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2/03 16:56
(수정됨) 개인이 따라하기에는 어렵습니다.. 참고는 할수 있겠지요.
https://fund.nps.or.kr/jsppage/fund/mcs/mcs_04_01_01.jsp 국내주식은 이정도 보유하고있으니 참고는 할수 있겠죠. 개인과 연기금과 차이라면 개인은 만원단위로 투자하지만, 연기금은 조단위라는거.. 그리고 개인은 지금부터 주식을 사야하지만 연기금은 이미 수십년전부터 사모아놨다는거 정도의 차이지요. 개다가 연기금 전체 자본중에 주식의 비율도 크지않다는거..
21/02/03 17:12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1/27/2020112701693.html
수익율 자체가 그리 높은 건 아닙니다만 리스크 관리에서 개인과는 차별화 될거 같네요. 채권비율 유지하고 주식은 인덱스위주로 투자하면 비슷한 수익율은 거둘 수 있을거 같습니다.
21/02/03 17:21
좋은 면만 봐서 그럽니다,
회사 퇴직급여가 DC형이라면 주변에 사람들이랑 얘기해서 괜찮은 상품들 찾을 수 있습니다. 거기에 그냥 몰빵 하면 좋습니다.
21/02/03 22:59
그냥 자산배분하시면 됩니다! :) 국민연금보다 더 잘하실 수 있어요. 제가 비슷한 질문을 첫 자산배분 스타트때 한 적이 있어요. 한동안 국민연금 벤치마킹도 해봤고... 중요한건 자산배분이니까 공부 조금만 해보셔서 하세요.
21/02/04 09:34
연금은 직접 계정도 잇지만..
운용사들 배분해준 위탁도 있고 해서.. 직접 계정은 파는데, 연금 자본을 위탁운용하는 주체는 살 수도 있고.. 그냥 분산되서 돌아가는 조직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실, "국민연금"은 시스템으로 돌아가는 거지.. 어떤 특정한 의도와 지성을 갖고 움직인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