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1/10 20:14:21
Name CapitalismHO
Subject [질문] 해외에도 월세보증금에 대한 보호장치가 있나요?
투운사 공부중인데 대항력 관련으로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원래 임차권은 채권이라 대항력이 없어서 집주인이 바뀌거나 하면 보증금에 대해 청구를 못하는 것으로 압니다. 반면 전세의 경우 특별하게 물권인 전세권을 설정해서 대항력이 생기고, 이런 문제도 없습니다. 그런데 현재에는 임대차보호법으로 일반적인 월세계약도 보증금에 대해서 대항력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요는 물권 채권이런거 안따져도 입법으로 대항력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궁금증이 2개 생겼습니다.

1. 임대차보호법같은 해결법이 있는데 왜 굳이 전세권이라는 우리나라만 있는 특별한 물권을 만들었는가
2. 해외에도 임차계약에 대해 대항력을 만들어주는 보호장치가 있는가

이상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1/10 20:22
수정 아이콘
외국같은 경우는 전세제도 자체가 거의없고
월세같은경우도 보증금이 따로없지않나요?
월세 두배정도 보증금만 받더라구요.
CapitalismHO
21/01/10 20:34
수정 아이콘
그렇게 보증금이 적게 된 배경이, 임차계약에 대항력을 주는 보호장치가 없어서 그런것이 아닌지 뇌피셜로 생각중입니다. 크크
전투돼지
21/01/10 20:35
수정 아이콘
사실 그 반대입니다
우리나라 임대차 보증금이 점점 커지는데 등기로 보호가 안되고 사고가 많이 터져서, 등기라는걸 만들어 놨음에도 전입신고라는 이상한 보호장치를 추가로 만든거라고 알고 있습니다
CapitalismHO
21/01/10 20:54
수정 아이콘
어느게 먼저라고 선후를 정하지 않아도 서로 영향을 줄 수 밖에 없는 문제죠. 이를태면 새로운 종류의 금융상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해서 관련법안이 정비되었다고 할지라도, 그 법안의 결과 또 그 상품에 대한 투자가 증가할태니까요.
larrabee
21/01/10 23:36
수정 아이콘
전세권은 물권입니다 임차권은 채권이구요, 주택임대차보호법을 통해 물권에 준하는 수준으로 보호해주는겁니다
원래 전세권이 먼저생기고 물권적효력부여를 위해 등기 등의 절차를 규정했는데 아무래도 이런절차들이 번거롭다보니 임대차보증금을 실질적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생겼고 이를 위해 주택임대차보호법 등의 제도가 생긴겁니다 흔히아는 전입신고+확정일자+실거주 요건이죠
해외제도는 제가 잘 모르겠는데 제가알기로 한국처럼 보증금을 다액으로 받는 국가는 없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월세의 2~3배정도만 보증금으로 받다보니 보증금 보호필요성이 적어 별도로 규정이 없지않나 이렇게 생각만 해봅니다
CapitalismHO
21/01/11 10:11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보라노을
21/01/11 09:42
수정 아이콘
2. 미국/일본/독일 사례를 보면, 법적으로 대항력이 보장되구요.(임차인 주거권 우선입니다.) 보통 한정된 허용 사유들이 아니면 임차인 퇴거 어렵습니다. 임차보증금 사용도 금지되어 있구요. 그러다 보니 임차인 유치 시 신용도!!!를 많이 따집니다.
CapitalismHO
21/01/11 10:12
수정 아이콘
해외사례가 이미 있었으면 첨부터 주임법을 입법했으면 됐을탠데 굳이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전세권을 따로 만들었나 의문이 드네요 흐흐. 댓글 감사합니다.
보라노을
21/01/11 10:59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는 과거부터 전세제도가 대부분이었고, 주임법은 1981년에야 제정이 되었습니다.(서울 부동산 문제가 커지면서 전세임차인 보호 위해 주임법 필요성 대두) 우리나라는 해방 이후 일본 영향을 받아 민법상 등기를 한 전세권은 물권으로 인정하되, 등기하지 않은 전세에 대해서는 채권으로 보는 법체계가 정립되었었습니다. 그런데 주택공급이 부족한 상황에서 임대인이 꺼리는 전세등기는 (사실상) 법률상 권리로만 남게됬고, 채권으로서의 권리만 남게되었는데 이 채권으로서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주임법이 만들어진거 입니다.
(사족) 전세제도가 대부분이던데는 분명한 이유가 있습니다. 전세보증금이 임차인 신원을 보증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고, 입주 전 보증금을 받는게 월 임대료 받는 것보다 쉽거든요. 그리고 전세제도는 몇주~몇달 형태에서 최소 1년, 최소 2년 식으로 점점 보증기간이 늘어나 현재 형태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1983 [질문] PC용 마이크 질문입니다. 교자만두5061 21/01/12 5061
151982 [질문] 주식으로 대박났다 말하려면 몇퍼 정도 수익일까요? [29] 미국인7488 21/01/12 7488
151981 [질문] [주식]레버리지 예탁금 질문드립니다 dks10wp4864 21/01/12 4864
151980 [질문] 발바닥 통증 관련해서.. [6] 허니띠4570 21/01/12 4570
151979 [질문] 결혼 결심 어떻게 하셨어요? [13] 호아킨8560 21/01/12 8560
151978 [질문] 페이트 입문 질문입니다. [8] AkiraYuki5556 21/01/12 5556
151977 [질문] 아파트 분양 질문이있습니다 [1] 큐브큐브4755 21/01/12 4755
151976 [질문] 근력운동(?)용 고무밴드 추천부탁드립니다! [2] 행복을 찾아서5012 21/01/12 5012
151975 [질문] RTX-3080 이 사고 싶습니다!! [14] 회색사과6737 21/01/12 6737
151974 [질문] 피지알 유저 수는 얼마나 될까요? [11] 손금불산입6104 21/01/12 6104
151973 [질문] 아파트... 3층의 장점 질문입니다. [44] 상하이드래곤즈9631 21/01/12 9631
151972 [질문] 법/판례잘알 도움이 필요합니다. ㅠㅠ [4] 세인트5786 21/01/12 5786
151971 [질문] LCK 스트리밍 문의 [3] 지옥천사4953 21/01/12 4953
151970 [질문] 유튜브 동영상을 다운받는건 불법인가요? [8] Dresden6381 21/01/12 6381
151969 [삭제예정] [부동산] 갭투자 계약서쓰기 3시간 전인데 결정을 못하겠습니다 [9] 삭제됨5799 21/01/12 5799
151968 [질문] 외국인들에게 한국어는 어떻게 들릴까요? [9] 시한부잉여8525 21/01/12 8525
151967 [질문] 구멍이 하나인 벽걸이 TV 브라켓..? [3] 새벽바람5586 21/01/12 5586
151966 [질문] 핸드폰 갤s20플러스 이거 괜찮나요? [5] 리듬파워근성5179 21/01/12 5179
151965 [삭제예정] 등산화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3] 삭제됨5795 21/01/12 5795
151964 [질문] 한국사 능력시험 접수가 어렵나요? [12] 영혼의공원5596 21/01/12 5596
151963 [삭제예정] 친한 여자 동생 국가고시 시험 선물 추천 부탁드립니다. [9] 삭제됨7008 21/01/12 7008
151962 [질문] 완제품 PC 견적 질문합니다 (예산은 맥시멈 200) [5] 요한슨6058 21/01/12 6058
151961 [질문] 다나와 중고PC 구매해보려고 합니다 [6] 마사루.7189 21/01/12 718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