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9/11 12:40
초전도체는 에너지 효율이 엄청나게 좋아지는 게 주요 효과라면 핵융합은 거의 에너지 무한 치트키급 아닌가요 물론 초전도체에 다른 부가효과들도 꽤 있겠지만
25/09/11 12:41
전자를 달성하는 순간 핵융합로에 쓰이는 자석을 만든 난이도가 대폭 낮아지기 때문에 높은 확률로 후자도 가능해집니다. 플라즈마 안정 제어, 재료 내구성, 에너지 증식률 같은 다른 문제도 남아있기는 한데, 자석 문제만 해결해도 핵융합의 경제성과 기술적 접근성을 몇 단계 끌어올려 상용화에 결정적 기여를 할 수 있을 거에요.
+ 25/09/11 15:59
본문에서 우리에게 가장 이로운 발명품을 고르라고 했지, 그 기반시설을 깔 때 비용이 적다는 뜻은 아니라서... 전선에까지 상온초전도 현상을 적용시키는 비용이 어떨지 모릅니다.
+ 25/09/11 15:16
에너지가 무한대라는건 현재 고민하고있는 거의 대부분의 문제에 답이됩니다.
예를들자면 화석연료나, 화력, 원자력발전이 필요 없으니 탄소증가로 인한 이상기후도 해결되고 무한의 에너지 원이 생기게되면 전기료는 무료또는 그에 준하는 상태가 될테죠. 노동은 모두 로봇으로 대체하면 되니 장기적으로는 전세계적인 기본소득제가 확립될것이고 지구에 필요치 않은 온갖 폐기물들은 우주로 날려보내면 됩니다.
25/09/11 13:09
잘은 모르지만 후자가 실용적일 것 같긴 한데,
에너지 생산과 소비가 가속화 될것이고, 생성된 에너지를 회수할 수 없다면 지구온난화가 빨라지겠는데요
25/09/11 13:13
전자는 쉽게 이야기해서
거의 무한동력으로 노트북 쓸 수 있을겁니다, 후자는 백투더 퓨처 2의 미래세계에서 나왔던 나르는 자동차의 연료 보충하는 거하고 비슷하게 될텐데 아마 지구 파멸이 더 가속화 되걸 같은 느낌이 듭니다.
25/09/11 13:17
전자라 봅니다.
에너지 문제보다 양자컴퓨터 활용에 있어서 치트키이기 때문에, 인류 문명이 달라질 겁니다. 핵융합에너지는 아직 그 만큼의 에너지가 필요하지도 않기도하고, 전자가 달성되면 필요 에너지도 적어지기 때문에 더더욱 효용이 떨어집니다.
25/09/11 13:21
전자 아닐까요?
핵융합은 비용 무관하다면 그냥 발전소만 때려지으면 지금도 대체할 수 있지만, 초전도체는 돈을 때려넣어도 못하니까요. 초전도체가 단순히 에너지 소모를 줄이는 것으로 끝나지 않고 그에 수반하는 폐열 문제 같은 것도 해결해 주니까 이게 더 파급효과가 클 거 같습니다.
25/09/11 13:25
(수정됨) 1번이 대단하다고 호들갑떠는 이유 중에 하나가 2번의 상용화가 훨씬 쉽게 가능해지기 때문이기도 하죠 크크 단순히 전기 전송 손실만 적어지는 차원이 아니라서...
25/09/11 13:33
1번이라도 희토류 범벅에 그래핀급 제조공정을 필요로 하면 실험실의 혁명인 거고 (물론 그것도 대단하겠죠) 구리합금 정도의 난이도로 전선망을 깔아버릴 수 있는 소재라면 농경 산업 정보혁명 다음 네이밍이 정해지는 거고
상온상압 핵융합도 어차피 일어나지 않겠지만 증명이 되더라도 다량의 팔라듐 촉매를 소모하며 삼중수소를 써서 겨우겨우 일어나는 반응이다 이런 식일 가능성도 높으니..
25/09/11 13:35
챗지피티피셜
1. 상온상압 초전도체 전기 손실 없는 송전: 발전소에서 집까지 오는 전기 손실이 거의 0 → 전기요금 대폭 절감. 초고성능 전자기기: 발열이 없으니 노트북, 스마트폰이 뜨겁지 않고 배터리도 오래감. 초강력 자석: 자기부상열차, MRI, 핵융합 장치 같은 곳에 값싸고 간단히 적용 가능. 양자컴퓨터: 현재는 극저온에서만 유지 가능한데, 상온에서 가능해져서 보급화가 빨라짐. 2. 상온상압 핵융합 사실상 무한한 청정에너지: 석유, 가스, 석탄 필요 없음. 원전보다 안전: 핵분열처럼 방사능 폐기물이 거의 없음. 소형 발전기 가능: 영화 ‘아이언맨’의 아크리액터처럼 집, 자동차, 공장 하나하나가 자체 발전 가능. 우주 탐사 혁신: 소형 핵융합 엔진으로 행성 간 여행도 현실화.
+ 25/09/11 16:40
"현재 시점" 에서는 압도적 후자 라고 봅니다.
상온상압 초전도체는 현재 과학자들이 연구중인 단계이고, 상온상압 핵융합은 사실상 유사과학이죠. 어쨌든 현재 시점에서 전자는 연구중 / 후자는 불가능 으로 합의가 된 거니까요. 기왕이면 불가능한걸 선택하는게 좋겠죠. 물론 초전도체도 상온 / 상압 둘 중 하나를 선택하여 연구하고 있긴해서 그걸 따지면 또 할말이 없긴합니다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