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10/22 22:56
세종대왕이 조금만 알고 보면.. 그렇게 악독한 .. CEO 였였던.. 지금 공무원들 이렇게 갈아 넣으면 진짜...
경험적으로나 전통적으로 내려오던건 체계화 문서화 시키고 그동안 독자적인 방식이 없었던건 우리 방식으로 다시 새롭게 만들어 내고 따뜻하고 편안한곳에 살고 싶은데 춥고 척박한 땅으로 내몰아서 개척하게 만들고 의지가 강하고 부지런하며 영리한데 간섭 하고 가르치기 좋아하는 보스라니.. 내 상사라면 정말 끔찍하네요.
25/10/23 14:56
(수정됨) 상사가 잘 모르시고 고집도 없으시면 제가 상사 대신 알아서 하고 결과만 잘 만들어내면 오케이라서... 대신 제가 갈리는데 그래도 자율적인 게 크면 상쇄가 됨... 님들 말대로 똑똑하고 게으른 고단수이실 수도 있겠네요 흑
25/10/23 09:07
세종은 똑똑해서, 본인이 모든 걸 다 할 수 없으니 위임해야 한다는 것까지도 알았죠.
자신을 대신할 사람을 찾아내서 그 사람이 할 수 있게 만드는, 정말 뛰어난 왕의 자질이죠. 그런데 한글은 도무지 자신을 대신할 사람을 찾을 수가 없어서, 왕을 아들 보고 대신하라하고 자신이 직접 만들었고요. 왕의 자질만 뛰어났던 게 아니라는 것까지 증명하신 위대한 인물.
25/10/23 12:56
근데 사성 칠음에 자모가 몇이나 있냐는건 정확히 무슨 뜻이죠? 자모는 결국 문자로 정하는건데 사성 칠음이 뭔지를 모르겠네요 훈민정음에 있는걸 말한다면 당연히 논쟁이 안될거고..
25/10/23 16:39
(수정됨) 4성7음은 중국어 체계에 있는거일겁니다
4성은 흔히 성조라 부르는거고...7음은 당시 성모라 부른 현대에선 자음에 해당한다던가 할겁니다 즉 나 중국어 좀 공부하면서 새로운 문자체계 만들었는데 니들은 뭐 아냐라고 갈군거죠
+ 25/10/24 08:14
(수정됨) 세종대왕이 최만리 등의 훈민정음 창제 반대 상소에 대해 반박하며 했던 말씀 중 "사성 칠음에 자모가 몇이나 있느냐?"는 질문은, 당시 중국 음운학(운서)에 대한 신하들의 지식이 얼마나 얕은지를 지적하며 자신의 음운학적 권위와 훈민정음 창제의 정당성을 드러낸 것입니다.
쉽게 말해 "너희가 사성(四聲)과 칠음(七音) 같은 기본적인 음운학 이론도 제대로 모르면서, 이 언문(훈민정음)이 옳지 않다고 논할 수 있느냐?"는 뜻입니다. 핵심 의미 해설 1. 사성(四聲)과 칠음(七音) 사성(四聲): 한자 음의 성조(聲調) 네 가지를 말하며, 평성(平聲), 상성(上聲), 거성(去聲), 입성(入聲)을 이릅니다. 칠음(七音): 중국 음운학에서 소리 나는 조음 위치에 따라 자음을 분류한 일곱 가지를 말합니다. 훈민정음의 아음(牙音), 설음(舌音), 순음(脣音), 치음(齒音), 후음(喉音) 다섯 가지에 반설음(半舌音), 반치음(半齒音) 두 가지를 더한 것입니다. 운서(韻書): 한자의 발음을 사성 및 운모 등으로 분류하여 정리한 책입니다. 2. 자모(字母) 자모(字母): 중국 음운학에서 **성모(聲母, 초성)**를 일컫는 말입니다. 이 성모는 음절을 이루는 자음 부분이며, 중국 운서에서는 약 36가지 정도의 자모(三十六字母)를 사용했습니다. 3. 질문의 의도 세종대왕은 신하들에게 "너희가 운서에 대해 아느냐? 사성과 칠음이라는 음운학의 기본 체계에서 **성모(자모)**가 몇 개나 있는지 아느냐?"고 물은 것입니다. 이는 훈민정음이 단순히 새로운 글자가 아니라, 중국 음운학의 심오한 원리에 통달한 바탕 위에서 우리말의 소리를 정확하게 표기하기 위해 과학적으로 창제되었음을 강조하려는 의도였습니다. 즉, 세종대왕 자신이 당대 최고의 음운학 전문가임을 보여주면서 훈민정음 창제에 대한 학문적 정당성을 확보하려 한 것입니다. AI가 해준 답변인데 봐도 모르겠어요 크크크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