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5/04/07 08:56:24
Name 카미트리아
File #1 17439612945630.jpeg (47.6 KB), Download : 159
출처 엠팍
Link #2 https://mlbpark.donga.com/mp/b.php?p=1&b=bullpen&id=202504070102568109&select=&query=&subselect=&subquery=&user=&site=&reply=&source=&pos=&sig=hgjcSYtYj3aRKfX2hej9SY-Y5mlq
Subject [기타] 위고비 끊은 후 결과...


위고비를 끊은 직후에 식욕이 돌아와서인지 급격한 체중 증가 현상이 보이긴 하지만,
체중 감량 기간과 동일한 수준이 시간 지난 후에도 최초 체중으로 돌아가지 않는 다는 점을 보면
그리고 그것이 플라시보 그룹의 최저값 보다도 낮을 점까지 고려한다면
(플라시보의 경우 동일한 수준으로 돌아감.)

위고비가 왜 다이어트 약 중에서도 이렇게 인기가 있는지 보여주는 것 같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5/04/07 08:58
수정 아이콘
10kg가 바운드되네요 흠좀무
회색사과
25/04/07 09:04
수정 아이콘
그냥 시간의 문제로 해석할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크크 

플라시보가 2% 빠졌다 2% 회복하는 시간보다
20% 빠졌다 다시 찌는게 시간이 더 걸리지 않을까요??
(잘 빠지는 건 맞는데..) 

차트를 좀 더 그려봐야… 
스덕선생
25/04/07 09:06
수정 아이콘
다이어트가 장기적으로 지속되면 먹는 양 자체가 줄어들긴 합니다.
보통 이것까지 가기 전에 뭄무게 줄었으니 보상으로 다시 식단 복귀 -> 요요현상 엔딩이라 그렇죠.
ChojjAReacH
25/04/07 09:13
수정 아이콘
플라시보로도 -2~-3%까지 가는것도 놀랍네요.
투약 끊고 1년 뒤까지 바라본건데 데이터로 충분하다고 생각했나보네요. 근데도 더 뒤가 궁금함 크크
몽키매직
25/04/07 09:21
수정 아이콘
이것도 이미 1차 연구 이후에 1년 뒤에 데이터 합쳐서 또 논문 낸거라,
1년 쯤 후에 또 데이터 추가해서 논문 출판하겠죠.
25/04/07 10:17
수정 아이콘
Placebo에 가짜 약만 포함된게 아니라 다이어트, 운동도 포함..
ChojjAReacH
25/04/07 10:58
수정 아이콘
아하 그런거군요
캡틴에이헙
25/04/07 09:20
수정 아이콘
요요 너무 심한데요
25/04/07 09:21
수정 아이콘
위고비의 식욕 억제 효과로 인한 체중 감소는 충분히 확인되지만 투약 중단 이후의 요요는 위고비와는 관계없는 개인 관리/의지력 문제라 생각해요.
누구는 잘 관리 될수도 누구는 이전보다 더 찔수도 있구요
몽키매직
25/04/07 09:24
수정 아이콘
데이터가 많이 쌓여 있는 예전 다이어트약들도 보면 더 길게 연장하면 그래프가 거의 붙습니다. 출판을 안해서 데이터 찾기가 힘들 뿐... 약제 도입 심의시에 제약회사에 보여달라고 해야 보여줍니다.... 반영구적인 체중감소 치료는 비만 수술 외엔 없어요.
카미트리아
25/04/07 09:59
수정 아이콘
결국 붙을 꺼라는 건 알고 있습니다.
원래 먹던 만큼 먹으면 원래 만큼 찌는게 정상이죠..

다만 그 시간이 길어진다는 것 자체로도 유의미 하다고 생각해서요.
전기쥐
25/04/07 09:30
수정 아이콘
시간 지나면 저 그래프 달라붙을걸요 ebs에서 데프콘이랑 과학자들 나오는 유튭에서 봤는데 위고비 끊으면 다시 식욕이 원상복구된다고..
슬래쉬
25/04/07 09:35
수정 아이콘
2.4mg 덜덜덜덜
미드웨이
25/04/07 09:36
수정 아이콘
시간 지나면 붙을걸요 투약안해도 어느정도 효능이 나오는 약이란건 있을리가없죠
25/04/07 09:39
수정 아이콘
제가 그래서 말하지만
무지성 약빨에 의존하면 말짱 도루묵입니다

약의 도움을 받을 때 식습관과 운동등을 병행해서
체질,습관을 고치려고 노력해야해요

아님 평생 맞던가요
25/04/07 09:46
수정 아이콘
저렇게 급격한 체중 변화가 더 위험할 것 같은...
Liberalist
25/04/07 09:50
수정 아이콘
오르락내리락해서 최종적으로 몇 프로라도 빠졌으면 개이득이죠.
제 경험입니다만, 위고비, 삭센다류는 거기에만 매달리면 개노답인데, 식욕 억제되는 몇 개월간 식습관을 확립하면 효과는 분명합니다.
NT_rANDom
25/04/07 10:00
수정 아이콘
어떤 운동도 멈추면 근육이 빠집니다.
그렇게 생각하면 위고비는 무의미하다고 생각하면 안됩니다.
25/04/07 10:04
수정 아이콘
다시 옛날 그대로 처먹었는데 예전 체중으로 안돌아가도 몸에 이상이 있는거 아닌가요? 당연히 생활 습관이 돌아가면 복귀 되죠. 이걸 요요라고 하는게 예전부터 이상했음.
성야무인
25/04/07 10:0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잘못된 내용이라 삭제합니다.----
카미트리아
25/04/07 10:23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해당 그래프가 나온 원문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www.bbc.com/news/health-64677915

그리고 그 기사에서 제공하는 논문은 찾아오신 논문과는 다른 논문이네요..
원문 링크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dom-pubs.onlinelibrary.wiley.com/doi/epdf/10.1111/dom.14725

논문 전체는 아직 해석해보지 않았지만,
semaglutide 2.4mg 을 복용한 환자와 위약을 복용한 환자의
68주의 투약 기간 , 그리고 투약후 52주의 결과 그래프가 있기는 합니다.
성야무인
25/04/07 10:32
수정 아이콘
해당 논문이 있군요..

기사 링크 나와서 최신 논문으로 나온걸로 알고 있었는데

아닌가 보네요.

편차값 데이터가 없고

임상에서 갑자기 약을 끊어버리는 조건으로 해서

윤리위원회 승인이 안날걸로 생각했고

그래서 기사가 잘못된걸로 생각했는데

그건 아니었나 보네요...

저 정도도 IRB 승인이 가능할 지는 몰랐습니다.

해당 내용은 삭제하겠습니다.
몽키매직
25/04/07 12:26
수정 아이콘
최초 연구가 무작위 임상시험이었고, 이건 무작위 임상시험 종료 이후 관찰연구입니다. 중재를 한 게 아니라 데이터를 선별한 것이기 때문에 윤리위원회에서 거부될 이유가 없죠.
그냥적어봄
25/04/07 10:10
수정 아이콘
평생 약효가 남는 약도 개발이 되겠죠..근데 호르몬에 영향을 주는 약이 평생 간다면 그것도 좀 껄끄럽네요. 가격이 많이 싸지고 주사가 아닌 알약형태로 나온다면 좋을듯
흑태자
25/04/07 10:13
수정 아이콘
운동을 끊은 후 결과.. 근육이 다시 다 빠지고 살이 쪘습니다!

와 다를게 없는 결과죠
운동 안하면 돌아간다고 잠깐이라도 운동한게 의미가 없는건 아닌것처럼
안맞으면 돌아간다고 위고비로 체중을 조절한게 의미가 없는건 아닙니다
소용락
25/04/07 11:24
수정 아이콘
다이어트는 실패하는순간 내성생겨서 살 더찌고
빼기 어려워지니까요.
흑태자
25/04/07 13:08
수정 아이콘
다이어트가 실패하면 내성이 생긴다는건 아무 근거가 없는 말씀같은데요
소용락
25/04/07 13:43
수정 아이콘
제가 근거가 없다는건가요
님이 처음듣는얘기라 수용하기가 어렵다는건가요?
전문가 뿐만 아니라 살빼본 사람이면 몸소 느낄수도 있는점인데요.. 아래 댓글만봐도 다이어트 원상복귀되면 더 튀어 오른다는 말도 있는데..
Lord Be Goja
25/04/07 10:35
수정 아이콘
아니 그러면 한번 복용하고나면
운동은 커녕 방구석에서 꼼짝도 안하고
실컷 이것저것 먹어도 살이 안찌는 약을 생각한겁니까??

정말 좋은 생각이군요 어서 개발합시다
25/04/07 10:37
수정 아이콘
홍삼, 비아그라, 위고비.
그래도 살아남는...
alphaline
25/04/07 10:37
수정 아이콘
요즘 다이어트약 무용론 보면 고혈압약 끊으면 말짱 도루묵이라고 약 안 먹는다는 일부 어르신들 생각이 납니다
카미트리아
25/04/07 10:38
수정 아이콘
혈압 160까지 올라가는데도,
혈압약 한번 먹으면 평생 먹어야 된다면서 약 먹기를 거부하는 지인을 얼마전에 봤네요..

그러다 신장 망가진다고 빨리 먹어라라고 했는데..먹고는 있을지...
담배상품권
25/04/07 14:58
수정 아이콘
그러다가 물도 의사 허락받고 마시게 된다고 해도 안듣는 사람은 안듣더라고요.
Lightninbolt
25/04/07 10:52
수정 아이콘
보통 다이어트하고 원상복귀되면 무게가 더 튀어오르던데 위고비도 똑같을까요?
네파리안
25/04/07 11:34
수정 아이콘
저는 위고비 1달하고 10kg뺏는데 끊고나서 3달동안 7kg 더뺏습니다.
위고비로 위장이 셋업된 느낌이라 끊자마자 바로 간헐적 단식 들어가서 2달간 유지하다가
3월부터 장시단식 + 저탄고지해서 7k감량햇어요.
다만 저는 원래 기능성 위장장애가 심했는데 위고비 이후로 계속 소화가 안되서 살빼기는 쉬운데 매일 체한느낌이라 고통받는
기본적으로 탄수화물 중동상태에서 중독탈출한 상태로 되돌아오기 때문에 다이어트는 훨씬 쉬울겁니다.
당근케익
25/04/07 14:27
수정 아이콘
비싼약 처방받을동안
식습관 생활습관 싹 뜯어고쳐야죠

그걸 해낸 사람은 다이어트 성공하는거고
못한 사람은 요요처맞는걸 어떤 다이어트 해도 똑같은거고
25/04/07 14:51
수정 아이콘
살 빼는게 복권을 긁어보는 거라면 위고비로 살짝 당첨 경험을 해보는 것만으로도 동기부여가 되지 않을까 싶기도하네요.
25/04/07 14:51
수정 아이콘
긁어봤더니 꽝이더라 그러면 뭐 위고비 끊고 바로 이전으로 돌아가겠지만요.;;
시린비
25/04/07 14:56
수정 아이콘
위고비 쓰는데 효능 느껴지는데 일단 한번해서 도와주는게 크다고 생각해요 당연히 뭐 끊고 많이 먹으면 찌겠죠 그건 당연한거 아닌가요? 왜저주를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수정잠금 댓글잠금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게시글 및 댓글 처리 강화 안내 (23.04.19) 더스번 칼파랑 23/04/19 142424
공지 댓글잠금 [기타]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569776
공지 [유머] [공지] 타 게시판 (겜게, 스연게) 대용 게시물 처리 안내 [23] 더스번 칼파랑 19/10/17 573808
공지 [기타] [공지] 유머게시판 공지사항(2017.05.11.) [2] 여자친구 17/05/11 985049
514166 [기타] 성인 웹툰의 미래? [2] 묻고 더블로 가!1733 25/04/08 1733
514139 [기타] 트럼프는 관세를 철회한다!! [10] ramram5288 25/04/07 5288
514123 [기타] 위고비 끊은 후 결과... [39] 카미트리아6646 25/04/07 6646
514122 [기타] 모든 경제지표가 나빠질때 혼자 떡상한 인물 [30] INTJ8146 25/04/07 8146
514120 [기타] 치어리더 이름이 뭐야? [10] 묻고 더블로 가!7054 25/04/07 7054
514077 [기타] Endless Rain(X-JAPAN) 피아노 커버 [2] Croove2067 25/04/05 2067
514074 [기타] 폰허브 근황...jpg [9] 어금니와사랑니8110 25/04/05 8110
514064 [기타] ??:그런 비용을 붙이면 우린 망할거라고! [27] Lord Be Goja7967 25/04/05 7967
514057 [기타] 30대에 당뇨 걸리는 방법 [33] INTJ7452 25/04/05 7452
514052 [기타] 모든 동물들은 평등하다. [7] 전자수도승6277 25/04/05 6277
514050 [기타] 분명 악마가 설계한 침대 프레임 [12] 묻고 더블로 가!7667 25/04/05 7667
514033 [기타] 이젠 버리는 비용이 더 비쌀 듯한 다이소 신제품 [29] 닭강정9877 25/04/04 9877
514031 [기타] 이쯤에서 또 보는 사실상 짤 생성기 [3] Lord Be Goja5198 25/04/04 5198
514027 [기타] 은근히 남혐기가 있는 챗지피티 초상화.. [22] Lord Be Goja6782 25/04/04 6782
514026 [기타] 체중, 머리카락보다 중요합니까? [22] 퍼블레인6697 25/04/04 6697
514013 [기타] 아랍 석유부자도 바닥에서 먹는게 익숙한 이유 [5] 김삼관7225 25/04/03 7225
514010 [기타] 이혼 전문 변호사가 말하는 이혼 사유 1등 '불륜'에 대한 이야기 [31] 독각9771 25/04/03 9771
514008 [기타] 일정 주기마다 약속처럼 나오는 이슈 [37] 이호철8600 25/04/03 8600
514006 [기타] 대한경제가 인용한 서울시 지반침하 위험도 분석모델 지도 [20] 전기쥐6839 25/04/03 683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