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9/01 15:06:13
Name 공부맨
Subject [질문] 결혼시 시댁/친정에서 집을 해준다? (수정됨)
인터넷에 보면  부모도움 없이 결혼하는분보다

도움을 받으며 결혼하는분이 좀더 많은거 같은데

집값이 수억하고 증여세가  결코 적지않은데

수많은 결혼가정들은 그건 어떻게 해결하는 건가요?

다들 증여세 정직하게 내나요?

증여세가 너무 쎄니까...,  거액을 증여하면 너무 손해가 큰데

결혼한다고 집해주지 말고

증여세없는 범위내에서 증여하고 나머지는 노후자금으로  쓰던지,

더 도와주고싶으면
월세로 살게하고  월세비를 내준다던지

하는게 경제적으로 맞는게 아닌가 싶어서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9/01 15:10
수정 아이콘
실제 수억의 증여세가 나올정도의 집을 지원해 주는 케이스는 극소수입니다.
그리고 1억 내외 정도의 소액(?)증여를 잡을정도까지 세무행정력이 미치는거 같진 않네요.
20/09/01 15:22
수정 아이콘
그 정도 증여할꺼면 미리 계획 세워서 결혼전에 증여세 줄 부분도 준비해놔야죠...
20/09/01 15:22
수정 아이콘
일반적으로 3~4억원대 집을 사는데 1~2억 보태는것까지는 추적조사하지는 않는걸로 알고있습니다.
물론, 세무서에서 마음먹고 조사하면 다 털립니다.
This-Plus
20/09/01 15:24
수정 아이콘
집을 해줘도
명의는 부모님 명의로 일단 그냥 살아라~ 하는 경우도 있고
경우의 수가 너무 많네요.
neogeese
20/09/01 15:34
수정 아이콘
몇년 전에 제가 그 상황이라 질문 올린적 있었는데 그때 답변 받은 내용입니다.

https://cdn.pgr21.com/qna/119101#1040055

링크가 삭제되서 더 자세한 내용은 확인 안되는데 결론은 강남,서초 같은 지역에 20대가 증여 받는 그런 상황은 칼같이 잡지만
보통은 국민 정서(?)상 그냥 넘어가준다는 내용입니다. 그런데 요즘 같은 분위기면 투기지역으로 지정된 곳들은 사람이 모자라도 갈아 넣어서라고
잡지 않을까 싶네요.
20/09/01 15:37
수정 아이콘
자녀의 결혼 및 집 구매는 어느 정도 확정된 미래기 때문에 미리 준비하시는 분들도 적지 않습니다.
증여세 면제 구간이 기간 단위로 묶이는 점이 있을 이용하든지 해서요. 아니면 차용증을 쓰고 빌려주는 형태로 증여를 하는 경우도 있죠.

물론 1,2억 정도는 국세청에서 봐주는 걸로 압니다. 알지만 봐주는 걸로.. 그러니 그냥 봐주는거 믿고 하시는 분들도 계시구요.
레필리아
20/09/01 16:43
수정 아이콘
부동산에서는 통상 3억 미만의 소액 증여는 안잡는다고 하더라구요.
국세청 전산에 다 기록이 남는걸로 압니다만, 다 잡기에는 행정력이 부족한 것 같습니다.
20/09/01 18:13
수정 아이콘
자녀 결혼할 때 집에 보태는걸 가장 덜잡아서 기왕 한 번 증여하려면 결혼할 때 하라는 말을 들어봤습니다. 맞는지는 제가 해당사항이 없어서 못해봤네요.
20/09/01 19:59
수정 아이콘
증여세를 탈루하고, 그걸 추징할 정도 가격대의 주택이 많지 않기도 했고.. 그런 곳을 증여할 때는 이미 밑작업 다 해 놓은 상태죠
몇억이면 자녀들이 모은 돈 + 부모가 공제한도 내에서 넘겨주는 돈 + 공제한도는 넘겼지만 안 잡힐 만한 돈 + 대출 조금 으로 마련 가능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8178 [삭제예정] 최대집에 대해 의사들 여론은 어떤가요?? [9] 삭제됨6676 20/09/03 6676
148177 [질문] 시력,눈이 많이 나빠진거 같습니다, 관리법이나 안경써야하는지 [7] 노래하는몽상가5650 20/09/03 5650
148176 [질문] 의료 수가문제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02] 삭제됨6584 20/09/03 6584
148175 [질문] 사랑니 발치 전문 치과 추천 부탁드려요. [6] lefteye4761 20/09/03 4761
148174 [질문] 월급명세서 해석?좀 해주실분 계신가요(삭제예정 [5] 삭제됨5300 20/09/03 5300
148173 [질문] 금연 선배님들의 도움을 구합니다. [22] 사랑합니다5832 20/09/03 5832
148172 [질문] 헤드폰 USB 연결 질문 [1] 이혜리5326 20/09/03 5326
148171 [질문] 종합비타민 먹고 속에서 올라오는 냄새 어떻게 하나요? [21] SaiNT10041 20/09/03 10041
148170 [삭제예정] 워드프레스 초보자에게 부디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6] 유소필위7134 20/09/03 7134
148169 [질문] 55인치 삼성 or lg 티비 구매 질문입니다 [5] BlueSKY--5701 20/09/03 5701
148168 [질문] PC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9] 웬디5622 20/09/03 5622
148167 [질문] 중도 성향의 시사평론 라디오나 프로그램 추천 부탁합니다 [14] 프리템포5461 20/09/03 5461
148166 [질문] 나이키 vs 코카콜라 [9] 똥꼬쪼으기6867 20/09/03 6867
148165 [질문] 가을 느낌 나는 노래가 뭐가 있을까요? [28] 제로스엠퍼러s5604 20/09/03 5604
148164 [질문] 힙합, R&B 뮤지션 추천해주세요! [9] 부기영화4969 20/09/03 4969
148163 [질문] 전세대출 계획 문의드려요 (내용이 많습니다) [6] SlaSh.5371 20/09/03 5371
148162 [질문] 석회질 찌꺼기 제거 [13] Ragamuffin5376 20/09/03 5376
148161 [질문] 이사 경험 있으신 분들께 질문드립니다! [12] CastorPollux5113 20/09/03 5113
148160 [삭제예정] 형편이 어려운 친구를 조금 도와주려고 합니다(멘트?방법?) [15] 삭제됨5681 20/09/03 5681
148159 [질문] 대한통운 택배 간선상차에서 멈췄어요 [10] 위미5709 20/09/03 5709
148158 [질문] 셀카는 어떻게 찍어야하나요? [1] 갓럭시4504 20/09/03 4504
148157 [질문] 사무실 모니터로 32인치 가져가도 상관 없을까요?? [16] grrrill7864 20/09/03 7864
148156 [질문] 모바일 게임 좀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15] Totato Crisp5451 20/09/03 545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