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5/24 09:11:38
Name Its_all_light
Subject [일반] [역사] 첫 보행자 사망사고 낸 자동차는 시속 6km / 자동차 사고의 역사 (수정됨)
#1. 등장과 함께 사고친 자동차

최초의 교통사고

인류 최초의 자동차는 1482년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만든 태엽 자동차라고 하는데요. 말 그대로 태엽으로 가기 때문에 자동차라고 보기는 어려운 물건이었어요. 근대적 의미의 자동차가 탄생한 건 그로부터 300년이 더 지난 1769년, 프랑스의 공병 장교인 니콜라 퀴뇨가 만든 증기 자동차였죠.

이 자동차의 시속은 3.2km에 불과했는데요. 파리 교외에서 시험 운전에 나섰다가 담벼락을 들이받아 최초의 자동차라는 타이틀과 함께 최초의 교통사고 타이틀도 동시에 얻었죠.



#2. 최초의 자동차 사고 사망원인은 추락사..?

최초의 교통사고 사망자로 기록된 사람은 1869년에 사망한 메리 워드(Mary Ward)인데요. 그녀는 여성이 인정받기 어려웠던 빅토리아 시기에 이례적으로 왕립천문학회 회원이었으며 현미경과 망원경에 관한 서적을 출판한 유명한 학자였죠.

사고 당시 메리는 증기기관으로 움직이는 자동차를 타고 있었는데요. 모퉁이를 돌던 중 자동차가 덜컹거려 메리가 떨어지게 되죠. 게다가 자동차의 바퀴가 메리를 치고 지나가 목이 부러지며 사고 직후 사망했어요.

아이러니한 것은 당시 증기 자동차는 그녀의 사촌 윌리엄 파슨스(William Parsons)*에 의해 만들어졌고, 그녀도 증기기관 기술을 지지하던 사람이었다는 점이죠.

* 참고로 윌리엄 파슨스는 현대식 증기 터빈을 발명한 찰스 파슨스(Charles Parsons)의 아버지라고 하네요.



#3. 첫 보행자 사망사고 낸 자동차는 시속 6km!

최초로 교통사고에 의해 사망한 보행자는 당시 44세의 평범한 여성이었던 브리짓 드리스콜(Bridget Driscoll)로 기록되었어요. 당시 목격자는 그녀가 엄청난 속도로 달려오는 자동차에 치였다고 증언했는데요. 그 속도는 무려..! 6km/h였다고 합니다.

당시 운전자는 아서 에드셀(Arthur Edsell)이었는데요. 그는 운전을 시작한 지 3주밖에 안 된 사람이었어요. 당시는 운전면허도 없었으니 완전 초짜였던 것이죠. 게다가 운전 당시 옆에 있던 승객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고. 하지만 재판 결과는 우연한 사고로 마무리되었어요.



#4. 친일파가 또?!

버튼 홈즈 교수의 교통사고

1901년 시카고대학 교수인 버튼 홈즈가 우리나라에 들러 첫 교통사고를 냈다고 알려져 있어요. 버튼 홈즈 교수는 자동차를 빌려 영상을 촬영하며 다녔는데요. 서대문 인근에서 소달구지와 충돌했다는 것이죠. 하지만 한국영상자료원에 의하면 충돌할 "뻔"한 사건이라고 해요. 바로 위에 사진이 그 현장이죠

국내 최초의 교통사고는 1913년에 발생해요. 당시 자동차는 고급 관리들만 탈 수 있었던 만큼 친일파와 관련이 있죠. 이완용의 아들이었던 이항구와 그의 매형이었던 홍운표가 이완용의 자동차로 드라이브를 하다가 사고를 냈는데요.

기사에 의하면 길가에 놀던 7세 아이가 다리와 발등을 다쳤지만 다행히 중상은 아니었다고 해요. 가해자 측에서 치료비 일원 오십 전을 보냈지만, 아이의 부친이 사양하였고, 이후로도 위로금으로 금화 십 원을 보내 사례했으나 받지 않고 돌려보냈다고 하네요.



#5. 도로연수 중 사고낸 AI

2018년 미국 애리조나에서 테스트 중이었던 우버의 자율주행차가 64km/h의 속도로 횡단보도 밖에서 자전거를 타던 사람을 치어 사망에 이르게 한 사고가 발생했어요. 자율주행차로 인한 최초의 사망사고이죠.

당시 차량은 4단계 완전자율주행 시험 중이었는데요. 자율주행시스템은 충돌 5.6초 전 피해자를 인식했지만, 보행자로 인식하지 못했죠. 게다가 운전석에는 시스템 관리자도 타고 있었는데요. 조사 결과 핸드폰으로 영상을 보고 있던 것이 밝혀졌죠.

미국 교통안전위원회에서는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은 작업자의 직무 태만, 그리고 우버 측의 안전 불감증으로 결론내렸어요.




<참고문헌>
David Shinar. (2017). Traffic Safety and Human Behavior: Second Edition. Emerald Group Publishing.
Desmond O. N. Isabelle F. (2005). The world's first automobile fatality.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강준만. (2012). 자동차와 민주주의 : 자동차는 어떻게 미국과 세계를 움직이는가. 인물과사상사
저자미상. (1913년 10월 08일). 자동차의 대폐해. 매일신보. p.3
최율리아나. (2019). 우버 자율주행차 사망사고는 왜 일어났나?. 2021년 5월 23일 검색. https://www.thedailypost.kr/news/articleView.html?idxno=71457 
한국영상자료원. (연도미상). 활동사진의 시대. 2021년 5월 23일 검색. https://artsandculture.google.com/exhibit/wQw3xXM5?hl=ko



이전 글
[역사] 돈까스는 사실 프랑스에서 온거거든요
[역사] 사람보다 사자가 먼저 탑승한 엘리베이터
[역사] 자주 보는데 이름 모르는 '그것'들
[역사] 내가 신고있는 운동화, 나름 역사와 전통이 있다구! / 스니커즈의 역사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1818 [일반] 2020년 우리나라의 전체사망자수는 증가했는가? [13] 여왕의심복17607 21/05/25 17607 48
91817 [일반] 미 국무부, 일본 여행금지 권고 level4로 격상 [109] 어강됴리23807 21/05/25 23807 4
91816 [일반] 소림살인 의문중첩1 - 묵적 [13] 10561 21/05/24 10561 3
91815 [일반] (소설) 은원도검(恩怨刀劍) 1 [16] 글곰13420 21/05/24 13420 23
91814 [일반] 네이버 오늘일기 챌린지 참여하실 분 오늘 잊지 마세요 [6] 대박났네12067 21/05/24 12067 0
91813 [일반] PGR21 검색조건 AND [41] 당근병아리18562 21/05/24 18562 22
91812 [일반] 1년 다 되어가도 나타나지 않는 로또 1등 43억 당첨자 [71] 말할수없는비밀20334 21/05/24 20334 0
91811 [정치] 나경원 인터뷰로 촉발된 자동차대전 [82] 카루오스21168 21/05/24 21168 0
91809 [일반] [역사] 첫 보행자 사망사고 낸 자동차는 시속 6km / 자동차 사고의 역사 [24] Its_all_light33314 21/05/24 33314 26
91808 [일반] 한국 포퓰리즘의 실패( 또는 포퓰리즘의 한계) [51] 챗셔아이21388 21/05/24 21388 13
91806 [일반] 모더나 mRNA 백신 관련 정보 간단 정리 [23] ArcanumToss17597 21/05/24 17597 12
91805 [정치] 한미 정상회담 공동성명 전문 및 감상 [55] 대파23677 21/05/23 23677 0
91804 [일반] 동양식 중앙집권체제의 명과 암 [13] 라울리스타14969 21/05/23 14969 9
91803 [일반] 노래 추천받고 싶어 남녀 사랑싸움하는 노래 2곡 [14] 하니12521 21/05/23 12521 1
91802 [일반] 거 1등, 1등 하는데, 그 유록스라는게 뭐요? (요소수 이야기_약스압) [73] 은하관제23854 21/05/23 23854 41
91801 [일반] [웹소설] 히카루의 회귀(초반 내용) [13] 물맛이좋아요14234 21/05/23 14234 5
91800 [일반] 태양의 기사 피코 jpg [39] 말할수없는비밀15324 21/05/23 15324 2
91799 [정치] 이준석이 국힘 당대표 여론조사에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89] 아츠푸22622 21/05/23 22622 0
91798 [일반] 코로나19 인도 변이의 백신 효율에 대한 영국 접종 결과 데이터 공개 [53] 김은동19224 21/05/23 19224 9
91797 [일반] 윤지선 교수의 논문을 취재하던 기자, 사표 제출하다 [66] WeakandPowerless26387 21/05/23 26387 85
91795 [일반] [팝송] 데미 로바토 새 앨범 "Dancing With The Devil...The Art of Starting Over" 김치찌개9088 21/05/23 9088 0
91794 [일반] 중년 아저씨의 베이킹 도전기 (2) (스압주의) [24] 쉬군13022 21/05/22 13022 17
91793 [일반] 육퇴 후 쓰는 35일차 초보 아빠 일기 [23] 모여라 맛동산13640 21/05/22 13640 1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