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2/24 23:07
지금 엔비디아 5000번대도 드라이버 문제 많다 그러더라고요.
드라이버 문제 귀찮으면 시간이 필요하긴 합니다. 라데온은 조금 배워야 하는 귀찮음이 더 추가될 뿐이죠. 많이 나아지긴 했어요. 라데온도. 그렇다고 초보자분들께 함부로 추천할만 하냐 하면 그건 아니고요.
25/02/24 23:35
5700부터 라데온만쓰고 있는데 별 차이 모르겠습니다. 엔비디아는 좋았나 떠올려보면 그렇지도 않고요.
저는 그냥 자동튜닝만 켜놓고 씁니다.
25/02/25 00:10
(수정됨) 막 초기에 사는거 아닌한 드라이버 얼추 안정화되면 의외로 딱히 뭐 설정배울것도 없고 그냥 기본값만 써도 별 문제 없었습니다. 지포스라고 이슈가 아주없는것도 아니고요. 물론 초기제품들은 여러 이슈나 성능저하가 제법 있어왔습니다. 그래서 비꼬는 말로 성장형그래픽카드 소리 들었고요. 결론은 초기에는 피해도 나중에 안정화되고 나면 의외로 별차이는 없으나 막상 상급으로 가면 절대적인 성능자체가 밀리고 중급으로 가면 전성비가 밀리다보니 그거와는 별개로 인기가 떨어질수밖에 없습니다. 중고값 더 못받는것도 한몫하고요. 그리고 똑같은 이슈가 생겨도 지포스는 그러려니 하는데 라데온은 유독 도저히 못쓸 취급을 하는것도 있습니다.
25/02/25 08:08
6700XT 쓰고 있는데 아직까지는 별문제 없었습니다.
저는 디아4만 하고 있긴 합니다 근데 이번시즌에 게임이 로딩 후에 먹통 되는 현상이 지속적으로 발생해서 스트레스 좀 받았는데 괜히 그래픽카드 의심을 하게 되더라고요. 정보를 얻고 윈도우 재설치로 해결 봐서 그래픽카드 문제는 아니엇던걸로 결론 났습니다.
25/02/25 08:31
케바케이긴 한데.. 주로 시간이 지난 게임을 할 때, 특정 프로그램에서 작업할 때 문제가 다수 발생된다고 들었습니다.
스팀 트리플 A급 신규게임들은 테스트를 하고 나올테니깐 대부분 잘 될겁니다. 그리고 최신게임들에서 드라이버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게임 자체 업데이트나 AMD 드라이버 패치로 꾸준히 개선되기도 하니깐요. 문제만 없다면 엔비디아 그래픽카드를 넘어서는 가성비라서.. 수요가 이쪽으로 몰릴텐데 좀 아쉽긴 합니다. 인텔 아크랑 AMD랑 힘내서 엔비디아 독점 체제를 좀 깨부셔줬으면 좋겠습니다.
25/02/25 08:36
N이랑 꾸준히 번갈아가면서 사용했는데
보통은 문제없고, 가끔씩 호환?이 안 되는 게임들이 나오는데 이럴 땐 검색해 보면 거의 맞는 드라이버 사람들이 올려놓는 편이고 이런 것들 사용하면 문제없긴 합니다 사실 N꺼도 한 번씩 튀어나오는 문제라 빈도수가 살짝 A가 높다 수준이지 최근 5년 정도는 딱히 A라서 별로다 라는 건 느끼지 않았습니다
+ 25/02/25 09:16
항상 문제가 있는 건 아니고, 주류 게임들은 대체로 대응을 해주니까 괜찮습니다. 근데 뭔가 좀 마니악한 무언가를 할 때(주류가 아닌 게임을 한다든지, 비안정화버전의 에뮬레이터를 돌린다든지) 대책없이 죽어버리거나 할 때가 드물게 있어요. 근데 위에 웅즈 님 말씀처럼 한 번 그런 경험을 하고 나면 내 VGA는 하자가 있다 싶은 생각이 드니까 PC에 문제 생길 때마다 VGA부터 의심하면서 괜한 스트레스 요소가 되는 면이 있습니다. 저는 완전 주류게임만 하는 분, 직접 PC 조립해서 쓸 정도라 기본적인 트러블슈팅이 되는 분 아니면 기본적으로 지포스가 더 나은 선택이라 생각합니다.
+ 25/02/25 09:23
세계적으로 잘나가는 게임들은 기본적인 호환성체크, 후속대응이 되니까 메이저 게임 위주로 하는 분들은 DLSS나 RT같은 부가기능을 제외하면 라데온도 쓸만합니다.
그런데 개발여력이 없는 마이너한 프로그램들은 아무래도 점유율이 높은 지포스에 맞춰서 개발하는 경우가 많아서 라데온은 호환성이 떨어집니다. 특히 국산 온라인게임들이 그런 경향이 심해서 국내에서 라데온 인식이 더 안좋은 원인이기도 할겁니다.
+ 25/02/25 10:02
로아 레이드 뛰는데 보스 이펙트가 안 보이는 대참사가 나서 그래픽카드 팔았던 기억이 있네요. 라데온 지원을 잘 안 해주는 무언가가 아니면 일반적인 컴퓨터 환경에서는 비슷하다고 봐요.
+ 25/02/25 10:02
1. 라데온이 드라이버 때문에 못 쓸 정도다라는 건 호들갑
2. 그래도 같은 돈이면 엔비디아 3. 만약 비슷한 급에 가격차가 나면 라데온(ex:4070s 80만, 79gre 65만) 기본적으로 깡성능이 비슷할 때 라데온이 반급 정도 가격이 저렴하게 풀립니다. 그냥 싸게 싸게 가성비로 챙겨가면 충분히 메리트가 있다 생각하고 본인이 rt를 키거나 ai 작업을 해야하면 엔비디아로 가는 게 맞습니다. 물론 인터넷상에선 남이 사면 그냥 엔비디아 추천하는 게 속 편하긴 합니다. 엔비디아 가십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