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JUNG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4/02/01 08:39:40
Name WhiteBerry
File #1 Screenshot_20240131_193438_BENCHBEE_SpeedTest.png (504.3 KB), Download : 8
File #2 Screenshot_20240131_193608_BENCHBEE_SpeedTest.png (505.8 KB), Download : 3
Subject [질문] 무선공유기 속도 재봤는데 혼란이 오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우선 저희집은 무선 공유기 2대를 사용 중입니다.

1) ASUS RT-AC68U (예전에 해외직구로 구매)
- 성능 그런건 잘 모르고 몇년전 직구금액이 낮아 무지성으로 구매하고 잘썼음
- 저를 포함한 식구들 전용

2) 통신사(KT) 에서 제공해주는 무선공유기 (약정에 포함돼서 무료로 사용)
- 거실 티비 아래에 있음 (티비 받침대 안에 넣어놓음, 서랍안에 있음)
- 잘 안씀.. 손님, 친척들 오면 비번 알려줌


이렇게 세팅해 놓고 6~7년 지나는동안 별 불만없이 사용해왔습니다.
속도에 큰 불만이 없었기에 와이파이 속도 같은건 별도로 측정해보지 않았구요.


며칠 전에
1) ASUS 공유기가 뻗어버렸습니다. 재부팅, 초기화를 하여도 신호를 뿌려주지 못하더라고요.
오래 쓰기도 했고.. 이참에 교체가 필요할 듯 하여 iptime 제품(AX3000M) 으로 구매를 하고 어제 설치까지 완료했습니다.


와이프는 통신사꺼 쓰면되지... 뭘 굳이 또 구매를 하냐고 했지만...

통신사 제품은 왠지 성능이 떨어질거 같았고, 또 그런 부분을 와이프에게 어필하면서 공유기 구매 합리화를 하고 설득했습니다.



설치 후 기분이 좋아 와이프에게 자랑하려고 공유기 속도를 측정해 봤는데... 통신사 공유기 속도가 더 잘나오네요??
(저는 사실 다른건 잘 모르고 다운/업로드 속도가 높으면 좋다는 정도만 인지하고 있습니다.)

거기에 통신사 공유기는 서랍같은곳에 쳐박아 놨는데도요..

당연히 (또는 막연히) 신제품이고 더 고급라인이라고 생각했던 공유기가 성능이 떨어진다는게 사실 이해가 잘 안가더라고요..

있는거 쓰지 괜히 샀나 싶기도 하고요.. 크크


혹시 제가 사용한 두 제품 ASUS RT-AC68U, AX3000M 의 성능은 어느 정도인건가요?
ASUS 제품은 무지성으로 구매해서 사용했고 이번 iptime 제품은 나름 검색 많이 해보고 구매한거에요.


아... 큰 차이는 아니기에 그냥 만족하면서 쓸 예정이고.. 이번 기회로 통신사 제품에 대한 편견도 사라지게 됐네요.


여튼 질문글을 가장한 푸념이었습니다.


차례대로 iptime, 통신사 공유기 속도입니다.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

"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
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한화이글스
24/02/01 08:44
수정 아이콘
연결 구성이 어떻게 되어 있는건가요?
모뎀 --- iptime 공유기
ㅤㅤㅤ└- 통신사 공유기
이렇게 되어 있는건가요?
WhiteBerry
24/02/01 08:48
수정 아이콘
iptime : 서재에 있음, 벽에서 바로 통신선 인출
통신사 : 거실에 있음, 동일하게 벽에서 통신선 인출

측정은 각 공유기 바로 옆에서 측정함...

본문은 거실과 서재에서 각각 나오는 통신선의 속도 차이가 있는지는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서재가 더 빠르거나 거실과 같다고 생각했어요.

예전 처음에 인터넷 설치할때 데탑 위치 정하면서 데탑에 직결할거니 메인선(?) 으로 처리해달라고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제주산정어리
24/02/01 08:53
수정 아이콘
무선 측정은 오차를 감안해야 합니다. 다만 여러번 측정했음에도 고대역에서 평균 핑이 50ms를 찍는다면, 그 때는 개인적인 경험상 세팅이나 최적화가 덜 된 것이 아닌가 의심해 볼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해외직구 제품은 전파법상 출력제한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경우들이 있기에, 그 환경에 익숙해져서 그럴 수도 있고, 한편으로 KT 웨이브2... KM 계통은 원래도 오버스펙으로 유명했습니다. 하드웨어적으로는 10만원~15만원대 제품들과 비교했을 때 그리 크게 꿀리지 않습니다. 펌웨어가 워낙 기초적인 기능들만 들어가 있어서 제한당할 뿐이죠.

마지막으로 0.1 차이를 논하는 게 아니라면, 두 모델과 더불어 통신사 제품까지 가정집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대동소이 합니다.
WhiteBerry
24/02/01 08:56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여러 번 측정했는데 비슷한 결과였습니다. 막연하게 당연히 iptime 제품이 무쌍찍고 와이프에게 당당한 제 모습을 보여줄걸로 생각했는데 역관광 당해버렸네요.

혹시 세팅이나 최적화를 별도로 해주어야 한다면 어떻게 접근을 해봐야 할지 조언 구할수 있을까요?
제주산정어리
24/02/01 09:09
수정 아이콘
대단한 세팅법은 없고, 주변에 전파 방해가 될만한 물건들을 치워본다던지, 펌웨어를 최신으로 유지하고, 배정된 채널에 간섭이 심하면 채널을 옮겨본다던지, 채널폭은 제대로 되어있는지 등... 대중적으로 익히 알려진 것들입니다. 아마 기계에 큰 문제가 없으면, 원인으로 유력한 건 채널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럼에도 드라마틱한 향상을 기대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몽키매직
24/02/01 09:18
수정 아이콘
일반적인 인터넷 사용에서는 기기 차이는 별로 안나고 환경차이가 더 큰 게 정상입니다.
닉바꾸기힘들다
24/02/01 09:33
수정 아이콘
경험상으로는 단말기 한대로 속도 체크하는것 자체는 큰 의미없다고 생각됩니다.
왜냐하면 성능과 별개로 통신사에서 준 네트워크 장비들도 결국 통신사에서 보장한 최고속도는 보장해야 하기때문이죠.
성능이 좋은 네트워크 장비들이 빛을 발하는건 그 밑에 물려있는 단말기가 늘어났을때 이들이 네트워크 리소스를 나눠쓰게 됐을때
이를 얼마나 빠르게 스위칭을 해줄 수 있는지가 관건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를테면 집에있는 pc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하는상황에서 다른분들이 스트리밍 영상을 볼때 어떤지 그런상황을 테스트해보시면 좋을것 같네요.

별개로 KT에서 제공했던 네트워크 장비들중 좋은게 있다고 하긴 하더랍니다...
karlstyner
24/02/01 09:50
수정 아이콘
일단 핑이 50넘는것부터 정상은 아닙니다. 무선이라도 장애물없고 제대로 연결되어 있으면 8-10정도 나오거든요.

일단 두 공유기 설치위치를 바꿔서 다시 측정해보시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74742 [삭제예정] 이번 주 일요일 윤하 콘서트 가실 분 있으신가요? [3] 삭제됨5615 24/02/02 5615
174741 [질문] 자동차보험 다이렉트와 설계사 [7] backtoback6601 24/02/02 6601
174740 [질문] 신혼부부 디딤돌대출 문의드립니다. [9] funk7479 24/02/02 7479
174739 [질문] 소음 적게나는 가성비 게이밍 키보드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7] 목캔디7872 24/02/02 7872
174738 [질문] 넷플릭스 추가 회원 결제 질문드립니다. [6] 김성수6364 24/02/02 6364
174737 [질문] 네이버 글씨 깨짐현상 해결하신분 계실까요 [3] 민서7768 24/02/02 7768
174736 [질문] 아파트 대출금 조기상환에 대해 [17] 쿄우가8225 24/02/02 8225
174735 [질문] 롤 채팅 칠때 버벅임 현상 [1] 욱상이7004 24/02/02 7004
174733 [질문] 부가가치세는 명목상 사업자가 내는건가요 소비자가 내는건가요? [6] Ellun7361 24/02/02 7361
174732 [질문] 모니터에서 소리가 나지 않네요ㅠ [5] LeNTE5944 24/02/02 5944
174730 [질문] 사무실 자료 백업, 공유 및 동기화, 네이버 메일백업 관련 문의드립니다. [1] 망고치즈케이크5795 24/02/01 5795
174729 [질문] 전세 내어 줄때 알아야 할 것들이 있을까요? [6] 택배6620 24/02/01 6620
174728 [삭제예정] 제네시스 커넥티드 서비스 연장 어떻게 하나요? [3] Emas Parker7155 24/02/01 7155
174727 [질문] 마통 해지 관련한 질문드립니다. [3] 아현샤안포5628 24/02/01 5628
174726 [질문] 카운터 스트라이크관련 사이트는 어디있을까요? [7] 제논5861 24/02/01 5861
174725 [질문] 맥 한컴독스 구독해 사용하시는 분 계실까요? [5] 짐바르도5504 24/02/01 5504
174724 [질문] 간단하고 편리한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이 있을까요? [13] 손금불산입5253 24/02/01 5253
174723 [질문]  신축 입주 시 잔금 처리 관련 질문입니다. [11] 공격불가7016 24/02/01 7016
174722 [질문] 닌텐도 스위치를 지금 구매해도 호구 아닐까요??? [22] 자칭법조인사당군8300 24/02/01 8300
174721 [질문] 최근 코로나,독감 걸린 여부를 알 수 있나요? [9] wook985614 24/02/01 5614
174720 [질문] 오스트리아 여행 고수분께 자문을 구합니다 [16] 시무룩5578 24/02/01 5578
174719 [질문] 무선공유기 속도 재봤는데 혼란이 오고 있습니다. [8] WhiteBerry6615 24/02/01 6615
174718 [삭제예정] 삭제 [13] 삭제됨5449 24/01/31 544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