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2/22 22:18:45
Name 더치커피
Subject [질문] 양주 보관 방법 질문입니다 (위스키, 꼬냑, 와인) (수정됨)
오늘 방 정리를 하다보니, 예전에 외국 갔을 때 샀었던 와인, 꼬냑, 위스키 등이 나오네요

꼬냑은 헤네시 V.S.O.P, 위스키는 로얄살루트 21년산이고 대략 2~4년 정도 된 것들입니다

너무 생각없이 대충 방치해놨던 거 같아서, 지금부터라도 제대로 보관해 놓으려 하는데요

와인은 보관 방법에 대해 여기저기 많이 나와 있어서 대충 아는데, 꼬냑과 위스키는 어떻게 보관하는 게 좋은지, 그리고 어느 정도 기한까지 보관 가능한지 댓글 부탁드립니다!

(+) 와인은 김치냉장고에 와인 보관 옵션이 있어서 거기에 넣어두려 하는데 그렇게 해도 상관없겠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훈련중
21/02/22 22:21
수정 아이콘
도수들이 높아서 직사광선 피하고 서늘한 곳에만 두시면 딱히 신경쓰실 필요는 없고 기간도 길어도 상관 없긴 한데 보이는 곳에 놔두시고 드실일 있을때 마시는 게 최고 인것 같습니다.
BibGourmand
21/02/22 22:29
수정 아이콘
(수정됨) 꼬냑/위스키는 막걸리처럼 상하기에는 도수가 너무 높고, 와인처럼 오래 놔둔다고 숙성이 진행되는 것도 아니어서, 까기 전까지는 보관 조건에 크게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렇다고 직사광선이 드는 뜨거운 곳에 보관해도 된다는 건 아닙니다 크크
먹기 시작하면 그때부터 향이 날아가기 시작하는데, 코르크 마개만으로는 충분치 않습니다. 빨리 먹는 것이 최선이나, 비싼 술을 막 마시는 걸 권장할 수야 없으니 차선책으로 (지갑과 목숨을 고려한 최선책으로?) 파라필름으로 입구 부분을 둘둘 말아 보관하시기를 권합니다.

와인은 글쎄요.. 얼마나 오래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엄청 좋은 것이 아니라면 빨리 까서 드시는 편이 나을겁니다. 시중에 팔리는 거의 대부분의 와인은 5년 이상의 숙성을 견딜 수 없습니다. 너무 오래 두면 맛이 훅 가버리거나, 최악의 경우 식초가 될 수도 있습니다.
날씨 더워지기 전에 드신다면 벽장 선반같은 곳에 눕혀놓는 것도 고려해 볼 법 합니다만 (코르크 마개라면 반드시 병을 눕혀 보관하셔야 합니다. 코르크가 말라서 갈라지거나 심지어 부스러질 수도 있습니다), 오래 두실 생각이라면 김치냉장고에 넣는 것이 차라리 나을 수 있습니다.
냉장고에 넣으셨다면 꺼내서 바로 드시지 마시고 방에 놔둬서 온도를 적당히 올린 뒤에 드시기 바랍니다. 온도가 바뀌면 와인 맛이 상당히 달라집니다.
Cazellnu
21/02/23 08:35
수정 아이콘
왠만한 와인은 오래 못버팁니다 만약깠다면 하루이틀사이에 다 드시는걸 권합니다.
더치커피
21/02/23 10:11
수정 아이콘
아직 안 깠습니다
와인 1개는 5년전 구입한 이니스킬린 아이스바인이고 나머지 하나는 작년 12월에 산 1865입니다
21/02/23 11:50
수정 아이콘
김치냉장고에 김치가 있는 상태에서 와인 넣으시면 안됩니다.
K-김치와인이 되버려요.
더치커피
21/02/23 12:26
수정 아이콘
예 당연히 김치는 다른 칸에 들어있습니다
김치냉장고의 맨 아래 칸을 와인 전용칸으로 설정해놓는 거에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3080 [질문] 양주 보관 방법 질문입니다 (위스키, 꼬냑, 와인) [6] 더치커피13808 21/02/22 13808
153079 [질문] 치킨 남은거 보관 어떻게하세요? [14] 레너블7487 21/02/22 7487
153078 [질문] 애니메이션 주제가 관련 영상 질문 [2] 훈련중6407 21/02/22 6407
153077 [질문] 여러분들이라면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2] 타키쿤7216 21/02/22 7216
153076 [질문] 알뜰폰을 세컨폰으로 쓰다가 잃어버렸는데.. 그걸 좀 전에 알았네요 ㅠ [1] LG의심장박용택4962 21/02/22 4962
153075 [질문] 소녀전선 이제 시작했는데 질문입니다. [7] 기술적트레이더6844 21/02/22 6844
153074 [질문] (워치) 어메이즈핏 GTR2 어떤가요 ? [1] 호아킨7277 21/02/22 7277
153073 [질문] 차량 구매시 가장 저렴하게 구매하는 방법이 어떤건가요?? [4] 장굴이6726 21/02/22 6726
153072 [질문] 전기 오토바이 어떤가요? [10] 다이어트6424 21/02/22 6424
153071 [질문] 전기 자전거 파스,스로틀 타보신분 계신가요? [2] dfjiaoefse6446 21/02/22 6446
153070 [질문] 손소독제 혹은 소독용 알코올과 상처 [4] 응~수고5640 21/02/22 5640
153069 [질문] 가성비 좋게 구독할만한 거 있나요 [2] 부질없는닉네임5760 21/02/22 5760
153068 [질문] 핸드폰 판매점 환불관련 질문입니다. [2] 스타즈7156 21/02/22 7156
153067 [질문] 지뢰찾기 잘하시는분~ [13] 마르키아르11529 21/02/22 11529
153066 [질문] 거주중 시스템에어컨 설치시 질문입니다. [2] 나이스후니6310 21/02/22 6310
153065 [질문] 넷플릭스 드라마 추천 부탁드려요 [16] 창천6711 21/02/22 6711
153064 [질문] 윗집에서 물이 샜는데, 저희집 도배는 어느 인테리어 업자한테 맡기는게 좋을까요? [2] LG의심장박용택5783 21/02/22 5783
153063 [질문] 파이썬 판다스관련 질문 [4] 외국어의 달인6795 21/02/22 6795
153062 [질문] 천호역 부근 7~8시간 시간 때워야 됩니다. [16] 쏘군8636 21/02/22 8636
153061 [질문] [과학]문송한 질문드립니다. [8] 흥선대원군10353 21/02/22 10353
153060 [질문] FPS 멀미가 엄청 심한 편인데 멀미약이 확실히 효과가 있나요? [5] 하얀마녀5810 21/02/22 5810
153059 [질문] 듀얼 모니터 암 설치 [2] FreeRider7153 21/02/22 7153
153058 [질문] 놋북 배터리 사용시 cpu 속도가 느려져요 [8] 탄야7557 21/02/22 755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