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5/02/04 19:26:32
Name EnzZ
Subject [질문] 자산0 월소득 1억 어떻게 해야할까요? (수정됨)
정말 운이좋게도 인생을 걸고 한 사업이 초반이긴하지만 그래도 6개월정도가 지나면서 순탄하게 흘러가 월 1억정도의 소득이 들어오고 있습니다. 자산은 0입니다. (꾸준한 1억이 아닌 500-2억 정도로 매달 수익의 변동도 굉장히 큰편입니다)

당연히 실거주 집부터 이런내용은 알지만 정말 0에서 모아가야합니다.

사실 엄밀히따지면 0도아닙니다. 대출도 많아요.

나름대로는 재테크도 이것저것 해보고 막상 사업전에 잘되면 이렇게 굴려봐야지했었는데 통장에 돈들이 찍히기 시작하니 아직 제 그릇이 이돈을 감당할 그릇이 아닌것 같습니다. 어떻게 하자는 원칙들이 투자하면 안될 이유들만 자꾸 떠오르며 어떻게하지 하는 생각만 드네요. (원래 계획은 그냥 소득을 전부 krx거래소 통해 금만 사자였습니다)

그리고 사실 월급처럼 따박따박들어오는 돈도 아닌데다가 당장 이번달 다음달이 어떻게 갈지모르니 수익금을 제계좌로 옮기는것부터가 1차 허들입니다. 근데 따로 빼지않으면 저축이건 재테크건 죽도밥도안될거같아 일단 옮겨볼까합니다

부모님 포함 주변에 사업하시는분들도 없고 인간관계가 넓지못하기도하고 관계유지에 서투르다보니 이런고민을 나눌 선배 형님들도 없어 익명을 빌어 피지알선배님들께 귀한 조언을 구해보고 싶습니다.

국내주식을 하자니 불안하고 미장을 투자하자니 고점같고 금은 역사상 신고점에 가상자산은 이미투자한것도있고 막상 큰돈을 넣진 못하겠고.

배부른 소리인건 알지만 서울쪽에 실거주할 집을사려면 대출이 안나온다는 가정하에 지금처럼 사업이 최소 2년이상은 순탄하게 흘러가줘야하고 그냥 쓸데없는짓하지말고 현금차곡차곡 쌓아두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원래계획대로 적립식 금을 사둘지 아니면 이미 한물두물간 채권 주식 분산같은걸 할지요.

그리고 혹시 그릇에 넘치는 소득이 갑자기 훅들어온 경우라 이걸 제가 감당을 못할까봐 두려운것도 있습니다. 혹시 비슷한 경험있는 선배님들 계시면 조언도 받고싶습니다. (차에 관심없고 사치품이런거도 관심없습니다. 전자기기 레고정도 좋아하고 모으는거외에 특별한 큰지출은 없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엘브로
25/02/04 19:30
수정 아이콘
우선 현금 모으시는게 우선입니다
괜히 다른거 투자하실필요없고... 어느정도 쌓이면 적당히 대출받고 내집 마련부터 하시죠
25/02/04 19:34
수정 아이콘
네 조언 감사드립니다 어줍잖은 재테크지식으로 원화가치가 녹는다 블랙스완이 온다 등등 남는시간에 재테크 유투브만 보다보니 쓸데없는 걱정들이 계속들어 원화를 계속가지고 있는게맞을까에 대한 불안함이 있습니다 그렇다고 다른대안을 실천할 용기도 없구요. 조언주신대로 그냥 허튼짓안하고 모아보겠습니다
25/02/04 19:34
수정 아이콘
전부터 제대로(?) 투자해본 경험 없이 갑자기 위험자산에 하시면 후회하실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25/02/04 19:36
수정 아이콘
주식 채권 가상자산 정도까진 투자해봤지만 기껏해야 1억넘는 금액을 투자한적은 없다보니 억단위를 어딘가에 덜컥 넣는게 불안하네요. 투자해서 불린다 개념보다는 집을사기전 애셋파킹을 해서 가치를 지키고 싶은데 어떤게 맞는길인지 모르겠습니다.
호시노 아이
25/02/04 19:37
수정 아이콘
적금 들다가
미장 폭락했다는 얘기 나오면 조금씩 투자하십쇼
25/02/04 19:43
수정 아이콘
의견 감사드립니다
슬래쉬
25/02/04 19:40
수정 아이콘
6개월정도가 지나면서
2~3년차때부터 나올 세금 폭탄 미리미리 준비하셔야 합니다.
1년차때는 세금이 거의 없어서 번 돈이 다 내 돈인것 같은 착각을 하죠.............
25/02/04 19:43
수정 아이콘
네 맞습니다 회계사님이 3년차까지는 비용처리가 다되서 세금이 거의 안나올거고 그이후부터 세금 잘 준비해야한다고 하시더라구요 운좋게 초반에 자리잡은만큼 세금제대로 나오기전에 핵심지에 등기는 한번 치는게 목표입니다.
여의도더현대
25/02/04 19:53
수정 아이콘
저도 이분 말씀 추천요. 세금 계산 잘못하면 폭탄 맞습니다.
FlutterUser
25/02/04 20:19
수정 아이콘
일딘 자산투자는 하지 않거나 하더라도 정말 적은비중으로 하시고 예적금으로 하시죠. 
25/02/05 13:00
수정 아이콘
네네. 뭔가 재테크로 부를 이루겠다가 아니라 이돈을 어떻게 파킹해둬야 좋을까. 원화가치는 계속 떨어질것 같긴한데 달러나 금이 더 낫지않을까. 내가 집살돈 모을동안 그 돈의 가치가 계속 야금야금 떨어질것 같은게 너무 싫어서 고민해봤습니다. 일단 예적금으로 묶어두겠습니다 조언 감사드려요.
스토리북
25/02/04 20:25
수정 아이콘
예적금 하세요. 능력이 특별히 뛰어난 게 아니라면 투자에 신경 쓰다가 본업도 무너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25/02/05 13:01
수정 아이콘
네 잘 운용하고 굴리겠다 보다는 어디에 파킹하는게 제일좋을지. 그게 원화는 아닐꺼같은데 이런거 고민할시간에 본업에 조금더 충실해야겠습니다 조언 감사드립니다.
iPhoneXX
25/02/04 20:31
수정 아이콘
소액가지고 분산투자 해봐야 효과가 미미한대, 글쓴분처럼 억단위 찍히면 몰빵 투자는 절대 피하셔야 됩니다. 지금 쌓이고 있는 부만 잘 챙겨도 어디 가서 뒤지시는건 아니니 조급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어요. 
25/02/04 20:37
수정 아이콘
대출 이자가 얼마인지 모르겠으나
저금리 장기 상품이면 들고가시고
4~5프로 근처면 그거부터 줄이시는게 좋아보입니다.
소득 상황이 좋아지셨으면 기존대출 이자율 감면이나
대환도 알아보시길
25/02/05 13:01
수정 아이콘
네 대출도 크지만 사실 대출이자가 다 비용 처리가 되다 보니 사실 급하게 대출을 갚아야할까 하는 생각은 있습니다.
윌슨 블레이드
25/02/04 23:18
수정 아이콘
월 1억이면 재테크 안하고 돈만 버셔도 되지 않나요?
굳이 재테크보다는 사업 쪽에 더 투자할 것 같네요
로드바이크
25/02/05 08:35
수정 아이콘
저도 이생각입니다. 월 1억인데 그냥 사업만 열심히 하시죠. 알아서 모일것 같은데요. 자산이 0이면 좀 모은 다음에 고민하셔도 될것 같네요.
집에보내줘
25/02/05 08:15
수정 아이콘
일단은 예적금부터 하는게 가장 먼저라고 생각합니다.
윤니에스타
25/02/05 09:05
수정 아이콘
재테크 하실 때가 아닙니다. 위 조언처럼 세금에 대비하시고 현금 모으십쇼. 그리고 인정하시겠지만 월수익이 고정으로 1억이 아니면 1억이라 하시면 안됩니다. 500-2억이란 말이 500까지 떨어질 때가 있단 얘기죠? 더욱 예적금을 해야겠네요.
25/02/05 13:02
수정 아이콘
네 결국 예적금. 새겨듣겠습니다. 원화가 살살녹는게 너무 싫어서 달러나 금이 더 괜찮을까 고민을해봣는데 쓸데없는 고민하지말고 돈만 잘 빼서 묶어두겠습니다.
25/02/05 10:2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증권사 Wrap계좌에 일임하시면 됩니다. 본인 위탁계좌를 매니저가 일임해서 굴려 주는거에요. 물론 법인 계좌도 가능하고.
Wrap 상품 여러개 있으니까 어디 투자하는지, 최근 수익률, 변동률 등 보시고 본인 성향에 맞는거 고르시면 되요.
상품마다 다르겠지만 대부분 추가 입금, 출금 가능하고 언제든 해지 할 수 있습니다.
NH, KB, 삼성, 한투 등 메이저 증권사에서 가입하시면 됩니다.
보통 지점에서 가입하지만 요즘엔 영상통화 통해서 앱으로 비대면 가입도 가능합니다.
추가로 말씀드리면 채권형 상품도 있습니다. 채권랩 한번 터진뒤로 단기채 상품들은 거의 원금 보장 된다고 보시면 되요. 이제 Wrap으로 만기미스매칭 운용 못해서... 여튼 직접 투자할 여력 없고 돈은 제법 목돈이다 하면 Wrap계좌가 정답입니다. 의외로 다들 잘 모르시더라고요....
25/02/05 13:03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한번 찾아보고 공부해보겠습니다.
덴드로븀
25/02/05 10:27
수정 아이콘
재테크 하실 때가 아닙니다 (1)

매출이 커질수록 세금과 기타비용처리 문제가 심해지고, 10억 100억 매출이 쭉쭉 늘다가
알수없는 외부요인 등으로 매출이 순식간에 꼴아박거나, 직원이 사고치거나, 공장이 불나거나, 내가 다치거나 등등으로 현금을 써야 상황애서 현금 부족해서 대출로 막다가 접는 수준으로 갈 수도 있는게 사업입니다.

2025년 기준 순익 10억 찍으면 그때 가서 고민해볼일이죠.

리스크 대비 차원에서 대출 조절 & 예적금만 하는게 최고의 선택이죠.
25/02/05 13:03
수정 아이콘
네 감사합니다. 따끔한 조언 새겨듣겠습니다. 원화가치 야금야금 녹지않을까 하는걱정에 금이나 달러로 그냥 모아두는게 좋을지 계속 고민을 해봤습니다. 막 어디 주식에 투자를하고 굴리고 이런 생각은 없었는데 우선 본업에 충실하며 그냥 예적금으로 리스크 조절만 열심히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덴드로븀
25/02/05 13:19
수정 아이콘
2가지 사례를 들어보겠습니다.

case1. 안정적 연매출 100억 해주는 바이어만 믿고 돈 펑펑 & 리스크 관리 안하고 사업하다 코로나19 로 망조 들고 바이어 눈밖에 나버려서 매출 쪼그라들고 작년 폐업처리

case2. 사업 몇번 말아먹고 한번 크게 성공하고 그돈으로 전혀 안해본 다른 분야 사업 시작하자마자 수십억 벌며 더 크게 일 벌이다 사기&배임 등로 구속

몇년내 매각&엑싯 생각하며 시작한게 아닌 이상 어떻게해야 안정적으로 오래 유지할수있느냐부터 고민하는게 중요하지
내가 들고 있는 원화가치 좀 망가지는게 중요한게 아니죠.
바위꿈틀
25/02/05 10:36
수정 아이콘
몇년전에 비슷한 상황을 겪어봤는데

일단 연저펀 irp 소득공제 한도까지는 넣으시구요 추천은 s&p500 , 나스닥100 etf 반반

나머진 매달 예금자보호한도 4800정도 저축은행에 정기예금 1년만기 넣으세요 1년하면 6억정도 (중간에 더 생기면 추가로 한달에 두세개 더 만드셔도 되구요)

지금은 투자보단 시드 늘릴때니까 예금으로 하는게 맞구요 돈을 무조건 묶어놔야 모입니다

그리고나서
서울 부동산 어느정도 상급지(잠실 정도) 살만큼 모였으면 (30억 집이면 15억 현금 + 15억 대출) 바로 1주택 갭투자나 주담대 끼고 삽니다

일단 상급지 등기 하나 치고나서 다른 투자 그때부터 시작하세요

잠실 국평 한채 + 주식이나 비트코인 금 등등 투자해도 되고

1주택을 반포 압구정 정도 되는 최상급지 한채로 갈아타도 좋고

똘똘한 한채 만든뒤에 그뒤 투자는 각자 스타일대로 하면 됩니다 그때 되면 어느정도 감이 올거에요

그나저나 내년에 종합소득세 한번 내보면 현타 심하게 오실겁니다...
25/02/05 13:04
수정 아이콘
결국 이런 생각을 한게 돈을 따로빼서 묶어두지않으면 계속 돈이 나가고들어가고 제대로 모으지도 못하겠다 하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원화가 좋을지 달러가 좋을지 금이 좋을지 고민을 했던건데 일단 예적금으로 계속 착실하게 모아나가고 최대한 빨리 실거주 주택부터 목표로 하겠습니다.
기사조련가
25/02/05 10:39
수정 아이콘
근데 진짜로 작년부터 금 사셨으면 지금 40프로 떡상 하셨을꺼에요
처음 생각이 맞으셨네요
25/02/05 13:00
수정 아이콘
금으로 돈을벌자 보다는 애셋파킹하기에 금보다 더 좋아보이는 자산이 없어서 그런건데 그땐 돈이 없었고 돈이 생기니까 겁이나서 못사고... 아무튼 그렇습니다 귀한 조언 감사드립니다!
25/02/05 13:38
수정 아이콘
2~3년 같은 단기에 확실히 써야할 돈이라면 예금 밖에 없을 것 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06800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29340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77907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1120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2149
179592 [질문] 영화,드라마 대사인데 자세히 기억이 나지 않어 답답합니다.. [1] 짜부리259 25/02/05 259
179591 [삭제예정] 정신과엔 무슨 이유로 가나요? 제 경우도 해당될까요? [7] 까만고양이446 25/02/05 446
179590 [질문] 김이 맛있는 식재료인가요? [32] 윌슨 블레이드683 25/02/05 683
179589 [질문] 피규어 수집 취미를 가지신 회원님 중에 사진 좀 보내주실 수 있는 분 계실까요? [4] 미네랄은행380 25/02/05 380
179588 [질문] 고전 게임 중에 캐릭터 선택시 미국 주가 배경인 게임 [4] Fig.1461 25/02/05 461
179587 [질문] 친구와 둘이 중국여행 가려고 하는데 여행지 추천해주세요 [8] RENTON418 25/02/05 418
179586 [질문] 로봇청소기 관련질문입니다 [8] Lord Be Goja594 25/02/05 594
179585 [질문] 개인이 사용할 목적으로 쌍둥이 폰 하는것도 불법일려나요 [13] DogSound-_-*941 25/02/05 941
179584 [질문] 대안cad 추천부탁드립니다. [3] 유아린446 25/02/05 446
179583 [질문] 2017년 삼성노트북 NT500R5H-K27R 호환되는 m.2. ssd 구할 수 있나요? [3] will453 25/02/05 453
179582 [질문] 도로위 빨간 말뚝(?) 박는 방법 [4] 흰둥882 25/02/05 882
179581 [질문] 레딧 어플 깔앗는데 핫한 게시물만 볼 수 있나요 [2] Alfine1386 25/02/04 1386
179580 [질문] 갤버즈 FE 어떤가요??? [11] 스트롱제로1489 25/02/04 1489
179579 [질문] 31개월 애기가 흥얼거리는 노래를 찾습니다!! [5] 윈터1858 25/02/04 1858
179577 [질문] 폰 바꿨는데 유심만 끼우면 데이터 터져야 하지 않나요? [7] 싸구려신사1472 25/02/04 1472
179576 [질문] 자산0 월소득 1억 어떻게 해야할까요? [31] EnzZ1991 25/02/04 1991
179575 [질문] 무도짤 - 못난이도 받아주는구나 어디일까요? [1] 마르틴 에덴601 25/02/04 601
179574 [질문] 파일을 여는 '기본 앱'을 변경설정해도 재부팅하면 초기화됩니다. qwertyy348 25/02/04 34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