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07/01/21 13:21:31
Name 자이너
Subject 무적함대와 SKT1. 그리고 MBC GAME HERO
때로는 역사적 사실과 그 현상이 일상적 현실에 그대로 재현 된다는 것에 놀랄때가 있다.

kimera님이 언급한적이 있듯이 MBC GAME HERO의 우승은 영국 엘리자베스 1세 시절의 역사와  매우 흡사하다.

대항해시대를 연 포르투갈과 에스파니아(스페인)가 신대륙과 동양에서 막대한 황금, 진기한 비단 그리고 향료등을 유럽으로 드려오자 비로소 유럽의 각국들은 새로운 대륙의 중요함을 알게 된다.  영국도 마찬가지였으나  이미 포르투갈과 에스파니아가 차지한 식민지를 어찌할수 없는 도리였다. 그래서 영국이 선택한 것은 교역후 가져오는 배를 습격하여 훔치는 해적질이 시작되었고 (물론 표면적으로는 금지였으나 뒤에서는 장려(?)하는..) 그 중 가장 유명한 해적은 '프랜시스 드레이크' 였다.

이 프랜시스 드레이크의 해적질에 점점 피해가 누적된 에스파니아는 결국 엘리자베스 여왕에게 특사를 보내어 드레이크를 사형시키지 않으면 무적함대를 이끌고 영국을 공격한다는 통첩을 하게 되나 엘리자베스 여왕은 오히려 특사 앞에서 드레이크를 영국해군 사령관으로 명하는 대담한 모습을 보인다.

이에 분노한 에스파니아 왕 펠리페 2세는 무적함대(아스마다)를 보내어 영국을 침공하나 드레이크의 전략, 전술에 휘말려 결국 패배하고 말았다.

이 결과 에스파니아는 바다의 제왕 자리에서 물러나 크게 위축되기 시작되었고 영국은 훗날 대영제국이라고 불리는 제국의 기초에 첫발을 디디게 된것 이었다.


어제 경기는 명실공히 최강의 제국인 SKT1과 이제 신흥 강국으로 발돋음 하려는 MBC GAME HERO의 경기 였다.

두팀다 명불허전. 매경기가 일반적인 경기와 틀리게 전략, 전술이 난무 하는 경기였고  정말 엎치락 덮치락... 마지막 에이스 결승전까지 누가 이길지 모르는 숨막히는 결과로 이어졌다.

결국 행운의 여신은 좀더 승리에 집요했던 MBC GAME HERO의 편을 들어 주었고 2006년 부터 이끌어 왔던 대장정의 막이 내렸다.

어제의 패전만으로 SKT1이 몰락한다고 아무도 생각하지 않을것이다. 위에 언급한 역사처럼 실질적으로 에스파니아는 해군의 전력만 잃었을 뿐 육전에서는 여전히 강력한 국가였고 그후로도 강력한 국가의 모습을 계속 이어갔다. 중요한 것은 어제의 승리로 MBC GAME HERO는 새로운 신흥 강국으로 올라섰다는 것이다. MBC GAME HERO가 - 역사의 영국처럼 - 프로리그에서 최고팀이 될지 아니면 다시 추락할지는 아무도 모른다. 그러나 이 팀이 앞으로 최고의 명문 구단으로 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큰 것은 사실이다.

이번 우승을 하므로써 경험이 풍부해졌으며 - 4위에서 결승까지 우승한 이러한 경험은 생각보다 엄청나다 - 주축들의 나이가 타팀보다 매우 어린편이라는 것이다.

김동현, 정영철, 강구열 선수가 88년생. 김택용 선수가 89년생, 그리고 이재호, 염보성 선수가 90년생으로써 현재보다 미래의 가능성들이 더 크다. 특히 이들중 임요환 선수가 장래가 촉망 된다고 생각한 테란으로 염보성을 지목했으며 같은 동갑인 이재호 선수도 계속 성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강구열 선수도 이번 MSL에 올라갔으며 기존 선수들도 각 개인리그에 올라간 상태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POS를 지금의 팀으로 키운  하태기 감독과 스텝들이 앞으로도 계속 이대로  이어간다면 분명 MBC GAME HERO의 미래는 밝을 것이다.

이제 2007년에는 챔피온으로써 다팀의 견재를 받겠지만 도전을 물리치면서 SKT1이 이룩한 오버트리플 이상의 기록에 도전하기를 팬으로써 바란다.

마지막으로 어제 최고의 명경기를 선사한 두팀에게 찬사를... 그리고 나에게 감동을 준 MBC GAME HERO에게 앞으로 계속된 발전을 기원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누워서뜨는소
07/01/21 13:23
수정 아이콘
MBC GAME HERO
07/01/21 13:35
수정 아이콘
추게로>>
단순히 오타지적만 하시는 것은 자제 부탁드린다고 운영자님이 직접 말씀하시기도 했는데... 하여튼 정말 글 괜찮습니다.. 저도 나름대로 유럽사 공부를 했는데.. 쉽게 설명해주시고 또 비유도 괜찮은것 같네요.
자이너
07/01/21 14:03
수정 아이콘
누워서뜨는 소// 지적하신대로 오타 수정했습니다.
마이지저스
07/01/21 14:49
수정 아이콘
누워서 뜨는소 // 캬 제가 한국 만화중에 공포의 외인구단 열혈강호 비트
를 제일 좋아하는데 누워서 뜨는소라.. 갑자기 또 비트가 생각나네요
루비띠아모
07/01/21 15:09
수정 아이콘
무적함대 아스마다->아르마다로 고쳐주세요~
07/01/21 22:56
수정 아이콘
POS를 응원하다 팬이 된 것이 이제 2년이 넘어가지만 언제나 그들은 제게 최고였습니다...아직도 실감이 나질 않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8773 스타리그인가 OSL인가. [114] [법]정의7205 07/01/27 7205 0
28771 드디어 내일 벌어지는 빅이벤트! 4회 슈퍼파이트! 에이스중의 에이스는 누구? [35] SKY926313 07/01/26 6313 0
28768 올드 팬이 바라본 김동수. [46] rakorn6576 07/01/26 6576 0
28766 가치관으로 따져본 프로게이머의 성향 [21] 선택과실신5705 07/01/26 5705 0
28765 인터뷰 삭제, e-sports에서도 언론 검열?? [74] 김민성7387 07/01/26 7387 0
28764 임,이,최 역대 3대 테란과 마재윤 선수의 어쩔수 없는 딜레마. [23] 해변의 카프카6656 07/01/26 6656 0
28762 이번 시즌에는 밸런스가 붕괴된 맵이 너무 많습니다 [26] 선택과실신5638 07/01/26 5638 0
28761 마.재.윤...참... [14] 하이6171 07/01/26 6171 0
28760 MC는 괴로워 1회 - 기욤 패트리 등장 [15] Sol_Dide5858 07/01/26 5858 0
28759 여성들의 스타에 대한 지식 지수?! ^^(오늘 경기를 본뒤 그냥 든 생각) [31] Pride-fc N0-14270 07/01/26 4270 0
28758 July, 박성준의 전성기 ... 그리고 마재윤 [4] Aqua4571 07/01/26 4571 0
28754 본좌 논쟁 하는 걸 보면서... [34] 자유로운4254 07/01/25 4254 0
28753 스타리그와 배틀넷 [10] genius3869 07/01/25 3869 0
28752 savior!! MSL 메이저리그 통산 50승을 축하합니다!! [18] 발업질럿의인4065 07/01/25 4065 0
28751 마재윤선수 정말 역대 최고의 본좌를 이룰수 있을까요? [50] 라푼젤5648 07/01/25 5648 0
28750 마재윤이 결국 총대를 맨건가요? [83] 보라도리8696 07/01/25 8696 0
28749 김양중 해설위원 한번더 도전을 합니다.. [35] 에밀리안코효4501 07/01/25 4501 0
28748 대기록을 써나가는 저그! 마재윤!!! [46] SKY925714 07/01/25 5714 0
28747 진영수 vs 마재윤 / 강민 vs 김택용 성사될것인지 [33] 처음느낌5212 07/01/25 5212 0
28744 년도별 최고상금입니다 [34] 김쓰랄8813 07/01/25 8813 0
28741 본좌면 어떠하리 아닌들 어떠하리 [15] 연아짱4443 07/01/25 4443 0
28739 쿠타야! 비교해보자!!! (5) - 전태규와 이재훈 [8] KuTaR조군4205 07/01/25 4205 0
28737 [sylent의 B급칼럼] 본좌 vs others [38] sylent5304 07/01/25 5304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