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3/01/17 16:18
    
        	      
	(수정됨) 전 서론같은거 더럽게 못쓰는데, 그 점은 참 좋아보이더라구요. 대신 VBA코드를 쓸 때 변수 선언이 필요한데, 안하는 등의 이상한 점이 있었습니다. 
 
	23/01/17 16:21
    
        	      
	 오늘 처음으로 각잡고 써봤는데 점점 헛웃음만 나오더군요. 아마 곧 있으면 아무리 작은 기업이라도 데이터 분석과 자료정리를 위해서 AI 하나씩은 쓰겠구나 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23/01/17 16:27
    
        	      
	 대학생활이 너무 오래되어서 가물가물한데,
 원래 자기가 에세이 토픽도 정했던것같은데. 차라리 교슈가 토픽을 하나로 정하면 아직까진 막을수있지 않을까요? 잘쓰더라도 20~30명의 학생들이 chatgpt를 사용하면 경향성이 보일테니까요. 
	23/01/17 16:32
    
        	      
	 질문이나 방향을 좀 바꾸면 기술되는 내용이 그래도 좀 달라지긴 합니다
 그런데 그걸 구분해내느니 수기로 수업시간 내에 처리하게 하는 편이 학습에 낫다는거겠죠 
	23/01/17 16:31
    
        	      
	 네이처에도 떴던데요. 과학자도 구별 못한다고
 https://www.nature.com/articles/d41586-023-00056-7 
	23/01/17 16:34
    
        	      
	 자소서 몇 개 읽어보면, 학생들 과제물 좀 읽어보면 
 글 못쓰는 사람이 정말 많구나 라는 걸 느끼죠.. 그네들보다야 기계가 훨씬 잘 쓸 것 같아요. 
	23/01/17 16:43
    
        	      
	 과거에는 문명이 발전하면 사람은 창의적인 일을 하고 단순노동은 로봇이 할거라고 생각했는데, 
 실제로는 창의적인 일은 A.I가 하고 단순노동은 저렴한 바이오로봇이 ...... 
	23/01/17 17:45
    
        	      
	 사실 평생 살아오면서 진정한의미에서 창의적이거나 생산적인 활동을 해나가는,
 혹은 해나갈 사람들은 굉장히 극소수죠 넷플릭스가 돈을 왕창 쏟아내던시절 나오던 무수히 많은 노잼작품의 산더미를 지켜보면서 뼈저리게 느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