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8/30 13:44:51
Name monkeyD
Subject [질문] 추위를 덜 타는, 추위에 강해지는 방법이 있나요?
옷을 입고, 온열기를 트는 등의 외부적인 방법 말고
스스로가 추위를 덜 타게 만드는 방법 있을까요?
겨울되면 손발이 되게 차고 남들보다 추위를 많이 탑니다.
특히 손 찬게 좀 거시기한게 다른 사람 손 잡아 줄 때 민망해요. ㅠㅠ
근본적인 방법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8/30 13:50
수정 아이콘
살이 쪘을 때가 살 빠졌을 때보다 훨씬 추위를 덜 타더군요. 증량은 어떨까 싶네요.
항정살
21/08/30 13:52
수정 아이콘
혈액순환이 잘 되게 하면 됩니다. 예를 들면 운동?
21/08/30 14:03
수정 아이콘
지방이 확실히 몸에 더 있을수록 나은거 같습니다.
대신에 그만큼 더위에 약해지는...
자리끼
21/08/30 14:04
수정 아이콘
운동하고 건강해지니까 좀 더 온도에 덜 민감해지는 느낌이에요.
이혜리
21/08/30 14:05
수정 아이콘
돼지가 되면 됩니다.

제가 자격시험 공부 전까지 181/64 였는데, 추위를 진짜 엄청 탔어요.
게다가 손발에 땀도 좀 있는 편이라서 기화열 때문인지 더더더더더더 수족냉증이 진짜 심했고.
어렸을 때 거의 뭐 종합체육인으로 살아서 혈액순환은 진짜 잘 되었을텐데도 태어나서 26살까지는 추위 진짜 엄청 탔습니다.

지금 181/85 정도에 겨울에는 스트레스로 인한 폭식으로 거의 90가까이 나가는데, 추위를 잊고 삽니다.
대신 여름에 죽을 것 같아요.
21/08/30 14:08
수정 아이콘
살찌면 추위 덜 탑니다.

지방이 패딩역할 합니다.
랜슬롯
21/08/30 14:14
수정 아이콘
윗분들 말씀대로 운동 + 체중을 늘리면 확실히 추위 덜탑니다. 반대로 살찌면 더위를 더 타요.
21/08/30 14:31
수정 아이콘
평상시 추위를 타는 기온보다 평상시 더 추운 곳을 경험해보는건 어떤가요? 크크

따끈따끈한 욕조에 몸을 자주 담구면 평상시에 손 발도 덜 찬거같긴 합니다.
마카롱
21/08/30 15:43
수정 아이콘
살찌우는 거 추천 안 합니다. 추위 좀 타면 어떻습니까.
당근케익
21/08/30 16:28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경험상 운동하고 살 적당히 빼니까 추위 덜 타더군요
코기토
21/08/30 16:33
수정 아이콘
손발 찬것도 체질이나 혈류 흐름의 문제겠지만 살찌면 좀 완화되는것같아요.
제가 살 엄청 빼고 전에 안그러던 손발이 차져서 겨울에 방안에서도 손이 시려웠는데
다시 원래 이상으로 살을 복구하고나서는 손,발 시려운게 상당히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영소이
21/08/30 17:48
수정 아이콘
저는 운동하고 추위를 좀 덜 타게 되었습니다
T.F)Byung4
21/08/30 19:39
수정 아이콘
전, 수영을 하니까 추위를 덜 타게 되더군요.
시무룩
21/08/30 21:16
수정 아이콘
살찌는게 직빵입니다...
대신 여름이 죽습니다
원래도 살이 좀 있는 편이라 더위에 약했었는데 거기서 더 찌니까 예술이더라구요
반대로 겨울에 남들 패딩 꺼내기 시작하는 날씨에도 후드티 하나만 입고 다니고 그럽니다
네오크로우
21/08/30 21:44
수정 아이콘
댓글들 보니 예전에 김준현이 한 개그 생각나네요. 돼지라고 추위 안 탄다고 오해 말라고...
돼지도 냉동실에서는 언다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7856 [질문] 추위를 덜 타는, 추위에 강해지는 방법이 있나요? [15] monkeyD9445 21/08/30 9445
157855 [삭제예정] 수도권 분들, 대략 30대 초반에 얼마정도 쥐고있는게 평균인가요? [45] Aimyon19078 21/08/30 19078
157854 [질문] 로아 카드 관련 질문 드립니다.(매우 뉴비) [7] 초아21973 21/08/30 21973
157853 [질문] 전세 승계 주택 매매시 세입자에게 고지 의무? [8] Part.312264 21/08/30 12264
157852 [질문] 보험 실비 현장심사에 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2] 삭제됨10292 21/08/30 10292
157851 [질문] 며칠전부터 어지럼증이 있습니다 [6] slipzealot9345 21/08/30 9345
157850 [질문] 섬의 궤적 3,4부터 해도 상관 없나요? [11] 고스트8176 21/08/30 8176
157849 [질문] 경미한 차선변경 접촉사고를 당했는데 어떻게 처리할지 고민입니다. [5] 개미8922 21/08/30 8922
157848 [질문] 회사에서 모니터 보안필름 붙였을 때의 인식? [10] 삭제됨11949 21/08/30 11949
157847 [질문] 백내장 질문입니다 [4] 참새가어흥8977 21/08/30 8977
157846 [질문] 버스가 정차 안하고 그냥 가버리는거 신고해도 아무것도 없겠죠? [5] 레너블14093 21/08/30 14093
157845 [질문] 예전에 본 유머게시판류 만화의 게시글 제목이 궁금합니다 ㅠ 제갈승상문7630 21/08/30 7630
157844 [질문] 갑자기 방귀를 자주뀌면 건강이상인가요? [1] Beam89499 21/08/30 9499
157843 [질문] 야외용 치닝디핑 머신으로 쓸만한 제품 [1] 神鵰俠侶_楊過11579 21/08/30 11579
157842 [질문] 이 일본 노래의 제목을 알려주세요. [8] 지금이대로9628 21/08/30 9628
157840 [질문] 음원 편집 프로그램(여백 활용하기)사용 질문입니다. [3] 찬양자8755 21/08/29 8755
157839 [질문] 좋은 상담센터는 어떻게 찾나요? [1] 모찌피치모찌피치9881 21/08/29 9881
157838 [질문] 부동산 투자에 관련해서 개인적으로 궁금한건데요 [17] 고무고무냥냥펀치14889 21/08/29 14889
157837 [질문] 컴퓨터 견적좀 봐주세요! [1] 살다보니별일이10311 21/08/29 10311
157835 [질문] 제주 일주일 숙박/여행지 문의 [2] 기다리다똥된다10766 21/08/29 10766
157834 [질문] 모더나 접종후 가슴통증 있습니다. [1] 삭제됨9857 21/08/29 9857
157833 [질문] 투자 포트폴리오 펀드보수를 왜 가중평균으로 하는지 질문..; [7] 비타에듀11645 21/08/29 11645
157832 [질문] 아이패드와 다른 태블릿 관련 질문입니다. [19] GgNu9757 21/08/29 975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