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4/08 09:06:31
Name 레지엔
Subject 대체 '매너'란 무엇인가.
매너
: 행동하는 방식이나 자세. (네이버 국어사전)

김창희 선수 버그 이야기가 나오면서 논란이 이곳저곳으로
퍼지다보니 별 얘기가 다 나오더군요. '얼라이마인때와 다른
것이 뭐냐' '미네랄 넘기기는? 결국 미발견 버그를 사용한건
그 선수의 능력이다' 와 같은 김창희 선수를 옹호하는 발언에
대해서, 많은 분들이 이런 식의 답변을 하시더군요.
'프로게이머로서의 매너(혹은 도리)가 안되었다'

일전에 저글링 뭉치기를 박성준 선수가 협회에 신고한 적이 있었죠.
물론 그 행위는 칭찬받을 일입니다. 하지만 그런 생각도 들더군요.
'한번쯤 저거 써서 이겨보는 것도 나쁘지 않았을텐데...'

결국 매너, 그러니까 프로게이머의 매너가 무엇인지에 대한 이야기는
프로게이머라는 직업이 '뭐하는 직업인지'와 연계된다고 봅니다. 그리
고 제 생각에 프로게이머(를 포함한 프로 스포츠 선수)는, '돈을 받고
정해진 룰 내에서 승부를 겨루는' 선수입니다. 그것이 프로게이머의
최저선입니다. 단지 더 많은 돈, 더 많은 인기를 위해서 프로게이머는
자신의 '특색'을 내세우는 것이고(일종의 차별화 전략이죠), 그 고유의
색은 '바람직한 인간으로의 모델'일 수도 있고 '철저한 승부사'일 수도
있고 '악동'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그 중 인간적으로도 바람직한
색깔을 가지는 것이 곧 매너라고 생각합니다.

신해철씨가 라디오나 그 외 방송에서 자주 하는 말이 있죠.
'미덕은 안지켜서 욕먹어야 하는게 아니라 지키면 칭찬받아야 한다. 결국
미덕은 선택이다.'
매너에 대해서도 똑같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봅니다.


덧붙여서.
룰 외적 상황이 게임판 자체를 뒤흔들 수 있고 그것이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여겨진다면, 그 상황을 바꿀 책임은 선수가 아니라 주최자 - 결국
협회나 방송국에 있습니다. 초반전략이 성행해서 게임이 재미없어진다고
요? 초반전략이 불가능한 맵을 만들거나 오리지널 시절의 노러쉬룰을
만들면 됩니다. 애초에 게임이 제공하려던 기능이 아니라고요? 그러면 패
치를 하거나(패치를 이끌어내는 것 역시 협회의 역량이라고 할 수 있겠죠)
그 기능을 금지시키면 됩니다. 그리고 스타라는 게임 자체가 개발자들의
상상 범위를 넘어선 플레이까지 진화해버린지 오래입니다.
선수는 '매너'를 지켜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분이 김창희 선수를 비난/비판하
는 것은, 있을 수 있다고 봅니다. 하지만 김창희 선수 이전에 버그 발견을
먼저하지 못하고 대응책을 강구하지 못한 협회가 까여도 먼저 까여야 겠죠.
(협회는 어디가나 까이네...)

그리고 하나 더.
피지알뿐 아니라 모든 (덩치큰) 스포츠 관련 사이트에서 '매너를 지키지않
는 선수는 프로도 아니다'라는 극단적인 주장을 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매너를 지키지 않으면 욕먹어야 된다'라는 주장에는 공감할 수 있습니다. 저
도 채팅으로 욕한 이승훈 선수보다(아 일단 이 선수는 룰 위반이군요) 경기
후에 악수를 청하던 조용호 선수가 더 바람직해보입니다. 하지만 매너를 '꼭'
지켜야만 한다고 주장하시는 분은 타인의 주장과 생각을 깔아뭉개는 분으로
보입니다. 그건 결국 싸우자는 의미겠죠?
타 스포츠라면 인터넷에서 이른바 '매니아'들이 매너를 가지고 욕을 하건
어쨌건 신경쓰지 않을 정도로 팬층이 두껍습니다. 하지만 e-sports는 매니아
의 의견이 선수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가끔은
선수들이 안까이려고 주눅든 모습을 보여준다는 착각을 하기도 합니다. 제가
(그리고 아마도 많은 분들이) 보고 싶은 것은 자기 개성을 표출하는 다양한
선수군이지 누가 누군지 알 수 없는 몰개성화된 게임하는 기계가 아닙니다.
얼토당토않은 물타기성 비난이 10대후반-20대 초반의 아직 젊은 친구들에게
얼마나 큰 비난이 되는지 다시 한 번 생각해봤으면 합니다.(저도 아직 20대
초반입니다 비난성 리플 달리면 가슴이 찢어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위그드라실
07/04/08 10:11
수정 아이콘
어느정도 지나친 언행이 보이는게 사실이긴 합니다만
인터뷰때 보인 태도가 한몫했다고 느껴지네요.
07/04/08 10:20
수정 아이콘
이번 일로 뭐랄까 깨닮은점이..

다른 사람의 생각이 나와 많이 다르다.. 라는 점을 다시한번 배운듯.

개인적으론 이건 스킬이 아니라 버그다! 라고 생각했지만

그렇지 않은분도 많으셨고.

과거 벙커링같은경우도 개인적으론 '멋지다'라고 생각했지만 무척 싫어하시는분도 많죠.

김창희 선수도 무척후회는 하겠죠. but 그의 대한 대가는 아무래도

달게 받을거 같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 선수가 엄청난 실력을 MSL에서 선보인다면

이 소란을 잠재울수 있을거라 생각.. 그전까진 비난을 안받을수는 없을거 같습니다.

프로는 실력으로 승부하니까요.
07/04/08 12:37
수정 아이콘
매너다 프로의 승부력이다 이걸 결정짓는건 팬들이라고 봅니다 팬들이 있으니까 프로화 되고 구단화 되는거죠 인기없는 종목이 어떻게 프로등록을 하고 구단을 만들고 협회가 생기겠습니까?
협회의 역활은 그중간에서 관련 규정을 만들어서 논란이 될 부분을 막는거구요
이정도로 논란이 된다고 하는 자체가 비매너라는건 어느정도 많은 사람들이 공감한다는 것 같습니다
君臨天下
07/04/08 12:56
수정 아이콘
인터뷰가 결정타였습니다.
07/04/08 13:43
수정 아이콘
'미덕은 안지켜서 욕먹어야 하는게 아니라 지키면 칭찬받아야 한다. 결국
미덕은 선택이다.'
이말을 여기에 비유하는건 아닌거 같네요.
미덕을 안지켜도 남에게 피해는 안주는 것이라면 물론 비난받지 않겠지요.
그러나 미덕을 지키지 않아서 이미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피해자도 생겼구요. (비록 스스로 피해자가 되었지만)
비유가 적절치 못한거 같네요.
파에톤
07/04/08 14:42
수정 아이콘
맨날게임만 하는 선수들보다 협회에서 먼저 버그를 발견하란 소리는 말도 안되죠.
선수들이 버그 발견했다면 미리 신고해야 되는거 아닙니까?
SayILoveU
07/04/08 15:17
수정 아이콘
예전 우주사이트가 있었을때 그곳과 파이터포럼은 이상하게 인터뷰 내용이 조금씩 틀리더군요. 이번에도 파포와 다른 인터뷰는 또 내용이 틀려서 인터뷰가 결정타라는 말은 전 별로 공감이 안가요. 워낙 파이터포럼의 ㅉ ㅣ라시 기사에 속아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0245 왜 스타는 프로리그를 도입했는가? [55] 박지성4965 07/04/15 4965 0
30243 프로리그가 재미없다라는걸 마치 당연한듯 대세화 하지좀 맙시다 [46] 박지성4597 07/04/15 4597 0
30242 협회는 알고 있었던것입니다. 시청자들은 '경기'를 원한다는것을. [15] SKY924045 07/04/15 4045 0
30240 스파키즈의 악동 이승훈...운영형 토스의 재탄생? [27] 모짜르트6957 07/04/15 6957 0
30239 [PT4] 4강 1차전 <샤쥔춘 vs 김광섭> 방송 안내 kimbilly3971 07/04/15 3971 0
30238 stx의 박정욱 선수 ,이 선수 왠지 기대되는데요~~ [7] ghkdwp3830 07/04/14 3830 0
30236 오늘 MSL서바이버리그에서 대박경기가 나왔네요 [27] 오가사카7930 07/04/14 7930 0
30235 27번째 MSL리거(스포가득!!) [16] 성대모사달인4629 07/04/14 4629 0
30234 프로리그 개막경기 [81] 대항해시대5905 07/04/14 5905 0
30233 협회에 바라는 점. [2] 信主NISSI4764 07/04/14 4764 0
30232 해설자들의 평점을 매긴다면?? [46] Casual-6539 07/04/14 6539 0
30231 FP를 이용한 게임단 평가입니다. [14] ClassicMild3952 07/04/14 3952 0
30230 이미 한 번 이야기했던 주제이긴 합니다만.. [15] A1B2C34392 07/04/14 4392 0
30229 스타리그 연속 10회진출을 향해서 ^^ [9] 임재하3936 07/04/13 3936 0
30228 온게임넷 예선방식에 대한 개인적인 아쉬움. [6] 信主NISSI4076 07/04/13 4076 0
30227 듀얼토너먼트2라운드대진표!! [43] 성대모사달인5075 07/04/13 5075 0
30222 황제와 몽상가가 한 팀이 되면 어떨까요? [19] ghkdwp7493 07/04/13 7493 0
30220 결국 박태민 선수 msl진출 하는군요. [11] 더미짱6676 07/04/12 6676 0
30217 등록선수로 본 프로게이머 나이 순위 [30] TheInferno [FAS]67532 07/04/12 67532 0
30216 임요환선수의 T1전 상대가 결정되었네요. [22] SKY926842 07/04/12 6842 0
30215 역시 임요환이다라는 생각밖에... [39] 박지성7809 07/04/12 7809 0
30213 스타크래프트2리그에 대한 부정적인 사견 [28] 샤르미에티미6571 07/04/12 6571 0
30211 박태민 선수 참 미치겠군요. [11] 더미짱6870 07/04/12 6870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