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스포츠/연예 관련글을 올리는 게시판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2/04 02:55
솔직히 중국이 저 난리 피우니깐 한국이 숙이고 가는거죠 뭐 반대 상황이었으면 절대 철회 안했을겁니다
그러니 커제는 억울할거 전혀 없다 솔까 막 경기도 다 이긴 경기 반칙패도 아니고 거의 지는 경기 반칙패당한거라
25/02/04 15:55
한국기원이 계속 규정을 유지했으면 억울한 입장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만 결국 유일한 케이스가 되어버려서요. 반칙패로 지는 것과 실력으로 지는 건 차이가 크다고 생각해서.. 승리한 사람의 입장도 그렇구요.
25/02/03 22:12
이 룰이 당장 프로기사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한 룰이였다고 합니다.
조혜연 9단기사 예기를 따르면 “당장 프로기사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한데, 룰 규정 개정에 있어서는 하나 하나 최소한 프로기사총회 차원의 인준을 받았어야 하지 않냐, 바뀐 한국의 바둑룰은 종전의 유연한 규칙에 비해 파격적이고 급진적인 만큼, 심판위원회가 바꾸고 프로기사에게 공지 몇 줄로 강요하기보다는 하나 하나 바뀌는 부분을 논의하고 유예 및 적응기간을 둬 타당성을 충분히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해보인다” 뭔가 너무 대충 만들고 엄격하게 적용하여 생긴 참사라고 볼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25/02/03 22:15
"규정 제정을 위해 중국, 일본 등과 적극 협의해 나가겠다"고 예기했으니 우선 반칙패만 삭제하고 벌점이나 이런 부분은 협의로 정하려고 하는 것 같습니다.
25/02/03 22:17
딥시크한테 이번 건을 물어보니 커제한테 3년 징계를 내려야 한다는 답변이 나왔다죠.
중국 AI에 물어도 현 중국여론과는 정반대 입장이 나오는 상황이라면 그정도로 지금 중국이 억지를 쓰고 있다고 보는게 맞죠. 룰에 대해 어느정도 개선점이 있는 것은 맞지만, 룰에 그런 개선점이 있다고 해서 커제의 잘못이 정당화되는 것은 아니니까요.
25/02/03 22:24
이게 왜 한국이 욕먹어야 되는지 이해 불가네요. 그냥 중국 하고 싶은데로 다 하라고 하죠 뭐. 룰도 그냥 중국 꺼 쓰고 한국 바둑은 그냥 중국 따까리나 하면 되겠네요.
25/02/03 23:09
https://youtu.be/ScYGxiBw6Cw?t=233 (3:40초부터)
오늘 프로연우 유튜브에서 이야기를 한 내용인데요. 항저우 아시안게임 직전에 중국의 일방적인 룰 변경 통보가 있었는데도 한국은 별말없이 받아들였다고 합니다. 그 당시 새로이 적용된 룰 중 하나가 "바둑돌을 올려 놓은 손으로 초시계를 눌러야 한다" 인데, 대회가 닥쳐서 통보받았는데도 한국팀은 이걸 짧은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연습을 해서 적응 후 항저우 아시안게임에 나갔다고 하죠. 룰을 어기지 않기 위해서 한손에 손수건을 쥐고 다른 손으로만 바둑돌도 놓고 초시계도 누르고 하는 연습을 했다고 하네요. 아시안 게임도 중국도 대회 시작이 다 되어서 통보를 하는데, 3개월씩이나 여유를 줬음에도 불구하고 지금에야 와서 이의를 제기하는 건 적반하장이죠. 오죽했으면 중국 변호사도 그런 여론 한가운데에서도 중국 기사들은 한국 룰을 지킬 생각이 없는 것 같았다고 일침을 놨겠습니까.
25/02/03 23:18
저도 이 댓글 보기 전까진
안타깝긴 한데 내가 나서서 쉴드 쳐주긴 힘들겠.... 이 정도의 스탠스였는데 이게 처음이 아니면 또 다시 생각해볼 여지가 있는 것 같네요
25/02/03 23:35
바꾸더라도 1,2년은 해 보고 바꾸든지 해야지 중국 앞에 깨갱한 꼴 밖에 안 되고 말았네요.
잘못은 커제가 했는데 이리 금방 되돌릴 거면 커제만 억울하네, 한국 기원이 전적으로 잘못했네 하는 말만 나올 뿐이죠. 방귀 뀌고 성내면 들어줘야 하는 건지 참.
25/02/04 08:52
커제는 좀 안타깝죠. 룰을 공지를 해줬는데도 그냥 안지킨거니까 프로라면 룰은 알고 해야죠 바둑 실력은 그 다음이고요. 근데 뭐 중국행사에 참가못한다고 공지하니까 바로 롤백됐군요. 잘됐네요.. 허 참나
25/02/04 12:06
국내 바둑 인기가 나날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프로기사들 밥그릇이 달려있다 보니 어쩔 수 없죠 양쪽 다 백프로 깔끔하진 않지만 굳이 따지자면 중국이랑 커제가 더 졸렬하다 생각은 하는데 밥줄 끊겠다는데 박아야지 뭐..
25/02/04 13:51
벌칙이 과하게 세서 그런거지 룰 자체는 사람에 따라 필요하다? 정도인듯. 이번 대국자였던 변상일은 크게 필요없는 룰이라고 했지만 룰 생긴이유는 국내 바둑리그였나 거기서 문제가 있어서 생긴거니까요. 즉 룰 자체는 한국 기준으로 필요한 사람도 있고 불필요한 사람도 있지만 대국에 영향갈 수 있어서 필요는 해보이나 그에 따른 벌칙규정이 반칙패나 벌점이 너무 과했다라고 보여지네요.
한국과 일본 바둑에서는 사석이 계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자신과 상대의 사석을 보고 계가하는 기사들이 많으며, 중국에서는 사석이 계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아 사석을 크게 신경쓰지 않으며 사석의 위치에 대한 룰도 거의 없다. 2024년 한국바둑리그에서 중국 선수 용병이 사석을 계속 쥐고 계가를 하다가 한국 선수가 이에 대해 이의제기를 한 적이 있다. 이후 이와 관련된 룰이 신설된거라서요 by 나무위키
25/02/04 16:43
규정의 취지·목적에 대해서 잘 알고 계실 것이다. 선수로서 이 규정에 대한 생각은?
“제가 이런 말을 해도 될지 모르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이런 룰이 없는 게 맞다는 생각이 든다.” - 왜 그렇게 생각하는가? “사실 승부와는 전혀 무관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아까 시상식 때 커제 선수의 입장이 이해가 된다는 말을 해주셨는데, 어떤 부분인가? “커제 선수가 중국에서는, 사석을 어디에 놓느냐가 아무 상관이 없기 때문에 그런 점을 잘 숙지하지 못한 것 같고, 그래서 충분히 이해는 된다.” ------- 상대 선수였던 변상일이 공개적으로 한 인터뷰를 고려해보면.. 페널티가 과도해서 대회를 망친 케이스라고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