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JUNG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4/28 14:13:42
Name EnergyFlow
File #1 0428141033279927.jpg (923.5 KB), Download : 235
File #2 MergedImages.png (929.0 KB), Download : 236
출처 인터넷
Subject [게임] 최근 흥행중인 '옵스퀴르 33 원정대'에 대한 논란(?) (수정됨)





과연 이 게임은 '소울류'처럼 하나의 새로운 장르를 개척한 것인가

아니면 기존의 공식을 따른 JRPG 장르로 분류해야 하는가에 대한 논란이 있다고.....


마속 나무위키 문서 2.3. 가정의 패전 인용

"그런데 여기서 마속은 제갈량의 명령을 무시하고 길목에 세워야 할 방어진지를 산 꼭대기에 세우는, 전쟁사상 다시 없을 바보짓을 한다.
부장 왕평이 필사적으로 말렸지만 이마저도 무시해버린다."
포켓몬자판기
25/04/28 14:20
수정 아이콘
마리오 rpg…
OcularImplants
25/04/28 14:21
수정 아이콘
너무 전형적인 jrpg인데 보통 개발사들이 염려스러워서 빼버린 qte의 보상을 극한으로 준 캐이스에 가깝죠 실제로 jrpg하듯하면 좀 피곤해요

사실 이 게임은 프로덕션 밸류가 넘 압도적이라. 프랑스라 인력도 비쌀텐데 어떻게 이렇게 뽑아냈는지 신기합니다
바보왕
25/04/28 14:39
수정 아이콘
이게 맞다고 봅니다. 딴 게임은 무서워서 살살 넣은 걸 이 게임은 노빠꾸로 질렀는데 옛날 게임에 대한 기억이 사라진 시대라 크게 먹힌 거죠.
아지매
25/04/28 14:43
수정 아이콘
개발팀이 34명이라던데요.
25/04/28 17:07
수정 아이콘
이미 마리오 RPG의 계보를 이은 마리오 스토리(페이퍼 마리오)의 QTE 보상이 극한에 가까운건 비슷해서

33원정대의 차별점은 사실상 없죠
한뫼소
25/04/28 14:34
수정 아이콘
기본 뼈대부터 테이스트 모두 JRPG가 맞다고 봅니다. 기성 작품들의 전투에 대한 작법을 역전시켜서 진짜 재미나게 잘 만들었어요. 
25/04/28 14:35
수정 아이콘
JRPG가 맞죠
바보왕
25/04/28 14:37
수정 아이콘
그냥 파판8 조작감인데 초장부터 후반 난이도를 후려친 거.
그래도 파판8보다는 더 잘 만든 뭔가.
잘 만들긴 했는데 새롭냐 하면 새롭진 않습니다.
25/04/28 14:41
수정 아이콘
그냥 예전에 어떤 게임에서 있었고 그런걸 떠나서 33원정대에서 보여주는 고유의 요소라는것 자체가 그렇게 크게 느껴지지는 않아요.
비율 잘 맞춰서 잘 섞어서 물건 하나 만들었다는 느낌이지.
엄청 재밌게 하고 있지만, 이런 곁가지의 생소한 요소들을 가지고 신장르니 하려면 매년마다 새로운 장르만 몇개씩 개척되야 할겁니다.
Lightninbolt
25/04/28 14:44
수정 아이콘
jrpg에 qte 타이밍 빡세게 넣은거죠
벌점받는사람바보
25/04/28 14:47
수정 아이콘
한동안 jrpg 가 주류에 속하지 않다보니까 이런의견들이 나오네요 크크크
데스크탑
25/04/28 14:49
수정 아이콘
이거도 일종의 서양인들 오만함인가;
복타르
25/04/28 14:52
수정 아이콘
jrpg 보다는 소울라이크, 뱀서라이크 처럼 jrpglike 인 것 같아요.
미숙한 S씨
25/04/28 17:56
수정 아이콘
소울이나 뱀서, 로그는 게임 이름인데 jrpg는 게임 장르명인지라 jrpg 라이크라는 말은 안어울리죠.
특별수사대
25/04/28 14:52
수정 아이콘
때깔만 봐도 JRPG 느낌이 바로 오던데 크크크

바하4 이후로 qte가 한창 붐이었다가 겁나 욕먹으니 10년대에 싹 사라져갔는데 이젠 qte가 신선한 느낌이 되긴 했나보네요
25/04/28 15:56
수정 아이콘
리듬게임이냐고 qte 욕먹던게 기억나는데 진짜 돌고 도네요.
25/04/28 14:52
수정 아이콘
파판8도 스퀄은 QTE추뎀 있었죠
롤격발매기원
25/04/28 15:12
수정 아이콘
이미 QTE로 뎀지 줄이는건 마리오 RPG 가 있는데..
닉언급금지
25/04/28 15:12
수정 아이콘
AAA게임이라고 하는 것들, 개쩌는 그래픽 때문에 발적화와 10만원을 넘나드는 가격...이라고 세뇌되어 왔다고...

곧죽어도 클레어 옵스퀴르:33원정대는 AA게임이라더군요.
Blooming
25/04/28 16:01
수정 아이콘
곧죽어도 AA게임이라더라는게 무슨 말씀이신지 궁금하군요. 이 게임은 분류상 AA가 맞는데요.
이부키
25/04/28 16:23
수정 아이콘
그러고보니 기준이 있나요? 돈 많이 부은게 aaa게임인데, 그럼 a2개는 어떤 기준인건지...
Blooming
25/04/28 16:33
수정 아이콘
상업 게임의 제작비 기준 분류죠. 딱 잘라 제작비 얼마라고 정의된게 아니라서 애매하게 걸쳐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지만 게임 제작비는 거의 인건비라 제작진 규모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인디에 가까운 규모는 A(10명 안쪽), 중간급은 AA(100명 안쪽), 대예산은 AAA(그 이상)로 나누면 대략 맞습니다. 이 게임은 개발팀이 3x명으로 알려져 있으니 AA구요.
이부키
25/04/28 17:06
수정 아이콘
아하 그런 식이군요. 그 구분대로면 A에 가까운 AA게임이네요. 감사합니다.
에이펙스
25/04/28 15:32
수정 아이콘
파판이 이런 느낌 아니었나요? 예전 파판 말고 15인가 거기가 딱 그랬던것 같은데
25/04/28 16:00
수정 아이콘
저는 본문 짤 중에서는 [틴토콘카세라]라는 분의 말씀이 가장 신뢰가 갑니다. 근거는.. 어..
우스타
25/04/28 21:25
수정 아이콘
저도 왠지 모르게 그렇긴 한데 어...
25/04/28 16:18
수정 아이콘
에이잉 마리알도 안해본것들이 게임장르를 논하고있네 쯧쯧

33원정대 어제부터 해보는중인데 확실히 때깔이 좋더라구요 현대 3d게임에서 qte를 넣으면 겜이 짜치는데 이 겜은 그렇지않은게 신기
샤르미에티미
25/04/28 16:29
수정 아이콘
저도 신장르는 아닌 것 같고 최적화를 잘 시킨 거라고 봅니다. QTE를 부정적으로 생각하게 만든 건 그 게임이 최소한 그 부분은 못 만든 거고, 턴제 RPG에 있었던 수많은 시도 중에 하나이지만 이렇게 잘 녹였던 작품은 없던 거죠. 장르 같은 경우는 턴제 배틀 게임은 JRPG/턴제전략시뮬/Dnd기반 이렇게 세 가지로 보통 나뉘어집니다. 그랬을 때 문명/삼국지/엑스컴과는 거리가 멀고 발더스게이트 같은 던앤드 기반도 아니고 하면 JRPG쪽이 맞기는 하죠. 다만 JRPG라는 정의도 애매한 부분이 있어서 논쟁되기는 딱 좋은 것 같네요.
과수원
25/04/28 16:32
수정 아이콘
이건 ~~라이크도 아니고
그냥 현대식 JRPG 그 자체 같은데요.
반반치킨
25/04/28 16:54
수정 아이콘
누가봐도 그냥 jrpg인데
스토리나 풀어나가는 영상 음악이 너무 미쳤습니다.
안군시대
25/04/28 17:57
수정 아이콘
프랑스 쉐프가 만들어낸 스시는 과연 일식인가 프랑스 요리인가..
마작에진심인남자
25/04/28 19:59
수정 아이콘
새로운 형식이죠. 기존에는 누구도 이런 방식은 선택하지 않았음
이민들레
25/04/28 20:48
수정 아이콘
에.... 어떤 방식을 말하는걸까요..? 본문글이랑 댓글들만 읽어봐도 대부분의 시스템들은 여기저기서 이미 사용되었던건데..
Chrollo Lucilfer
25/04/28 21:00
수정 아이콘
하 왜 이렇게 해봐야하는 게임이 계속 쌓이기만 하는걸까
25/04/28 21:27
수정 아이콘
JRPG에 소울류 시스템을 잘 섞은 것 같은데 다른 것 보다 분위기와 스토리가 너무 마음에 들더군요
허구한날 마모루나 찾고 초등학생용 용자물 스토리나 찍어내는 일본 제작사들이 좀 배웠으면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514810 [유머] 충주맨 충주시 채널이 불러일으킨 스노우볼 [17] 김삼관8083 25/04/28 8083
514809 [게임] 최근 흥행중인 '옵스퀴르 33 원정대'에 대한 논란(?) [35] EnergyFlow4654 25/04/28 4654
514808 [서브컬쳐] 솔직히 연중 다음으로 최악인 행위.jpg [42] 캬라8385 25/04/28 8385
514807 [서브컬쳐] 이세계아이돌 4집이 늦게 나온 이유 [13] 나미르3463 25/04/28 3463
514806 [기타] 이영도 작가 장편 신작 출간 예고 [52] Cand6590 25/04/28 6590
514805 [기타] 제프 베조스가 밀어준다는 스타트업의 전기트럭 [33] a-ha6161 25/04/28 6161
514804 [유머] 유심보호 서비스 페이지 상태가..? [40] 나른한오후6989 25/04/28 6989
514803 [기타] [속보] "SKT폰 갑자기 해지되고 알뜰폰 개통… 5000만원 빠져나가" [30] 이호철7957 25/04/28 7957
514802 [방송] 성우 서유리의 근황 [39] 퍼블레인9185 25/04/28 9185
514801 [유머] 승차감 좋은 차 [4] 유머5014 25/04/28 5014
514799 [유머] 오사카 엑스포 진짜 망했는지 보러 간 유튜버 [38] 김삼관10205 25/04/28 10205
514798 [LOL] 오늘 유럽에서 나온 반가운 얼굴 [5] 이호철4481 25/04/28 4481
514797 [유머] 이번 SKT 해킹 사태가 심각한 이유 [57] 나미르10327 25/04/28 10327
514796 [서브컬쳐] (약후) 어제자 공개된 중국산 피규어 [31] 묻고 더블로 가!7917 25/04/28 7917
514795 [유머] 유심정보 유출에 대처하는 SK의 준비 [34] VictoryFood9515 25/04/27 9515
514794 [유머] 역대급 충격과 공포의 뮤직비디오 [19] 나미르6982 25/04/27 6982
514793 [기타] 올빼미가 밤의 제왕이자 침묵의 암살자이자 설치류의 공포인 이유 [18] 묻고 더블로 가!7786 25/04/27 7786
514792 [유머] 중럼프 [8] 無欲則剛3934 25/04/27 3934
514791 [LOL] 적나라한 DK vs 한화 후푸평점 [2] 카린4079 25/04/27 4079
514789 [방송] 정재형 보고 이봉원인 줄 알았던 빠니보틀.jpg [18] insane6476 25/04/27 6476
514788 [게임] 클레어 옵스퀴르 : 33 원정대 100만장 돌파 [21] Ahri3634 25/04/27 3634
514787 [유머] 돈없는 사람은 비싼시계 차도 의미 없는 이유 [49] 나미르10024 25/04/27 10024
514784 [유머] 나에게 딱 어울리는 문신이군 [8] 공기청정기6791 25/04/27 679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