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24/02/16 01:23
애플이야 다른 회사 신경쓸 이유가 없고
삼성이 아이폰, 플러스, 프로+프로맥스 갤럭시s, 플러스, 울트라 에 각각 상응해서 만들겠죠 경쟁이 되는지는 차치하고요
24/02/16 11:01
저도 실제 판매량이나 성능에 있어 경쟁이 되는지에 대한 궁금증 보다는
사람들의 인식 속에 삼성과 애플은 서로 경쟁을 하고 있다고 알고 있는데 그렇다면 각 모델별 대결 구도는 어떻게 이루어져있나 궁금해서요.
24/02/16 02:13
사실 폰은 한번사면 신형기기에 엄청 큰 관심이 있지 않는이상 2년은 쓴다고 봐서
이가격에 아이폰사면 프로맥스는 못사고 프로 살수있는데 갤럭시사면 울트라까지 살수 있네 개인적으로 이런 접근은 잘 안한다고 봐서 아이폰쓰고 싶으면 아이폰중에 고르고 갤럭시쓰고 싶으면 갤럭시중에 고른후에 그안에서 크기나 성능보고 결정한다고 생각해서 대응모델이 의미가 있나 싶긴해요
24/02/16 11:03
저는 가격적인 접근 보다는
사람들이 느끼는 삼성의 라인업 구성과 애플의 라인업 구성 사이의 대응구도가 궁금했습니다. 내가 산다 라는 접근보다.. 예를들어 아이폰 프로 모델은 삼성 갤럭시 S 플러스랑 경쟁하지 않나? 이런 인식이 궁금합니다.
24/02/16 11:04
갤럭시 S 울트라 모델은 아이폰 프로맥스를 겨냥한 모델이지만
S와 S플러스는 아이폰(일반, 플러스)보다는 상위, 프로 보다는 하위 정도의 포지션을 취하고 있다는 말씀으로 이해해도 될까요?
24/02/16 11:11
아뇨
아이폰일반 플러스보다 더 낮은 위치를 겨냥한다는 의미였습니다 삼전에서는 어떻게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엑시노스 넣으면서 더 상위를 겨냥한다하면 안된다고 생각해서 그렇게 말씀드렸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