재 전국 강수량 [7] VictoryFood6152 25/09/12 6152
519282 [기타] 생각보다 평가가 나쁘지 않게 나온 차 [19] 깃털달린뱀4840 25/09/12 4840
519280 [기타] 연간 상승율 41%인 시장 [27] 카바라스6983 25/09/12 6983
519279 [유머] 길가다가 꽃향기 함부로 맡으면 안돼는 이유 [25] 인간흑인대머리남캐5665 25/09/12 5665
519278 [유머] 음용하면 매우 위험한 물질 [18] 인간흑인대머리남캐5110 25/09/12 5110
519277 [유머] 황당한 20대 신입의 도주극 [20] 유머5693 25/09/12 5693
519276 [유머] 술과 물의 구분법 [8] 인간흑인대머리남캐3381 25/09/12 3381
519275 [유머] 만화가가 아기를 근육질로 그리는 이유 [6] 인간흑인대머리남캐3859 25/09/12 3859
519274 [서브컬쳐] 물들어올때 노젓는 치지직 같이보기.jpg [16] Thirsha3161 25/09/12 3161
519273 [기타] 한국 거주 외국인들 근황 [16] 아롱이다롱이5060 25/09/12 5060
519272 [게임] 슬더스 2 얼리엑세스 연기 [13] 사과별1962 25/09/12 1962
519271 [동물&귀욤] 알고리즘이 추천해준 동물소개영상 [2] 유머1430 25/09/12 1430
519270 [음식] 부산 어느 중국집의 탕수육 정식 [20] 아롱이다롱이4555 25/09/12 4555
519269 [게임] 로봇대전 Y) 즉, 우리랑 다를 거 없다는 뜻이다 [2] 공기청정기1440 25/09/12 1440
519268 [연예인] 한참 잘벌때 한달 수익에 대해서 넌지시 말하는 유명 걸그룹 멤버 [13] 아롱이다롱이3957 25/09/12 3957
519267 [스포츠] [야구] 키춧가루(공포곡(?)) [5] 카페알파1345 25/09/12 1345
519266 [LOL] 데프트 근황 [15] 껌정2608 25/09/12 2608
519264 [유머] 성심당 : 뭘 만들어도 좋아하길래 일단 준비해봤어 [27] EnergyFlow5640 25/09/12 564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