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8/21 21:13
가까운 미래에, 모종의 이유로 지구 인종이 멸종하고 AI 데이터센와 인공위성만 지구 궤도를 떠돈다.
얼마나 지났는지도 모를 만큼의 시간이 흐른 어느 날 외계인이 지구를 방문해서 남겨진 데이터 센터를 열어 인간 복원을 하기 시작하는데..
25/08/21 21:19
우주공간에서도 태양빛을 받는 부분은 상당히 뜨거워 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생각하듯이 냉각이 아예 필요 없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열방출을 오직 복사에만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내부에 열을 순환시키기 위한 히트 파이프와 복사열을 빼내기 위한 큰 방열판이 필요할 겁니다. 우주공간에 데이터 센터를 올렸을 때의 더 중요한 이점은 물론 태양광 전력 때문이겠죠.
25/08/21 21:25
문제는 우주라고 해도 24시간 태양빛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이 문제죠. 지구 궤도를 도는 이상 지구 그림자에 가리는 시간이 있어서...
지구에서 멀어질수록 그림자에 가리는 시간이 줄겠지만 그만큼 통신 지연이 커질거고요. 일단 24시간 서비스해야하는 것이 아닌 AI 학습 같은 건 태양빛을 못받는 시간대에 잠시 suspend 시키면 될 거 같기도 합니다.
25/08/22 01:05
예를 들어 하지에는 태양빛이 지구 적도보다 남쪽 23.5도 각도에서 비치기 때문에 위성이 북극지역을 지날 때 지구에 가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동지에는 그 반대. 애초에 태양의 절기가 바뀌면서 낮/밤의 경계선의 기울어짐이 바뀌기 때문에 위성이 그 궤도를 정확히 돌 수가 없습니다. 매일 끊임없이 궤도조정을 해주는게 아닌 다음에야.
25/08/22 02:55
당연히 궤도조정을 합니다.
저궤도위성은 기본적으로 공기저항을 먹고 있기 때문에 궤도조정을 안한다는 건 말이 안되구요. 일주일에 한번 정도 궤도조정 만으로 250~300m 튜브 내에 위성 궤도를 맞출 수 있습니다. 요즘 SAR 위성은 InSAR Product 제공이 필수라서 저정도는 기본으로 들어가죠.
25/08/22 06:39
(수정됨) 제가 아는 바로는, 보통 저궤도 위성의 궤도조정은 공력저항에 의한 고도손실을 보전하려고 하는 겁니다. 일년을 주기로 각도가 조금씩 바뀌는 태양빛에 대해 궤도면을 계속 수직으로 유지하려면, 궤도면을 일년 주기로 +-23.5도 범위로 바꾸는 기동을 해야 하는데, 그러면 추진제를 엄청나게 많이 써야 합니다. (매년 초속 수 킬로미터의 DelV 를 만들어야 함) 게다가 그렇게 궤도면을 바꾸면 태양동기궤도를 유지하기 위한 궤도경사각 조건을 맞출 수가 없을 겁니다. (그래도 혹시 요새 나오는 최신 위성들은 또 어떤지 모르니 나중에 검색 한번 해봐야 겠군요.)
25/08/22 06:59
저도 옛날에 거기에 대해서 확인한 적 있는데, 담당자 말로는 드리프트는 오래 놔두면 놔둘수록 빨리 되돌리는데 추진체를 많이 써야 되고 시간이 얼마 안되면 추진체를 적게 사용해도 되기 때문에 추진체 사용량에서는 어차피 그게 그거라고 들었습니다.
추진체 사용량이 그게 그거라면 드리프트 궤도조정을 자주 해주는게 좋겠죠.
25/08/22 07:51
(수정됨) 고도가 떨어질수록 비행속도와 공기밀도가 커져 공력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고도손실은 자주 보상을 해주는 편이 추진제 사용량이 적을 것 같은데, 그것도 고도손실이 심한 초저고도 위성이나 그렇지, 대개는 고도유지 궤도 조정을 어쩌다 가끔 해 주는 정도이고, 궤도면 조정 기동은 그보다도 더 빈도가 적습니다. 궤도면을 매번 바꿔 주는 기동을 한다는 위성은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을 뿐 아니라, 그렇게 했을때 얻는 실익에 비해 추진제 소모량이 엄청나게 많이 듭니다. 태양빛을 못받는다 해봐야 일년 중 고작 며칠에 불과하고 그것도 궤도당 수분 이내로 끝나고 마니까요. 혹시 님의 말씀대로, 매번 궤도 조정을 해서 궤도면을 태양빛에 항상 수직으로 유지하는 위성이 있으면 관련 링크라도 남겨 주시면 참고하겠습니디. (전기추진을 사용하는 위성은 연료소비량이 적을테니까 가능성이 있을수도 있겠네요.)
25/08/22 09:40
엔딤 님// 혹시 제가 잘못 알고 있나 한번 여러 사람한테 확인해 봤는데요.
복수 인원의 답변에 따르면, dawn-dusk 태양동기궤도가 정확히 맞으면 일식 빼고는 태양빛을 받지 못할 경우는 없다고 합니다. 다만 겨울철과 같은 경우 정확히 태양전지판 면에 90도로 태양빛이 도달하는 게 아니라 23.5도 정도의 기울기로는 들어올 수 있다고 하네요. 그렇다고 해도 태양빛을 못받는 경우는 없답니다. 그리고 K5 위성의 경우 지상궤적 유지를 위해서 궤도조정을 일주일에 한번 하는거 맞습니다. 다만 드리프트 번은 아니고 고도조정 목적의 번을 하긴 하는데, 실제 효과 중 드리프트 효과도 나온다고 합니다. 일주일 간격으로 한다 그래도 Fine DelV이기 때문에 연료 측면에서는 큰 문제는 없다고 하네요.
25/08/21 21:34
찾아봣습니다.
스타링크같이 leo (저궤도)에 매시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솔라패널들이 이 그리드에 파워를 제공핮니다. 무선파워가 지구상에서는 힘들어도 우주상에서는 효율이 좋고 위성간 레이저 통신은 실용화된 기술이니까요. 스타링크에서도 한다 그럴지 모르겠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