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3/23 09:41:50
Name 콜라제로
Subject [질문] 스페인 독감은 어떻게 종결되었나요?
스페인독감이 엄청난 감염력과 비교적 낮은 치사율 등 지금의 코로나19와 유사점이 많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스페인독감의 추이가 궁금한데 발병 전파 사망 등등에 대한 이야기는 많은데 어떻게 해결되었는지는 명확하게 나와있는 이야기를 찾기 힘드네요.

시간이 지나면서 바이러스가 서서히 힘이 빠진건이 치료제 및 백신이 개발되서 해결된건지 이런 부분이 궁금하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개발괴발
20/03/23 09:48
수정 아이콘
(수정됨) 1918년에 1차 판데믹, 1919년에 2차 판데믹이 벌어지고 나서
갑자기, 정말 갑자기 사라졌습니다.

- 영문 위키피디아의 내용에 따르면 세컨드웨이브인 1919년 10월 필라델피아 시에서만 4천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했으나, 동년 11월에는 거의 발병하지 않았다고 하네요.

이런저런 논문에서 의료진의 발빠른 대처/바이러스의 급격한 진화 및 변형으로 치사율이 낮아졌다는 등의 추측이 있으나 여전히 정확한 원인은 알 수 없다고 합니다.
Lord Be Goja
20/03/23 09:53
수정 아이콘
그게(H1N1) 그땐 최신인풀루엔자라 사람들이 사람들이맞는 항체를 가지지 못하고 있던탓도 있고
높은 치사율이 변이를 거치며 자연적으로 내려가고,대부분의 사람들이 항체를 가지게 되며 진정된걸로 알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걸려버려서 새로 걸리사람이 없는느낌)
치사율은 구형독감이 지나갔던 동네에서 상대적으로 낮았던거고,이 독감이 처음이였던 동네에선 30%까지도 나왔더군요.
전체치사율은 2%..
raindraw
20/03/23 11:09
수정 아이콘
전세계 인구의 1/3 정도가 걸렸다는 이야기도 있으니 거의 모든 이에게 항체가 생긴 걸수도 있습니다.
20/03/23 11:18
수정 아이콘
최종 치사율이 2% 수준이었는데 사망자가 천만 단위였으니 실제 걸린 사람은 당시 인구 16억명의 절반 수준에 육박할거고, 이정도면 사실상 '모두가 걸렸고, 모두 항체가 생겨서 소멸'이 되었다고 유추하는 것이 타당할 것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3398 [질문] 아파트 리모델링 하신 회원님들 도움부탁드립니다! [10] 범미르6518 20/03/23 6518
143397 [질문] 입문용 자전거 추천 요청 드립니다! [15] 악포7474 20/03/23 7474
143396 [질문] 와.. 씨... 질문하고싶은게 있었는데 기억이 안나요... [6] Part.36525 20/03/23 6525
143395 [질문] 워드 파일 손상되었다며 '제한된 보기'나오는 문제 해결...살려주십쇼 [2] 삭제됨3346 20/03/23 3346
143394 [질문] 파엠 풍화설월 계속 해야할까요? [21] 콘초6060 20/03/23 6060
143393 [질문] 마오카이 같은 궁셔틀하면서 버스 탈 챔피언 하나만 추천 해주세요 ㅠㅠ [12] bifrost5482 20/03/23 5482
143392 [질문] 어머님 회갑이라 가족식사를 하려는데 수원, 안양쪽으로 괜찮은 식당있을까요? [5] 마스쿼레이드3838 20/03/23 3838
143391 [질문] 욕실 리모델링 공사 하는데 엘리베이터 사용료 내라고 하네요. [5] 파란샤프8182 20/03/23 8182
143390 [질문] N번방 사태는 PGR21에서는 얘기가 안되었나요? [41] 껀후이6540 20/03/23 6540
143389 [질문] 오아시스 돈룩백 가사 질문 Jeanette Voerman4663 20/03/23 4663
143387 [질문] 넷플릭스 킹덤 시즌2 질문입니다(스포) [21] 키류4524 20/03/23 4524
143386 [질문] 안드로이드 폰이나 태블릿에 FTP 탐색기는 뭘 쓰시나요? [4] 목캔디3541 20/03/23 3541
143385 [질문] 취미로 기계공학을 배울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5] AKbizs4871 20/03/23 4871
143384 [질문] 안드로이드 폰 + 아이패드 조합으로 쓰고 계신분 어떠신가요? [9] -PgR-매니아10314 20/03/23 10314
143383 [질문] 헬스장 환불 되나요 ? [7] 호아킨4746 20/03/23 4746
143382 [질문] pc용 1인칭 스나이퍼 게임을 찾습니다. [9] 오지키5399 20/03/23 5399
143381 [질문] [주식]미국주식을 살 때 환율문제 [7] 사나없이사나마나4271 20/03/23 4271
143380 [질문] 스페인 독감은 어떻게 종결되었나요? [4] 콜라제로6576 20/03/23 6576
143379 [질문] 사자와 호랑이도 사료만으로 키울수 있을까요? [6] 김첼시5255 20/03/23 5255
143378 [질문] 주식하는데, 모니터 어떤 조합이 좋을까요? [2] 블루레인코트5228 20/03/23 5228
143377 [질문] 이스 오리진 이미지 찾습니다 제드2901 20/03/23 2901
143376 [질문]  새 컴퓨터에 맞출 모니터는 뭐가 좋을까요? [6] Contax_Aria4510 20/03/23 4510
143375 [질문] 원래 인턴한테 일 잘 안주려 하나요? [22] Skyline9349 20/03/23 934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