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12/23 15:32:15
Name 빵떡유나
Subject [질문] 아버지뻘의 윗사람에게 청탁 문자를 보내야 합니다.. (수정됨)
올 여름 1달정도 파견형식으로 갔던 회사가 있는데

현재 직장보다 좋다고 느꼈고 그 회사에서도 '연말에 구인을 할진 모르겠지만, 파견왔을때 일도 잘했고 다들 좋게 보고있으니 관심있으면 팀장님께 연락드려봐' 식의 뉘앙스로 그 회사의 윗사람들에게 언질도 들었습니다.

거기 팀장님도 같이 술자리 한두번하면서 '연락 한번 해라' 라는 얘기를 들었습니다.(사실상 팀장님이 구인 총책임자입니다)

사실 이게 그냥 듣기 좋으라고 하는 소리일수도 있지만, 이직준비중이여서 밑져야 본전이라 한번 팀장님에게 청탁문자를 드려볼려고 하는데요.

'안녕하세요. 올 여름에 ~~했었던 ~~입니다. 몸 건강히 잘 지내셨는지요? 다름이 아니라 이직을 준비중이여서 여러회사를
알아보고 있던차에 여름에 일했던 경험이 너무 좋게 남아있어 혹시 내년에 구인을 더 하시는지 연락 드려봅니다.
한번 찾아뵜어야 했는데 코로나때문에 문자로 드리는게 예의같아 이렇게 문자 드립니다. 코로나 주의하시고 행복한 연말 보내세요.'

이렇게 큰틀은 일단 짜봤습니다만...

어떻게 문자를 보내야할지 정말 어려워서 하루이틀째 그냥 썼다 지웠다만 반복중이라 여기에 도움을 요청해봅니다.

1. 안부 물어보면서 통화 가능한시간 알려달라고 한 후 통화하며 용건말하기

2. 통화안하고 카톡으로 안부 물어보면서 구인을 하는지 물어보기

3. 통화안하고 카톡으로 안부 물어보면서 한번 찾아뵈도 되냐고 물어보기

4. 안부만 물어보고 답장이 오면 그때 용건말하기

카톡으로 드려야될지 문자로 드려야될지부터도 고민이 되네요..

어떤 방식이 좋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12/23 15:38
수정 아이콘
"네 동료가 될까?"
는 진담이고

오랜만에 연락하는거라면 저라면 겉치레식 안부 연락 좀 하다가 몇일 후에 자연스럽게 구인관련 여쭤볼 것 같네요
안부연락 몇번하다 먼저 구인 제안온다면 땡큐겠고요
빵떡유나
20/12/23 15:44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 제가 그럴만한 말을 할수있는 위치였으면 좋겠네요
겉치레식 안부연락만 먼저 드리는것도 생각을 해봤는데 뭔가 너무 나이차이도 많이나고 할말도 없고 해서 얼마나 오고가겠냐 싶긴 합니다..크크
답변 감사합니다.
스웨이드
20/12/23 15:49
수정 아이콘
오랜만에 연락해서 뜬금없이 안부묻고 그러면 어짜피 눈치챌 확률 백퍼이니 그냥 4번으로 가시되 통화를하는게 나아보이긴 합니다
빵떡유나
20/12/23 16:00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20/12/23 15:52
수정 아이콘
그냥 연말인사겸 신년인사겸 연락하시면서 이야기해보는게 어떨까 싶어요.
코코볼
20/12/23 15:58
수정 아이콘
2222222 덤으로 문자나 톡으로 하지마시고, 전화로 하세요. 무조건!
빵떡유나
20/12/23 16:04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그럼 '안녕하세요 ~~했던 ~~입니다. 따뜻한 연말 잘 보내고 계신가요? 팀장님의 가르침 덕분에 더욱 더 보람찬 한해가 되었던거 같습니다! 혹시 통화되는 편하신 시간 여쭤봐도 될까요?' 이런식으로 가면 될까요?
코코볼
20/12/23 16:09
수정 아이콘
뭐 그렇게 화려한 어구 필요하겠습니까? 그냥 뭐 연말에 정리하다보니, 팀장님 생각나서 연락드렸다. 뭐 이러면서 자연스럽게 가심되죠.
이혜리
20/12/23 16:50
수정 아이콘
바로 전화.
자기소개 후 통화가능여부 확인.
가능하다하면 본론.
불가능할 경우 다시 연락드리겠다고 한 후 문자로 본론을 쏨.
엘케인
20/12/23 17:29
수정 아이콘
저도 바로 윗분과 같이 생각합니다.
바로 전화하고 말씀드리고, 말을 못하거나 전화를 못하는 상황이면 문자로 보내는 게 나을 것 같네요.
이쥴레이
20/12/23 18:16
수정 아이콘
저도 4번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5~6년동안 연락없던 이전 직장분께서 안부 연락이 와서 몇번 안부 전화하다가
저희쪽 신규 프로젝트 이야기가 나오고 거기 구인 이야기 나오니, 마침 자기도 회사 이직 할려고 하는데 혹시 자리가 있을까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제가 한번 알아보겠다고 하고, 연결 해줬습니다.

저도 딱 연락 받았을때 분명히 안부가 아니라 용건이 있을거라고는 생각했지만 자연스럽게 몇번 통화하다보니 별거부감등이 없이
연결하게 되더군요.
20/12/23 18:29
수정 아이콘
보내는 사람은 문자로 보내는 게 부담이 덜하고 편하겠지만,
받는 사람 입장에서는 통화가 아닌 문자로 받는 걸 예의 없다고 인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아버지뻘이라면요.
전화로 하세요.
20/12/23 18:49
수정 아이콘
저라면 문자로 "언제언제 뵈었던 누구누구인데 혹시 지금 (혹은 되시는 시간에) 연락드려도 괜찮으실런지요?" 정도로 물어보고
컨펌(?)나면 전화하는 식으로 자연스레 인사핑계대면서 쓱 접근하겠습니다
20/12/23 19:48
수정 아이콘
저도 그런데 나이가 많을수록 문자보다 전화 전화보다 대면을 선호합니다
현 세대는 사랑고백도 문자로 하던데...전 도통 이해를 못 하고 있거든요 ;;
저도 위에 이혜리님의 방법을 추천합니다
바로 전화.
빵떡유나
20/12/23 21:02
수정 아이콘
모든분들 답변 감사합니다. 문자를 퇴근시간 두시간쯤전에 드렸는데 답장이 없어서 퇴근후에 전화해서
얘기했습니다. 사실 전화하는것만으로도 이직목적인거 눈치는 채실거같아서 통화중에 본론은 말씀못드리고
그냥 연락줘서 고맙다. 좋은연말 보내라. 코로나 잠잠해지면 한번 만나자. 로 끝났습니다.
끊고보니 본론이라도 말할껄 후회되네요..
모나크모나크
20/12/28 11:00
수정 아이콘
이런 건 생각보다 캐주얼하게 이야기하셔도 됩니다. 사람은 생각보다 도움을 주는 것에 그리고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에 행복감을 느끼거든요. 한 번도 본적 없는 후배가 이것저것 조언 구한다고 찾아왔을때 후배가 기특해보이는 거랑 비슷합니다. 어 요것봐라~ 평소엔 연락 한 번 없다가~ 이런 상황은 웬만함 잘 안 발생하니까 다시 전화드려서 본론 말씀드려도 될거에요. 도움을 줄 수 없는 상황일수도있으니 마음의 상처 받으실 것도 없고요. 화이팅
빵떡유나
21/01/04 23:03
수정 아이콘
안타깝게도 깡이 없고 이 세계가 좁은 세계라 괜히 실례가 될까봐 다른곳으로 오늘 이직했습니다. 오랜만에 로그인해서 답변을 늦게다네요. 감사합니다.
모나크모나크
21/01/04 23:26
수정 아이콘
아이고 능력자시네요. 좋은데로 이직하셨기를 바랍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1474 [질문] 엑셀 왕초보 표기 질문 입니다 ㅠㅠ [2] 장가갈수있을까?5953 20/12/26 5953
151473 [질문] 전세 계약 중 집의 매매 계약이 이루어지는 상황인데요. [4] 도방7028 20/12/26 7028
151472 [질문] [정치]정경심 표창장 질문 [1] vvlekq5766 20/12/26 5766
151471 [질문] 애플 생태계라는것이 어떤건요? [18] 일체유심조8419 20/12/26 8419
151470 [질문] POE 자꾸 죽어서 질문입니다 [19] 공백8844 20/12/26 8844
151469 [질문] 갤럭시 워치. 회사출입증카드 복사기능 언제쯤..? [7] 공항아저씨11414 20/12/26 11414
151468 [질문] 포맷 후 키보드 오류 [1] Fysta5899 20/12/26 5899
151467 [질문] 젤다 야숨 고유의 게임적 요소는 무엇인가요? [28] 코기토10137 20/12/25 10137
151466 [질문] 컴 똥알못 150에 모니터 포함 컴견적 부탁드립니다 [6] Secundo7140 20/12/25 7140
151465 [질문] 지인이 폰지사기에 당할거 같은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13] 꿀멀티7621 20/12/25 7621
151464 [질문] 사회적참사특별조사위원회(가습기살균제 관련)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Tigris5786 20/12/25 5786
151463 [질문] 와인 처음 마셔봐요. 마시고 보관하는 방법 알려주세요. [20] 유니꽃6594 20/12/25 6594
151462 [질문] 범죄 스릴러 영화 추천 해주세요. [17] Tyler Durden6175 20/12/25 6175
151461 [질문] 유투브 뮤직 랜덤 재생으로 고정하는 법 없나요 [1] Venom9053 20/12/25 9053
151460 [질문] 부동산 질문입니다(임대차3법) [5] 흰둥5551 20/12/25 5551
151459 [질문] 노래 제목을 찾습니다. [4] 긴 하루의 끝에서6603 20/12/25 6603
151458 [질문] 비데쓰시는 분께 질문있습니다 [4] 빅뱅이론6916 20/12/25 6916
151457 [질문] 세대주 자격유지 궁금증 [4] 테크노마트남친6486 20/12/25 6486
151456 [질문] 킹오브 파이터 가장 인기가 많았고 완성도 높은 시리즈가 뭔가요? [20] 레너블10505 20/12/25 10505
151455 [질문] 4k 모니터 질문드립니다 [7] Ashen One7966 20/12/25 7966
151454 [질문] 2014년형 맥북에어 서멀구리스 도포 & 팬청소 도움될까요 [2] 바쿠5051 20/12/25 5051
151453 [질문] PC용 무선 이어폰 추천 부탁드립니다! 귀차니즘 막귀예요! [3] pqknni7756 20/12/25 7756
151451 [질문] PC에 블루투스 기능이 없습니다..(w10) [14] Lelouch7246 20/12/25 724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