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선거 기간동안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25/05/15 21:26:04
Name cuvie
Subject [일반] 군소 후보들 공약 확인 하 (수정됨)
이제는 무소속 후보 두 분 남으셨는데 한 분은 황교안 전 대표와 송진호씨가 있습니다.

먼저 황교안 전 대표는 탈당 이후 극우 쪽 행보를 보였지만 딱히 창당을 하지는 않고 무소속으로 출마한 모습입니다.

1.부정선거 척결
2.반국가 세력 척결
3.'강소기업 천국 코리아'로 희망 경제
4.'깜놀 10억 창업배틀 365'로 창업 지원
5.'초일류 정상국가' 프로젝트 - AI·로봇·양자컴퓨터 강국 도약
6.국가안보 체계 전면 재정비
7.마약 청정국 지위 회복
8.둘째 출산 2억 드림 등
9.내국인 우선 및 끊어진 청년 희망 사다리 구축
10.자유통일 국가 비전 달성

그동안 주장해오던 부정선거에 대한 일관성이 돋보이는 공약이 포인트 같아보이고 둘째 출산 2억이라 적혀있는데 첫째 1억과 합쳐지면 총 3억인건지 1+1로 2억인지는 잘 모르겠네요.

그리고 정당정치와는 무관한 유일한 후보인 무소속 송진호 후보인데 특이점은 그 외에 전과 17범이란 부분이 아주 놀랍네요. 그렇지만 재산신고 부분에서는 가장 재산이 적은 분으로 남아있습니다.

1. 가상자산 산업 활성화 및 투자자 1,560만 명 구제
2. 무너진 건설경기 활성화
3. 청년의 미래를 국가가 함께 만듭니다
4. 꿈과 재능이 꽃피는 교육으로 전환
5. 문화강국 대한민국, K-컬처 세계화 및 체육문화인 복리 증진
6. 자유경제국가 정착, 다문화가정 및 외국인근로자 차별 편견 금지
7. 남북평화통일, 선 경제/문화통일, 후 단일국가 평화통일
8. 시장경제 회복, 서민경제·금융위상 제고 목표
9. 국토균형개발 - 수도권 과밀 해소, 지역격차 해소
10. 열린정치, 공감정치 실현

가상화폐를 공약으로 삼은 부분은 특이점으로 보이긴 하지만 이 분의 전과 이력 중 사기전과만 12범인걸 생각하면 얼굴과 성함을 잘 기억해 둬야할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번 대선에서는 준비기간이 짧아서 송진호 후보 같이 홍보를 위해 출마한 후보가 적은 부분도 있지만  불출마를 통한 후보 단일화로 인해 후보가 많이 줄은게 아닌가 싶습니다. 원래라면 보수 후보도 한 두분 더 계시고 진보 후보도 몇 분 계실텐데 계엄과 정치적 지도의 영향을 많이 받은 선거가 아닌가 싶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카이바라 신
+ 25/05/15 21:29
수정 아이콘
황교안은 일관성 있군요 그러나...어째 김문수랑 단일화 할듯.
손꾸랔
+ 25/05/15 21:43
수정 아이콘
군소후보까지 합쳐 7명의 대선후보들 공약을 보니 그 구체적인 설명과 주장의 과정에서 허위사실이 섞일 가능성도 좀 있어보이네요.
선거 끝난 후 허위사실공표의 단죄가 과연 얼마만큼 이루어질지 벌써부터 두근두근 기대가..
슬래쉬
+ 25/05/15 21:53
수정 아이콘
이분들은 선거에 얼마 쓸까요?
+ 25/05/15 22:18
수정 아이콘
기탁금 3억을 깔고 홍보 비용과 부대 비용에 따라 차이가 나게되는데 참고로 지난 대선서 정의당이 32억 안철수 후보와 허경영 후보가 70여억정도를 사용 했고 https://www.lawfact.co.kr/news_proc/news_contents.jsp?ncd=2927 이곳에서 지난 번 군소후보들이 사용한 비용을 얼추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양당 제외하곤 전부 보전 받지 못 했습니다.
슬래쉬
+ 25/05/15 23:58
수정 아이콘
생각보다 많이 쓰는군요;;;;;;;;;;;;;;;;;;;;;;;;;;
+ 25/05/16 00:11
수정 아이콘
그래서 정당서 가장 중요한 직위 중 하나가 사무총장인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런 큰 돈을 만지면서 집행 권한이 있기에
어지간하면 당대표가 믿을 사람으로 씁니다.
lightstone
+ 25/05/15 21:56
수정 아이콘
황교안은 이딴게 국무총리(?)급이네요. 저런 사람이 검사, 법무부장관, 국무총리까지 했다니...참 현타가 오는군요.
다람쥐룰루
+ 25/05/15 22:46
수정 아이콘
그나마 괜찮은 공약을 꼽아보자면 황교안 6번 송진호 8번9번이 눈에 들어오네요
나머지는...
뭐 아무튼 열심히 하시길 바랍니다(??)
한화우승조국통일
+ 25/05/15 23:16
수정 아이콘
후보가 적어서 그런지 개그캐가 없어서 좀 허전하네요
군소후보들 아무말 대잔치도 나름 꿀잼인데
+ 25/05/15 23:24
수정 아이콘
그게 가장 재밌는 부분인데 나름 송진호 후보의 이력의 꿀잼이 있긴 하지만 보수 후보 두분의 개그만 있어서 조금 아쉬운 부분입니다.
크림샴푸
+ 25/05/15 23:30
수정 아이콘
황교안의 공약에 많은 진실이 숨어 있네요

윤석열 덕택에

6.국가안보 체계가 전면적으로 개판 됨

7.마약 범죄가 만연하게 됨

9.청년들이 더 살기 힘들어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212568
공지 [일반] [공지]2025년 대선을 앞두고 선거게시판을 오픈합니다. [3] jjohny=쿠마 25/04/04 2354
공지 [일반] 선게에 단축키가 부여되었습니다. ( 8 키) [9] jjohny=쿠마 22/01/11 36866
6708 [일반] 군소 후보들 공약 확인 하 [11] cuvie1535 25/05/15 1535
6707 [일반] 또 다시 돌아온 군소 후보들 공약 확인글 상 [17] cuvie1838 25/05/15 1838
6705 [일반] 2022년 대선후보들의 호감도와 비호감도 [22] 린버크3135 25/05/15 3135
6704 [일반] 김문수 유세차량, 부산 영도대교 높이 제한 시설물 들이받아 [37] 크레토스5623 25/05/15 5623
6703 [일반] 요즘 국민의힘 분위기 [23] a-ha5819 25/05/15 5819
6702 [일반] [NBS] 이재명 49%, 김문수 27%, 이준석 7% [68] 철판닭갈비5278 25/05/15 5278
6701 [일반] 김문수, "5·18 진압" 신군부 정호용 상임고문 임명 후 해촉 [18] En Taro3404 25/05/15 3404
6700 [일반] 이재명의 해수부와 HMM의 부산이전 공약(feat.이준석) [100] Rio5358 25/05/15 5358
6698 [일반] 이준석 "아이가 이재명·김문수 같은 삶 살길 바라느냐, 아니면 롤 모델로 이준석을 제시하겠느냐" [201] 베라히8485 25/05/15 8485
6697 [일반] 윤석열 “탈당, 김문수 원하면 따를 것… 의리 따질 때 아냐” [19] Davi4ever3610 25/05/14 3610
6696 [일반] 제가 지금 이준석 후보, 개혁신당을 지지하는 이유 [136] 럭키비키잖앙7371 25/05/14 7371
6695 [일반] 민주당 김용민 의원 "지귀연 판사 룸살롱 접대 받았다"고 주장 [102] a-ha13116 25/05/14 13116
6694 [일반] to 홍준표 선배님...(feat. 안철수, 권성동, 이재명) [20] 철판닭갈비4441 25/05/14 4441
6693 [일반] 사법부의 독립은 하위개념이다 [11] 토론시나위2849 25/05/14 2849
6692 [일반] 고개 숙여야 지나가는 이준석후보의 현수막 [46] Rio6116 25/05/14 6116
6691 [일반] 여조 세개. 51/31/8, 46/33/7, 50/30/8 [51] DpnI5924 25/05/14 5924
6690 [일반] 우원식 국회의장도 차기 대선 노려볼 수 있을까요? [41] 홍철3664 25/05/14 3664
6689 [일반] "이재명 후보는 재원 어떻게 마련할것인지" 의문에 대한 제가 보는 답안입니다 [46] 틀림과 다름3908 25/05/13 3908
6688 [일반] 74세에 뭘 성장시킵니까? [71] Rio5879 25/05/13 5879
6687 [일반] 이번 대선에도 어김없이 시작된 색깔론(feat. 이준석) [135] 마라떡보끼8653 25/05/13 865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