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4/02/22 13:29:12
Name meson
Subject [일반] 지식이 임계를 넘으면, 그것을 알리지 않는다
위키 사이트들에 기여가 이루어지는 이유, 그리고 그들 중 일부가 성공하여 영향력을 얻은 이유에 대해 흔히 이야기되는 동인(動因) 중 하나는 다음과 같습니다. “모든 것을 아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 역시 없다.” 그러니 설령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라고 할지라도, 각자 선의에 따라 아는 것을 작성하면 (그리고 부단한 감시와 수정을 통해 내용이 적절히 걸러지면) 그것만으로도 문서가 풍성해지기에는 충분하다는 것이죠.

어떠한 위키에 족히 누만 자는 첨삭해 본 경험을 가진 입장에서 말하자면, 이 말은 과연 사실입니다. 경제적 보상이나 사회적 명성과 같은 대가가 없음에도 다수의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는 이유에는 분명 정보를 보급한다는 자그마한 공명심이 놀랍도록 커다란 지분을 차지하고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사실 특정한 선까지는 그것만으로도 정보의 보고(寶庫)로 인식되기에 충분한 양과 질이 보장됩니다. 따라서 이 글 역시 이러한 점을 부정하거나 그 역기능을 강조하려는 의도에서 쓰여진 것은 아닙니다.

다만 논의해 보고자 하는 것은, 예의 ‘특정한 선’을 넘어가면 그러한 자발적인 기여가 주저되는 순간이 찾아온다는 점입니다. 이것은 비단 위키뿐 아니라 지식 공유를 표방하는 인터넷 커뮤니티에도 적용되는 난점일 것입니다.

단적으로 말해 국내의 어떤 위키에서든, 다루는 분야의 유관 논문들을 폭넓게 인용하여 종합적이고 단단한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는 없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정치적 논쟁과 같은 과열로 인해 특별히 동원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간혹 발견되는 논저의 인용문들은 오로지 그 단일 논저의 관점을 반영하여 향후의 서술을 전개하기 위한 예고에 불과한 경우가 잦습니다. 물론 위키의 경우는 어쨌든 인용의 출처라도 비교적 충실히 표기되어 있는 편이므로, 그마저도 없고 모든 내용이 작성자의 뇌피셜에만 의존하는 커뮤상의 ‘정보글’에 비교해서는 훨씬 낫다고 하겠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은 생각해 보면 자연스러운 것입니다. 앞 문단에는 비판조로 적었지만, 기실 어떤 주제에 대해 [ 유관 논문들을 폭넓게 인용하여 종합적이고 단단한 정보를 전달 ]한다면 그런 글은 이미 학술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 도달했다고 보아야 합니다. 그러니 아무런 대가 없이 소소한 보람만을 바라고 그런 일을 수행하라는 것은 꽤 지나친 요구처럼 느껴지는 것이죠. 게다가 대부분의 위키처럼 무수한 기여자들의 서술이 겹쳐져 특정 작성자의 존재감이 잘 드러나지도 않는 환경에서는 더더욱 그런 일을 종용할 유인이 희박합니다.

물론 이런 견지에서 보면 사실 인터넷 커뮤니티의 경우에는 조건이 조금은 나은 셈입니다. 적어도 양질의 글을 누가 작성했는지는 잘 드러나고, 이를 통해 높은 관심도와 막대한 추천을 얻을 수도 있으며, 이것이 지속된다면 마침내 ‘네임드’에 등극할 수도 있으니 말입니다. 비록 ‘사회적 명성’이라고 칭하기에는 아직 저어되지만, 어쨌든 [ 유관 논문들을 폭넓게 인용하여 종합적이고 단단한 정보를 전달 ]할 만한 유인이 비교적 강한 것은 사실이라고 할 만합니다. 그럼에도 그런 일은 좀처럼 일어나지 않지만 말이죠.

그리고 여기서도 [ 그런 일이 좀처럼 일어나지 않는 ] 요인을 짚어내는 것은 쉽습니다. 그렇게 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또 그처럼 단단하여 어디에 내놓아도 부끄럽지 않을 만한 글이라면, 그것을 하필 인터넷에 올려 모두에게 공유할 이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만일 글의 작성자가 학문을 업으로 삼는 사람이라면 논문으로 제출할 것이고, 업계에 종사하는 중이라면 보고서로 제출할 것이며, 혹 학생이라면 과제에 써먹을 생각을 먼저 하겠지요. 설령 당장은 그런 주제를 발표할 지면이 없더라도, 글의 가치를 자신한다면 미래를 위해 자료를 홀로 쥐고 있는 편이 훨씬 ‘수지’가 맞는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인터넷상에서 [ 인용 표시가 충실하고, 근거가 자세하며, 내용이 풍부한 ] 글을 – 예컨대 특정 이슈에 대한 학계의 입장을 소개하거나, 연구사를 정리하거나, 새로운 관점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는 글을 – 만나기 위한 조건은 여간 까다로운 것이 아닙니다. 그런 글을 쓸 의지와 능력을 갖춘 사람이 우선 있어야 하고, 그 사람이 글을 쓰고도 이를 공식적인 지면에 발표하지 않아야 하며, 마지막으로 본인의 저작이 일반에 유포되어 희소성을 잃어버리는 것을 감수하기까지 해야 합니다. 사실 다른 것은 어찌어찌 충족한다고 하더라도, 자신이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 구축한 자료를 오픈 소스로 공개한다는 것은 확실히 쉬운 결정은 아닙니다. 대형 커뮤니티에서 활동하는 몇몇 연구자분들이 대부분 본인이 ‘이미 논문으로 쓴’ 내용을 추후에 공유하는 방식으로 정보글을 작성하는 것도 이러한 요소와 무관하지 않을 것입니다.

한데 사정이 이렇다면, 좋은 주제와 자료로써 실제로 글을 작성하고 난 뒤에 이를 널리 퍼뜨리고자 공개하는 것은 과연 미련한 일이 되는 것일까요. 아까움으로 말미암아 지식을 공유하지 않는 것은 실로 이기심이라기보다는 익명 커뮤니티 시스템의 한계인 것일까요. 이미 알려져 버린 통찰은 향후 커리어에 사용할 수 없기에 모두가 유포를 꺼려하는 것일까요.

내부자가 아닌 이상에야 실제로 그러한지는 물론 알 수 없습니다. 단지 추측해 볼 뿐입니다.

다만 혹 이와 비슷한 고민을 해본 분이 계신지는 궁금하여, 몇 자 적어 보았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표팔이
24/02/22 13:37
수정 아이콘
말씀하신 것을 구현하게 된 것이 요새 유튜브, 블로그죠. 광고수익을 쉐어해줄테니 컨텐츠를 만들어 널리 퍼뜨려라.
두꺼비
24/02/22 13:48
수정 아이콘
일단 제 전공분야 느낌으로 얘기해 보자면,

취미인, 잘 모르는 분야에 대해서 썰을 풀때는 일단 부담도 없고, 누가 그거 아니라고 지적하면 아 아닌가? 데헷 하고 끝납니다

그런데 제 전공쪽 썰을 풀면 한글자 한글자가 막고라입니다 일점 일획의 오차도 신경쓰이고, 누가 지적 들어오면 내 정체성을 지켜내기 위해 완벽한 답변을 하려고 노력하게 되다 보니 피곤해요

전공 관련해서는 오히려 누군가 좀 아닌 소리를 해도 댓글 달까 하는 생각 3초정도 하다가 에이 뭐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지 하고 넘기게 됩니다 그만큼 집중력이 말리더라구요
24/02/22 14:11
수정 아이콘
이것이 논문디펜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이로군요(?)
앨마봄미뽕와
24/02/22 21:11
수정 아이콘
저도.. 요즘은 정보가 많아서 전공 분야 얘기하기엔 한마디 한마디가 많이 고민되죠. 크크.
사람되고싶다
24/02/22 13:50
수정 아이콘
자게에서 정말 오랜 시간 동안 양질의 글을 써주시던 분도 그냥 유게 펌글 하나보다 훨씬 낮은 댓글 조회수 찍는 게 현실이라.. 저 개인으론 아쉽지만 어쩔 수 없는 일이죠.

저도 사실 그런 고퀄리티 글을 쓸 능력이 없기도 하고 만약 쓰려 해도 골치 아파서 안쓰고 별 수치나 근거 없는 가벼운 글만 싸재끼긴 합니다만...
다크드래곤
24/02/22 14:22
수정 아이콘
해당 지식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 및 이해관계가 얽혀 있기 시작하는 순간 나의 목소리를 낸다는 것 자체가 부담으로 작용하지 않을 까 싶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런 형태의 고찰이 아주 의미 있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24/02/22 14:44
수정 아이콘
정보를 팔아 먹고 사는 입장에서 "내가 십수년에 걸쳐서 쌓아온 지식과 경험"을 "공짜"로 공유하기란 과연 쉬운 일이 아닌 것 같습니다.

특히 인터넷에서 자주 인용되는 방면에 근무하는데, 이미 업계에선 수년 전에 사장된 (특히 부작용이 너무 심하여 금기라고 까지 표현 되는 방법) 방법에 대하여 10년전의 논문을 근거로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보고 그건 아니라고 댓글을 달까...? 하다가

그게 아니란 걸 증명하기 위해선 (그 방법이 상식적인 범위로 볼 때는 매우 리즈너블해서) 업계에서 이미 논의된 수많은 사례와 논문들을 근거로 하여 논증을 해야 하고 그런다고 해서 상대가 그걸 받아들일 일도, 그런 노력을 들여 제게 도아오는 이득도 없으니 그냥 관두게 됩니다.

댓글 하나 다는 것도 이런데 세간에 알려진 것과 다르거나 알려지지 않은 것들을 글로 써서 설파한다? 벌써 부터 피곤해 지는 군요.
24/02/22 15:49
수정 아이콘
요즘엔 AI가 다 가져가기도 하니까요
가져간 사람도 어디서 가져왔는지 모르는시대라
24/02/22 16:00
수정 아이콘
보상 없는 기여의 주요동인은 인정욕구라고 생각하는데, 전문적으로 들어갈수록 가성비가 안좋다는 점도 한 몫 하는 것 같아요. 작성은 억수로 힘들어도 내용이 복잡하다보니 반응은 오히려 시큰둥한 경우가 많으니까요
24/02/22 16:30
수정 아이콘
하긴 이런 점 때문에라도 학계에 발표할 유인은 더 커지겠군요.
No.99 AaronJudge
24/02/22 19:43
수정 아이콘
논문을 더 찾아봐야…하나…
manymaster
24/02/22 16:14
수정 아이콘
전문적인 영역에서 저게 이뤄지고 있는 분야가 있긴 한데...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라고... 다만 어디까지나 이론상 누구나 기여할 수 있는 거고, 진짜 전문적인 프로그램은 오픈 소스라고 할 지라도 실질적 진입 장벽이 상당해서 이야기가 다를 수 있습니다.
24/02/22 16:30
수정 아이콘
...문과는 웁니다(?)
로메인시저
24/02/22 16:27
수정 아이콘
깃헙 공개 저장소... 물론 목적이 나 이러이런거 할 수 있다 내세우는 용도가 있긴 하지만요
더보기
24/02/22 17:38
수정 아이콘
회사 안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발생하는 것 같네요 회사에 적당히 좋은 작업물들은 많지만 핀포인트로 딱 좋은 건 왜 별로 없지 생각해보면 진짜로 혼신의 힘을 다해서 좋은 걸 만들정도의 유인까지는 없는 크크
임전즉퇴
24/02/22 19:26
수정 아이콘
창고인데 전시도 겸하는 개념일 때가 최적인 것 같습니다. 주문받기 시작하면 돌아오기 어려운..
24/02/23 01:51
수정 아이콘
모두가 학위를 가지고 또한 이를 학계나 논문으로 정리하면 좋겠지만 어떤 경우는 정식 절차를 밟지 못했다는 이유로 학계로부터 무시를 당하곤 합니다. 설령 학위가 있더라도 관련한 학계 종사자가 아닌 이유로 말이죠

저는 이런 사례 중 하나가 리만 사태를 예상했던 미네르바를 거론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체포 직전까지 금융권 종사자나 내부 폭로자라는 등의 여러 소문이 파다했지만 여러 이유로 체포하고 난 뒤엔 전문대 졸업이라는 언론과 사회의 비웃음과 동시에 재판장에 서야 했습니다.

우리는 어쩌면 '자격'이라는 것에 너무 메여있는게 아닌가 하고 생각합니다. 미국의 유명한 3인방은 대학을 중퇴했음에도 긴 시간 동안 연구하고 몰두한 끝에 자신만의 기업을 운영하게 되었고 그것이 꽤 잘되었습니다. 논문의 취지는 조금씩 탑을 쌓는 것과 같습니다. 누군가가 쌓은 탑에 나의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올려두고 또 다른 누가 거기에 추가를 하면서 지식의 탑이라는 것을 만들어내는 것이죠

그런데 거꾸로 생각해보면 말씀하신대로 누군가가 쌓은 탑에 돌을 보탰을뿐 기존의 정보들은 온전히 내가 체득한 것이 아닙니다. 이를테면 전자공학이든 유능한 프로그래머든 혹은 두가지 학문에 통달했을지라도 토니 스타크처럼 될 순 없을겁니다.

그저 단지 어떤이들이 쌓아올린 탑이 잘못되지 않았을거라는 믿음에서 또 그 위에 돌을 하나 얹는 것이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1009 [정치] 개혁신당, 공천관리위원장에 김종인 선임 [99] Davi4ever13617 24/02/23 13617 0
101008 [정치] 의협 요구, 증원 백지화만이 아니다… “의료사고 완전면책 해달라” [168] 된장까스16729 24/02/23 16729 0
101006 [정치] 여론조사 꽃 지역별 여조, 울산, 경남 지역 데이터입니다. [40] 아우구스투스12057 24/02/23 12057 0
101004 [일반] 삼성, 갤럭시S23·플립5·폴드5 등에서도 '갤럭시 AI' 지원한다 [50] 강가딘9586 24/02/23 9586 0
101003 [일반] [노스포] <파묘> 후기 (feat. 2월22일2관E열22번22시20분) [19] 김유라7585 24/02/23 7585 2
101002 [정치] KBS의 영화 '건국전쟁' 보도... [65] 홍철11272 24/02/22 11272 0
101001 [일반] PGR은 나에게 얼마나 대단한 커뮤니티인가? (Feat 뷰잉파티) [12] SAS Tony Parker 8054 24/02/22 8054 8
101000 [정치] 선방위, 김건희 '여사'라 안 불렀다며 SBS에 행정지도 [67] 체크카드11415 24/02/22 11415 0
100999 [일반] [펌] 삼전 vs 하닉 vs 마이크론 D램 경쟁 현황 그리고 전망 [13] DMGRQ9569 24/02/22 9569 12
100998 [정치] 국힘 공천받고 사라진 '스타강사 레이나' 강좌... 수험생들 피해 [20] Davi4ever12165 24/02/22 12165 0
100996 [정치] [펌] 변호사가 설명하는 전공의 처벌가능성과 손해배상책임 [78] 소독용에탄올11192 24/02/22 11192 0
100995 [정치] [의료이슈] 개인 사직 vs 단체 사직, 1년뒤는? + 제가 생각하는 방안중하나. [40] lexial7738 24/02/22 7738 0
100991 [정치] 필수과 의사 수를 늘릴 방안이 있을까요? [237] 마지막좀비10218 24/02/22 10218 0
100990 [정치] 윤석열 지지율이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네요 [158] 붕붕붕9818 24/02/22 9818 0
100987 [일반] [파묘]보고 왔습니다. (스포 제로) [24] 우주전쟁8239 24/02/22 8239 6
100986 [정치] 이낙연 "국힘 압승하고, 민주 참패할 것" [59] youcu12226 24/02/22 12226 0
100985 [일반] 지식이 임계를 넘으면, 그것을 알리지 않는다 [17] meson7214 24/02/22 7214 9
100984 [일반] 삼국지 영걸전, 조조전, 그리고 영걸전 리메이크 [26] 烏鳳8276 24/02/22 8276 17
100983 [일반] 폭설이 온날 등산 [14] 그렇군요6577 24/02/22 6577 1
100982 [정치] 포퓰리즘은 좌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12] kien9117 24/02/22 9117 0
100981 [정치] 이소영 의원 공천을 환영하는 이유 [56] 홍철11645 24/02/22 11645 0
100980 [정치] 이번엔 대한소아청소년과 회장을 입막아 끌어낸 대통령실 [129] Croove17661 24/02/21 17661 0
100979 [정치] 민주비례정당, 진보당·새진보연합에 비례 3석씩, 울산북구 진보당으로 단일화 [132] 마바라12757 24/02/21 1275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