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Date 2021/09/19 17:25:07
Name KOS-MOS
File #1 Screenshot_20210919_172104_Chrome.jpg (2.10 MB), Download : 54
출처 유튜브
Subject [유머] 유튜브를 고화질로 보면 안 되는.eu


개인적으로는 무슨 X소리야 싶습니다만
제가 좀 이해력이 딸리는 걸 거라 생각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이재빠
21/09/19 17:28
수정 아이콘
애플이 친환경 한다고 충전기 빼는거랑 같습니다.
네 개소리죠.
cruithne
21/09/19 17:28
수정 아이콘
풍년이네
21/09/19 17:28
수정 아이콘
좀있으면 유튜브 고화질로 보려면 돈내야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드네요
valewalker
21/09/19 17:29
수정 아이콘
1080p60 유지한다츄
강동원
21/09/19 17:29
수정 아이콘
?????
건전한닉네임3
21/09/19 17:30
수정 아이콘
라는 내용의 영상을 1080p로 캡쳐했습니다
VictoryFood
21/09/19 17:31
수정 아이콘
그런데 휴대폰 액정 크기로 720p 이상이 필요한가 싶기는 합니다.
별빛정원
21/09/19 19: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1080p까지 내려가는건 상관없는데,
720p면 진짜로 가까이서 집중해서 보면 서브픽셀이 보입니다;
갤럭시 S3 4.8인치에 펜타일(rg-bg같은 1픽셀에 서브픽셀이 2개씩만 있는 화면) 방식인데, 진짜 화질 구려요(306ppi)
그나마 동년에 나온 노트2는 기본RGB배열이 아니긴 해도, S-Stripe RGB 방식이라 1픽셀에 서브픽셀RGB가 다 들어있어서
5.55인치 HD방식이고 PPI는 훨씬 낮음(267)에도 불구하고 화질이 훨씬 낫긴 합니다만, 그때당시 기준인거고 지금은 그닥이죠..

요즘엔 16:9보다 훨씬 와이드비율이긴 해서 16:9만큼 잘라보면 화면크기가 좀 작아지긴 해도, HD+ 와이드해상도면 (기존에 비해 개선된 다이아몬드 펜타일) 화질 진짜 별로입니다.

OLED디스플레이가 아닌, 액정(LCD)이면 보통은 온전한 3서브픽셀로 들어가긴 해도 720P는 진짜 쓸게 못됩니다(...)
아이폰SE2처럼 화면 크기가 작은 4.7인치도 HD보단 좀 더 높은 해상도인데(1300대*750정도?), 그래도 1080P에 비하면 선명함이 훨씬 부족해요..

근데 문제는 요즘 액정은 저가형 말곤 잘 안쓰죠..
보급기 좀 높은거나 중급기부턴 OLED 펜타일방식으로 들어갈텐데 이게 HD면....

말씀하신대로 요즘크기면 최소 6인치 이상인데.. 보기 싫어지는 화질입니다..
양파폭탄
21/09/19 21:59
수정 아이콘
이게 실사 영상물과 게임, ui, 텍스트는 좀 달라서 후자들은 해상도가 낮으면 티가 훨얼씬 더 많이 납니다. 지금 패널 메인스트림이 qhd인건 그럴만한 이유가 있어요.
21/09/19 17:33
수정 아이콘
웅 안해
포도씨
21/09/19 17:34
수정 아이콘
뭐 아주 약간은 도움 되겠지요.
휴대폰도 해상도를 높이면 배터리소모가 빨라지니 충전도 더 빨리 해야할테고...
55만루홈런
21/09/19 17:36
수정 아이콘
뭣하러 전기 수소자동차만듭니까 스마트폰과 유튜브를 때려잡아야지 크크
나름쟁이
21/09/19 17:37
수정 아이콘
소재고갈은 한참전에 된듯
21/09/19 17:37
수정 아이콘
유튜버 디게 멍청해 보이네요.
Dear Again
21/09/19 17:37
수정 아이콘
가전제품 아껴쓰기랑 비슷한 효과는 있겠죠.....
21/09/19 17:38
수정 아이콘
차라리 광고를 다 없애서 총 플레이 시간을 줄인다면?
양파폭탄
21/09/19 17:43
수정 아이콘
4k 틀면 cpu가 고생하다 죽는 시절도 있었죠
전기 많이 먹는다는 소립니다
4k도 허상인게 720p라도 비트레이트 높이면 휴대기기에선 눈으로 제대로 구분 못합니다
근데 기본 480p는 선넘었죠
21/09/19 18:34
수정 아이콘
이건 뭐 어디서부터 반박을 해드려야할지
cpu로드율이 높으면 사망할 확율이 높아지는건 당연한거고 그건 게임을 하건 프로그램을 빡세게 굴리건 똑같은거구요
해당코덱 가속되는 vga만 가지고있어도 cpu는 놉니다
그리고 720p에서 비트레이트 아무리 늘려도 일정이상 올라가면 해상도 차이 극복못합니다
휴대기기에서 구분안간다는건 님이 가진 휴대용기기 패널이 720p패널이겠죠 qhd급 기기에선 구분 아주 잘갑니다
양파폭탄
21/09/19 20:42
수정 아이콘
당연한걸 왜 반박을 하세요? 가속되도 4k가 720p보다는 전기 많이 먹습니다. 이거야말로 당연한거죠. cpu가 논다는 말씀 하시는데, 당연히 가속 안할때랑 비교하면 노는게 맞지만, 가속되어도 해상도가 오르면 cpu 점유율은 상승합니다. 당장 제 노트북이 2070maxq에 uhd 패널을 쓰고 있는 에일리언웨어인데, 여러개 동시작업을 하면서 백그라운드에 트위치띄워놓을경우 1080p일때랑 720p일때랑 시스템 부하가 유의미하게 차이납니다. 당연히 하드웨어 가속 켜놨고요. 하물며 4k는 어떻겠어요? 그걸 쏴주는 스트리밍 서비스는 어떻겠어요?

저는 해상도 차이가 [극복]된다는 소리는 한 적 없고, [휴대기기]에 한해서 제대로 구분못한다는 말을 했을 뿐입니다.
게임같은걸 직접 구동할때는 720p와의 차이를 쉽게 느낄 수 있는데, 이 게시물에서 다루는 단순 영상 시청의 경우 일정이상의 비트레이트에선 결코 쉽지 않습니다. 눈으로 구분이 아주 잘간다 뭐 이러는건 대부분 스트리밍 서비스들이 저화질에서 비트레이트를 크게 낮춰서 보내기 때문입니다. 실제 블라인드 테스트 영상도 보면 실제 렌더링 ui, 스샷, 정적인 영상에서나 구분이 쉽게 가능하지 동적인 영상이나 일상적인 영상 시청에서 아주 구분 잘간다는건 그것도 동시에 틀어놓고 좌우 비교가 가능하니 유의미하지, 그냥 단일영상 하나 틀어주고 이거 해상도 맞춰보라 하면 결코 쉽지 않습니다.
2160p remux 따서 x265 crf 16 걸고 720p로 직접 인코딩 해보세요. 스마트폰 수준에서 영상 실제 시청시 유의미한 차이 발견하기 쉽지 않습니다. 아니, 애초에 uhd 패널을 장착해서 4k를 제대로 소화해주는 스마트폰이 몇이나 있습니까? 소니 엑페 사용중이신가요?
21/09/19 21:10
수정 아이콘
그니까 그냥 모든상황에서 cpu점유율이 오르면 cpu수명 주는건 당연한건데 4k틀면 이라는 전제를 단다는게 이상하다는겁니다
cpu가 그렇게 쉽게 죽는물건이 아닙니다 4k틀면 고생하다 죽는다는걸 특정한다는게 말도 안된다는거구요
댁이 말하는 상황은 유튜브에서 구현이 안되는데 예로 쓸수도 없는 상황이죠
왜냐면 원본이 4k인 영상을 따로 720p로 따서 비트레이트만 올려서 업로드 하는경우는 없으니까요
나올수가 없는 상황인데 왜 그걸 예로 드시는지?
양파폭탄
21/09/19 21:29
수정 아이콘
원론적으로 4k는 전기를 더 많이 먹는다는 이야기를 한 것인데요? 그리고 워딩 잘 보셔야 되는게, 4k 틀면 죽는 [시절도 있었다]고 했습니다. 당연히 지금은 아니란거 아는 상태에서 쓴 워딩인뎁쇼?
4k가 전기를 많이먹는건 팩트이고, 그에 따라 해상도를 낮추자는 워딩은 얼마든지 할 수 있는겁니다. 자기들 돈 아끼려고 하는 속내가 뻔하고 환경운운하니까 역겨운거지 틀린말을 해서 욕먹는게 아니란거죠.
그걸 두고 지금 유튜브를 4k로 보다가 cpu가 죽을수도 있다는 이야기로 읽으셨어요?
저는 유튜브를 720p로 보란 소리는 한적도 없습니다. 비트레이트를 높이면 720p로도 충분하다는 이야기는 오히려 유튜브의 비트레이트는 그렇지 않다는 이야기가 내포된 겁니다. 그걸 주장했다면 유튜브는 720p에서도 충분히 높은 비트레이트를 갖고 있다는 워딩을 했겠죠. 대놓고 유튜브에서 720p 쓰면 된다고 했을거고요.
댁이 비트레이트 올려도 구분 아주 잘 된다하니까 그렇게 자신있으면 2160p remux 따서 x265 crf 16 걸고 720p로 직접 인코딩 해보라고 한거죠. 누가 유튜브에서 그런 방법이 가능하다고 했습니까? 4k 지원하는 소니 엑페 사용중인거 맞으시죠?
21/09/19 21:36
수정 아이콘
본문이 유튜브 4k얘긴데 왜 갑자기 유튜브 얘기가 아니다로 넘어가시는지?
그리고 저는 구분 간다니까요? 댁이 구분못한다고 다른사람들도 구분못한다는 단정하시는건 좀?
왜 자꾸 구분 잘하는 저한테 인코딩하라는지 모르겠는데 주장하는바가 자신있으면 본인이 인코딩해서 좀 올려주세요
양파폭탄
21/09/19 21:54
수정 아이콘
처음부터 유튜브란 소리 하지도 않았는데 왜 유튜브에 한정해서만 이야기를 해야 하는지? 그걸 누가 정해줬는데요?
해상도 논란을 좀 더 포괄적 관점에서 원론적 문제로 다뤘을 뿐인데요?
인코딩을 누가 하든 뭔 상관입니까. 제가 하는거랑 님이 하는거랑 결과물이 달라져요? 님 컴이 후지면 아예 인코딩이 안될수도 있긴 하겠죠. 그냥 720p 고비트레이트 영상을 보신 일이 많으면 거기에 관련된 이야기로 반박을 하시면 될 일이지 이상한데서 되도 않는 억지를 부리시네요.
첫줄에 어디서부터 반박해야될지 모르겠다고 하시길래 좀 쫄았는데 내용이 하나도 없으시네요. 일부러 힘을 숨기셨으면 내공좀 풀어주세요.
4k 지원되는 소니 엑페 쓰는거 맞냐는 질문엔 왜 대답을 못하시나요. 그렇게 뛰어난 분해능이시면 다른거 못쓰실거 같은데 말입니다.
21/09/19 22:04
수정 아이콘
본문이 유튜브 고화질 얘긴데 그냥 혼자만의 세상 사시나요? 그럴꺼면 댓글은 왜 다시는거지 그냥 일기를 쓰시지요
그리고 4k원본 소스를 구해서 720p에 과분한 비트레이트로 인코딩해서 휴대용기기에 넣어서 재생하는 경우가 전체인구의 0.00000x퍼센트나 될까 싶은데 그런 특수한 경우를 예로 왜 드시는건지도 모르겠구요
혹시나 해서 말씀드리는데 님이 말씀하신대로 인코딩해도 구분 다 갑니다
결국 유튜브와 넷플릭스가 스탠다드죠 본문도 유튜브 얘기구요
폰은 갤럭시S21U 씁니다 해상도 3.2k패널이구요 이것도 어거지 부리실까봐 미리 말씀드리는데 첫댓글부터 QHD급기기라고 했으니 4k패널 안쓴다고 어거지는 안부리셨으면 좋겠네요
양파폭탄
21/09/19 23:10
수정 아이콘
원 주제보다 확장된 논의를 해보고자 하는 시도는 님이 생각하는 혼자만의 세상에서만 이루어지는 일이 아니랍니다. 님이 무슨 권리로 그걸 제약하시는지? 그냥 남의 처음 논지를 파악조차 못해놓고 억지는 적당히 부립시다.

요즘 나오는 remux가 2160p라서 4k 원본 소스를 언급한거고, 720p로 인코딩할 경우는 다운스케일링하는거라서 원본 720p remux의 경우와 거의 동일한 결과물이 나오는데요? 과분한 비트레이트? 인터넷에 나도는 파일들 다 블루레이에서 따온 remux를 재인코딩해서 배포하는거에요. 토렝이 유행하던 시대에 같은 해상도인데 용량차이나는거 보셨죠? 그중에서도 고용량 찾으러 다닌 사람들 많습니다. 그렇게 뛰어난 분해능이시면 이런거 관심가질만 하신거 같은데 말이죠. 직접 촬영한거 커스텀 인코딩하는 경험이 한번도 없으셨다면 뭐 어쩔 수 없지요. 과분하다는 이야기 하시는데, 저렇게 인코딩해도 영화한편 10기가 안넘습니다. 배포용 사이즈 중 고급이란 얘기죠. 실제로 화질좋은거 원하는 사람들이 주로 타게팅하는 사이즈였고요. 뭐 인구가 소수니 어쩌니 하시는데, 그런 인식 때문에 스트리밍 업체들도 돈아끼려고 720p는 원래 구린 것인양 비트레이트를 낮춰서 보내는겁니다. 본질은 비트레이트에 있는데 해상도만 붙잡고 늘어지는게 문제라는 말이죠. 다음팟이 살아있던 시절 송출옵션에 720p 4M가 있던건 아시려나 모르겠습니다. 그게 지금 유튜브 fhd의 비트레이트랑 비슷합니다. 님이 말하는 것처럼 고비트레이트 송출이 그리 과분하지도 않았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냥 비트레이트 떡너프를 먹어서 720p가 구려진거에요.

말씀하신거만 봐선 제가 말한 인코딩 옵션 들어본적도 없으신거 같은데 뭔 구분이 된다는 소리신지 흠... 뭐 구분되신다는데 어쩌겠습니까. 뭘 갖다줘도 구분된다고 우기면 그만이니 남이 뭐 할말이 없죠. 유튜브 타령만 할거면 애초에 비트레이트 높일 일도 없는데 그거 다 구분된다는 곁다리는 왜 하셨는지? 님부터도 유튜브 벗어난 이야기에 뛰어들어놓고 유튜브 왜 벗어나냐 하는건 내로남불아닙니까?

정리하자면 qhd급 기기에서 4k 보신단 말인데. 뭐 잘 알겠습니다. 실제로 차이는 있으니까요. 그 2k와 4k 영상 차이를 해상도 때문이라는 생각만 안가지시면 좋겠네요. 왜냐면 스트리밍 서비스의 2k 역시 720p처럼 해상도를 풀로 활용하는 비트레이트를 갖지 못했거든요. 그거 저나 댁 폰 수준에선 순전히 비트레이트 차이란 겁니다.

음성도 192kbps 이상을 구분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많습니다.
저는 심도있는 내공을 기대하면서 댓글을 썼는데 어째 기대보다 리턴이 적네요. 더 이상 대화해봐야 얻을건 없을거 같습니다.
21/09/19 23:32
수정 아이콘
양파폭탄 님// 그니까 그 근거를 가지고 오시라니까요 말만 하지마시고
구분안간다고 말만 하시면 뭐 어떻게 하라는건지 모르겠네요
말씀하신대로 4k와 비트레이트가 충분한 720p 해상도의 영상이 QHD급 패널을 가진 휴대용기기에서 구분이 불가능한지 자료나 실험사례같은걸 가져오시면됩니다
뭐 말은 주절주절 기신데 2000년초중반 HDTV도입되던 시기에 일본 TS파일 원본 몇백기가씩 보유하고 인코딩도 직접해보던 입장에서 가소롭기 그지없는 지식의 향연이네요 뭐 어쩌라는건지 모르겠구요
비트레이트가 떡너프를 먹은건 2000년초중반 HDTV도입초기에는 코덱이 mpeg2였으니까 그해상도에도 20m을 썼던거구요
지금은 코덱이 h264를 지나 h265가 도입되는 시긴데 압축율이 훨씬 좋아져서 고비트레이트가 효율이 안나오니까 효율을 위해 같은 해상도에도 비트레이트가 내려가는겁니다 이런거까지 설명해줘야하나요 크크
양파폭탄
21/09/19 23:34
수정 아이콘
범 님// 입증할 근거 안대고 있는건 그쪽도 마찬가지 아닌가요? 가소로운 지식 맞구요. 가소로우면 여러번 부탁드렸던 만큼 내공좀 풀어주세요. 그정도로 전문가이신 분이 이렇게까지 내공을 숨겨서 주절주절 길다는 표현조차 못할만큼 내용이 없는 댓글만 쓰시고 계신데, 가진 전문성에 맞는 이야기를 해주세요. 의사나 과학자 분들은 별것없는 댓글놀이에서도 내공을 뿜어냅니다. 가소로운 저도 배울것좀 있으면 좋겠어서요. 처음부터 끝까지 나는 구분되는데? 밖에 안하셨잖아요. 저야말로 어쩌란건지 모르겠네요. 그니까 저해상도 고비트레이트 인코딩 경험이 풍부하시다는걸로 알아들으면 되나요?
21/09/19 23:37
수정 아이콘
양파폭탄 님// 댁이 먼저 4k는 허상이다라고 하셨으면 근거를 댁이 가져오셔야지 왜 제가 가져와야됩니까? 이건뭐 크크
양파폭탄
21/09/19 23:51
수정 아이콘
범 님// 유튜브는 h265 안쓰고 vp9 쓰고요. fhd 이하 해상도는 x264 씁니다. 뭐 hdtv 초기에는 mpeg2 타령하시는데, 저는 h264 시절 이야기하는건데요. 그때도 x264로 용량타협한 2기가 이내 영상들 돌아다니고, 화질도 챙긴 4~8기가 영상도 나왔는데 뭔 소릴 하세요? 제가 위에서 언급한 비트레이트들 다음팟 시대에도 x264이고요. 언제적 mpeg2 말씀을 하시는 겁니까? 님의 신뢰성을 팍 떨어트리는 말씀이시네요. 애초에 x264 이전은 아예 상정해 두지도 않았습니다. 진짜 말씀하신 것처럼 먼 옛날에만 활동하셨나봐요.

에이. 님이 아무런 주장이 없다면 모를까 님도 전부 다 구분가능하다는 본인만의 주장을 하셨잖아요. 그럼 님도 입증할 증거를 당연히 대셔야지. 님의 토론스킬은 처음부터 워딩을 제한해서 당신 주장에 근거가 있냐는 식으로만 공격할때나 의미가 있는거란건 왜 모르시나요. 그저 논쟁에서만 이기고자 하는 저열한 목적이 아니라면 정상적인 방법론을 택하시기 바랍니다. 그 잘난 내공 좀 풀어주세요. 네?

4k가 왜 허상인지는 님도 잘 알고 있죠. 화면크기에 비해 픽셀이 지나치게 작다는 거요. 아래 해상도들을 풀로 활용할 수 있는 비트레이트보다 낮은 비트레이트로 서비스되고 있다는거요. 실제로 crf 16보다 훨씬 낮은 23~28 수준으로 배포되고 있는건 당연히 알고 말씀하시는 거겠죠?
21/09/20 00:02
수정 아이콘
양파폭탄 님// 자기는 유튜브랑 피지컬, 방송매체 규격이랑 왔다갔다 하면서 제가 다른거 언급하니 갑자기 유튜브 들이대면서 vp9언급하는 꼬라지가 참 웃기네요
h264보다 h265가 압축율이 좋으니 비트레이트가 내려가도 화질이 그만큼 내려가지않는다는 소리구요
그래서 예전시절 코덱으로 720p영상 비트레이트를 갔다대봤자 화질논쟁에 의미가 없다는 소립니다
그리고 자꾸 한소리 또하게 하시는데 증거를 가지고 오시라니까요 댁이 주장을 하셨으니 댁이 증거를 가져오시는건 국롤 아닌가요?
양파폭탄
21/09/20 00:1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범 님// 예전시절 코덱으로 720p 영상 비트레이드를 갖다댄다라... 그냥 댁이 충분한 리딩없이 댓글을 쓰신다는건 잘 알겠습니다.
저는 님에게 x265로 인코딩해보라 했지, 예전시절 코덱으로 인코딩해보란 소리는 한적도 없습니다.
그리고 고비트레이트 이야기를 하면 당연히 현시대 동일코덱 하에서 논하는 것이지 밑도끝도 없는 먼 옛날의 mpeg2를 갖고오는건 정말로 아무 생각 없이 논쟁에서 이기고 싶다는 생각만 가득하다는걸 보여주는 지표라고밖엔 생각되질 않네요.
당장 제가 바로 전 댓글에서 유튜브는 fhd 이하에서 x264 쓴다고 말했잖아요. 근데 뭔 x265 압축률이 더 좋아서 비트레이트 낮춘다 이런 소릴 하십니까?
이 부분에서 댁에게 정말 실망을 감출수가 없는데, 설마 x264, x265 쓰면 고비트레이트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시는 건가요? 이전세대 코덱대비 용량을 압축할 수 있는 것이지 동일 코덱 하에서도 설정에 따라 고비트레이트가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기초중의 기초를 제가 왜 가르쳐드려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제가 crf 16 운운했던걸 하나도 모르신다는게 여기서 증명되네요.

않이, 님도 주장을 했잖아요. 국룰 타령하기 이전에 자신이 뭘 했는지 생각을 좀 해보세요. 님의 주장은 뭡니까? 고비트레이트라도 해상도 구분 다 된다 아니에요? 그럼 상반된 주장을 하는 상대에게 근거대라고 하기 이전에 자기가 그렇게 자신있으면 자기부터 근거 대서 상대 박살내는게 더 좋은 방법 아닙니까? 왜 기초적인걸 자꾸 가르쳐드려야 하는지 모르겠네요.
21/09/20 00:50
수정 아이콘
양파폭탄 님// 비트레이트 변경 불가능하다고 한번도 말한적도 없는데 난독이신가요
이미 첫댓글에 720p에서 비트레이트 아무리 늘려도라고 말했는데 어거지 적당히 부리시구요
그냥 유튭 가서 720p vs 4k 쳐서 휴대폰으로 한번 보세요
원본영상이 4k인 영상도 많으니 비트레이트 방패도 못쓰시겠네요
이방법이 틀렸다고 생각하시면 본인이 더 타당한 방법으로 증명을 해보시면됩니다
양파폭탄
21/09/20 01:36
수정 아이콘
범 님//
아니 늘린다는 소린 실컷 해놓고 왜 mpeg2 이야기를 갖고 오시냐고요. 동일한 x264 코덱으로 된 용량=비트레이트 다른 영상들 본 적 없습니까? 자기가 먼저 택도 아닌 소릴 해놓고 거길 짚어주니까 난독운운하는건 좀 심했다는 생각이 들지 않습니까? x265는 압축률이 좋아서 낮춰도 된다는 소리는 왜 하셨는데요? 유튜브는 fhd 이하 x264 그대로 쓰고 있다고 제가 진작에 짚어드렸죠? 누가 난독인가요?

해상도 비교 블라인트 테스트 영상 이야기 진작에 해놨는데 역시 충분한 리딩 없이 댓글쓰신다는건 잘 알겠습니다. 당장 유튜브에서 720p vs 4k 쳐봐도 비트레이트와 촬영기기 성능이 훨씬 중요하다는 영상은 바로 찾을 수 있는데요? 큰 tv가 아니면 알아차리기 힘들다는 이야기도 바로 나오구요. 님이 말하는 근거영상이 제가 주장한 고비트레이트 720p 영상에 부합하는게 맞긴 합니까?
21/09/20 02:53
수정 아이콘
양파폭탄 님// 그냥 이해력 딸려서 혼자 헛소리하는거 더 못보겠는데 찾으셨다는 720p vs 4k 영상 링크좀 부탁드리구요
어떤 미친놈이 720p랑 1080p도 아니고 720p랑 4k 비교에 큰 TV 드립을 치는지 얼굴이나 보고싶네요 크크
양파폭탄
21/09/20 03:47
수정 아이콘
범 님// 범님의 이해력이 딸리셔서 더 못보겠다는 말씀이시군요. 잘 알겠습니다. 그냥 자기가 이상한 소리 줄줄 한거 인정하시면 될걸 욕을 하고 가시는 모습 잘 보고 갑니다. 이것저것 쓸데없는 것들만 피상적으로 공격하시던거 하나하나 다 반박드렸는데 마지막 모습은 참 추하네요. 본인이 그렇게 잘 알고 계시면 논리적 근거든 뭐든 제대로 말을 해서 납득시켜주시면 됩니다. 저는 논리적 근거도 댔고, 초장부터 화질테스트와 제가 말한 부분과의 괴리는 말해놓았고요. 님이 납득하든 말든 말입니다. 오히려 님이야말로 아무런 근거 없이 난 구분되는데? 하고 계실 뿐인거죠.
설득을 하고 싶으시면 제대로 된 설득을 하시고, 논쟁을 하고 싶으시면 그런 방식으론 저한테 항복선언 못얻어내십니다. 애초에 님이 시비터시는 부분도 잘못되어 있어요. 할려면 논파를 하셔야지 증거가 없다고 고집만 피워봐야 서로 주장만 양립한 선에서 그칠 뿐이랍니다.
애초에 고비트레이트 720p 영상을 인코딩해보시긴 했나 모르겠네요.
21/09/20 03:5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양파폭탄 님// https://youtu.be/jkztNy5wNVI?t=28
이거나 보시구요 쉐플로 녹화하면 720p도 디폴트가 50mbps입니다 비트레이트 충분하다못해 흘러넘치는수준이구요
뭐라도 좋으니까 좀 가져오세요 저는 가져오는데 왜 댁은 안가져오고 어거지만 부리십니까
그리고 댁이 논리요? 애초에 구분 안간다 밖에 말하는게 없으신데?
양파폭탄
21/09/20 04:0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범 님// 아이고 선생님... 남의 댓글 하나도 안본다는게 여기서 또 증명되네요. 요즘 이 논쟁은 실사에서나 의미있는 부분이구요, 위에서도 게임 등지에서는 얼마든지 구분한다고 저도 다 말해놨습니다. 당장 제가 하는 로아만 해도 fhd랑 4k랑 차이가 어마어마해서 프레임방어 안되는데도 4k로 하는데 그걸 모르겠어요? 굳이 게임을 논하겠다면 게임 렌더링 자체를 720p로 하는데 녹화 비트레이트가 50mbps인게 무슨 상관입니까? 720p 녹화와 그걸 4k로 업스케일 인코딩한 영상과 비교를 하든가, 4k 녹화한것과 그걸 720p로 인코딩한 영상을 비교해야 의미가 있는거죠. 아니 기초적인 비교하는 방법도 모르시는데 무슨 대화가 됩니까? 진짜 이걸 비교라고 갖고 오신거에요? 농담이 아니고?
다시 말씀드리면요. 동일 녹화를 2개의 해상도로 인코딩한걸 가지고 비교를 해야지, 4k 렌더링을 4k로 녹화한 것과 720p 렌더링을 720p로 녹화한 거 2개를 비교하는게 무슨 의미가 있습니까? 님 유튜브에 영상 하나 올릴때 해상도별로 하나하나 인코딩해서 올립니까? 아니잖아요. 당연히 원소스 멀티인코딩으로 비교하는게 의미가 있죠. 이런 기본도 안되는 분에게 뭔가를 기대한 제가 바보였네요. 어떻게 이런걸 반례랍시고 당당하게 들고옵니까?
21/09/20 04:07
수정 아이콘
양파폭탄 님// 이건 님말이 맞네요 게임은 해상도가 다르면 원본소스가 달라지니까요
근데 같은 해상도로 쉐플로 4k랑 720p로 녹화하면 차이 개 많이 나는것도 사실인데요
어차피 결과는 달라지는게 없습니다
양파폭탄
21/09/20 04:11
수정 아이콘
범 님// 꺼내는 말마다 털렸으면 그냥 님이 진게 아닐까요? 제대로 된 내용의 댓글이 없다면 저는 대화를 끝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어차피 시간도 늦었으니 제대로 된 답변에도 내일 답변하도록 하겠습니다.
21/09/20 04:14
수정 아이콘
양파폭탄 님// 님 혼자 상상에서 터셨나요 크크 털린 기억이 없는데
털고 싶으시면 님이 말하시는 4k원본자료로 인코딩된 4k랑 720p영상으로 휴대기기에서 사람눈이 구분못한다는 근거를 가져오심됩니다
되도않는 인코더 옵션 하나 가지고 앵무새처럼 입만 턴다고 되는게 아니라요
양파폭탄
21/09/20 12:01
수정 아이콘
범 님// 직전댓글에서 잘못한거 인정도 하신분이 털린게 없다하시는건 좀 양심이 없죠? mpeg2같은 헛소리 하다가 지적당한것도 기억에 없죠? 영양가 없으신 분인건 진작에 알아봤지만 마지막까지도 변함없는 모습만 보여주시네요. 님과의 대화에서 얻을건 아무것도 없다는 것만 알아갑니다.
21/09/20 16:29
수정 아이콘
양파폭탄 님// 크크 전 잘못한거 쿨하게 인정이라고 했지
시작댓글부터 핀트 어긋난 똥댓글 달아놓고 아래 다른분도 지적하는데 혼자 인정안하고 내로남불 오져버렸죠
mpeg2는 h264와 압축율 차이를 설명하기위해 말한건데 왜 헛소리일까요?
자기도 실컷 비꽈놓고 예의범절 찾는것부터 무논리내로남불예의범절왕 나버렸죠?
양파폭탄
21/09/21 17:26
수정 아이콘
범 님//
잘못한거 쿨하게 인정한 게 아니라 그건 도저히 억지를 쓸 수 없는 명백한 잘못이니까요. 그냥 1+1=2를 틀린건데 이걸 어떻게 인정을 안하고 넘기겠습니까. 그 와중에 패배는 안했다고 하는게 그냥 억지죠.
본문 핀트와 다른 이야길 하는게 똥글이라는 명제는 애시당초 성립하질 않습니다. 지적한 사람도 님과 아랫분 2명밖에 없고요.
mpeg2 헛소리 진작에 다 반박해놨는데 코덱별 압축률 차이를 몰라서 제가 저렇게 썼다고 아직도 생각하시나보네요. 고비트레이트 이야기는 당연히 코덱이 달라지면 그만큼 보정해서 이야기를 진행하는 것이 당연한 것인데 거기에 대한 잡지식만 있으시니 그걸 가지고 지적할 생각이 드시는 거지요.
사실 매번 이렇게 이야기할것도 없습니다. 그냥 님이 저 링크를 근거랍시고 갖고온 것에서부터 대화가 성립하질 않아요. 기초중에 기초부터 안되시는건데 말입니다. 판에 올라설 최소한의 자격이 안되시는거에요.
참고로 댓글 계층이 깨졌기 때문에 댓글 더 다셔도 저한텐 알람이 오지 않으니 더 하고싶으시면 높은 계층의 댓글에다가 좀 제대로 된 내용으로 덤비시길 바라겠습니다.
21/09/21 18:26
수정 아이콘
양파폭탄 님// 근거도 못가져오면서 하루 지나고 댓글 또 다는게 구~질 구~질 하시네 생각하니까 부들부들 하시나봐요
애초에 처음부터 핀트 잘못 박아서 끝난거 놀아드렸더니 신나셨네 크크
네다음 무논리내로남불예의범절왕
척척석사
21/09/19 19:30
수정 아이콘
[720p면 충분하다] 이거 2010년대 초반에나 얘기 나오던 건데..
사실 비트레이트만 올리면 구분 안 되시는 건 개인한테는 어떻게 보면 좋은 겁니다. 굳이 비싼 돈 들일 필요 없는 거니까요. 문제는 그렇지 않은 남들이 너무 많다는 데에 있습니다..
양파폭탄
21/09/19 20: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농담하자면 192kbps 이상 고음질도 구분된다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휴대기기 수준에서 우리가 일상적으로 보는 [영상물]에 한해선 720p면 충분합니다. 문제는 720p로 서비스하는 사업자들이 720p 영상의 비트레이트를 지나치게 낮게해서 전송한다는 것에 있죠. 그래서 스트리밍 서비스 사용시 720p면 충분한가라는 질문에는 아니라 할 수 있겠네요. 다시 말하자면 해상도 문제 이전에 비트레이트 문제가 더 큰겁니다.
맥핑키
21/09/20 02:59
수정 아이콘
본문이 애시당초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이야기였는데
유튜브에 4k 원본 업로드하지 해상도별로 비트레이트 지가 맞춰서 하나하나 따로 업로드하는 사람 없습니다. 그럼 지들이 자동으로 해상도별 인코딩 새로해서 나눠 주잖아요.
그러니까 님이 처음 댓글 달 때부터 핀트가 어긋나 있었던 겁니다. 되게 무의미한 이야기를 한거죠
양파폭탄
21/09/20 03:37
수정 아이콘
본문에 핀트맞춰야 한다는 강제성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항상 하는 말이지만 인터넷에 댓글 쓰는거 자체가 별 의미가 없습니다. 그냥 하고 싶은 말 하는거죠.
21/09/20 03:47
수정 아이콘
여기서도 말장난 하죠 크크
양파폭탄
21/09/20 03:48
수정 아이콘
말장난은 님이 하시는거고요. 예의도 밥말아 드셨고.
21/09/20 03:51
수정 아이콘
뭘 또 이제와서 예의까지 크크 댁도 마찬가진건 잘 아시잖아요
양파폭탄
21/09/20 04:03
수정 아이콘
뭐 잘 모르시면 어쩔 수 없고요. 하던 글타래에서나 덤비세요. 이런데서 님 감정만 배설하는 댓글 달지 마시고.
21/09/20 04:09
수정 아이콘
양파폭탄 님// 제가 처음에 지적했던부분인데 다른분이 지적해도 님이 덤비시길래 저도 어이가없어서 크크
양파폭탄
21/09/20 04:13
수정 아이콘
범 님// 님이 지적했다고 마냥 옳은게 아니고요. 거기에도 제가 답변을 달아놨는데 이제와서 어이없다고 하는게 어이가 없는 부분이죠. 트집잡고 싶으셨으면 거기서 계속 물어뜯으시지 뭘 다른 사람 댓글타래에도 기웃거리십니까. 저는 이만 갑니다.
21/09/20 04:15
수정 아이콘
양파폭탄 님// 댁이 위에서 강제성도 없고 그냥 하고싶은말 하는거라면서요 님 논리대로 뭐가 문제죠? 크크
맥핑키
21/09/21 15:17
수정 아이콘
그건 님 생각이고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다른 사람들은 본문에서 한 이야기와 관련된 이야기를 댓글로 합니다.
본문이 A vs B 이런데 님 댓글은 "난 C요" 라고 하는거나 다름없고, 대체 무슨 이야길 하냐는 답에 "난 댓글 내 맘대로 다는거요" 라고 답하는 거에요.

님은 댓글을 하고싶은 이야기 하는거라고 생각하지만 대부분의 다른 사람들은 그걸로 소통을 하려 합니다. 님이 댓글 쓴 pgr21은 커뮤니티고, 커뮤니티가 뭐하는 건지 한 번 생각해보세요. 님이 하는건 요즘 사람들은 트위터라고 합니다
양파폭탄
21/09/21 17:18
수정 아이콘
제 원댓글 보세요. 그래도 480p는 선넘었다는 말 있죠? 본문에서 한 이야기과 관련된 이야기 한거 맞습니다. 또한 얼마든지 본문의 주제와 관련된 키워드 중에서 파생될 수 있는 것들로 주제를 확장할 수 있는 것이고요. 주제에 한정된 이야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생각들이 만나서 대화를 나누는게 커뮤니티의 의미입니다. 그리고 님이 저한테 댓글단 부분은, 척척석사님과 저의 대화에 대댓으로 단 것임을 잘 아실 겁니다. 제가 확장시킨 주제에 대해서 척척석사님은 님과 같은 태클을 단게 아니라, 그 내용으로 말씀을 한 것이고요. 이게 무슨 뜻인지는 세살 어린아이라도 알 수 있는 것입니다. 척척석사님은 제가 확장시킨 주제를 가지고 대화하는걸 동의한 사람, 님이 말하는 그 소통이란걸 한 사람이라는 뜻이죠. 거기다 대고 본문의 주제는 어쩌고 저쩌고 하는게 더 소통에 문제있다는 생각쯤은 해보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맥핑키
21/09/21 17:38
수정 아이콘
님 원댓글이 이상했으면 제가 거기에다 댓글을 달았겠죠?
그리고 제 댓글 달린 시점을 보세요. 무슨 대화의 확장 어쩌고를 하기 전입니다. 대댓글 하나일 때 단거에요.
처음엔 '그게 뭔 상관이냐 어차피 인터넷은 아무말이나 하는거다'라는 태도가 왜 갑자기 '관계 있는 이야기를 한거다, 주제를 확장한거다' 로 바뀐건지는 뭐... 그냥 넘어가 드리는데 그거 그냥 그렇다고 봐도 딱히 커뮤니케이션은 아닌 것 같은데요. 지식의 과잉 나열과 커뮤니케이션은 별 관계가 없습니다. 애초에 스트리밍 서비스가 눈으로 구분 못할 만큼 양질의 비트레이트를 사용해야 하는것 자체가 오류에요. 유튜브가 vp9코덱을 쓰는건 지들 스토리지 아낄려고 그러는게 아니라 스트리밍 기반의 서비스이기 때문입니다. 애초에 스트리밍은 최소한의 비트레이트로 쓸만한 화질을 얻는게 목표인데 이거 빼놓고 서비스 업자들 운운하고 사람들이 착각하고 있다는 말을 하면 안되죠.
님이 주로 나열한 지식은 인코딩 관련인데 그거랑 스트리밍 서비스는 연관은 좀 있지만 딱히 그 지식으로 인해 님의 주장이 참이 될만한 근거가 없어요. 다들 아는건데 관련이 없어서 별 말 없는것들을 길게 적으셨는데 그걸로 진짜 소통을 할 속셈이셨나요?
공항아저씨
21/09/19 17:44
수정 아이콘
환경까지만 읽고 내렸습니다. 친환경에 대한 문제를 고객에게 전도시키는 이상한 내용이네요. 사용자를 왜 거따 넣는지
CastorPollux
21/09/19 17:44
수정 아이콘
그러면 영상으로 찍지 말고 커뮤니티에 올리지..................
아이폰텐
21/09/19 17:44
수정 아이콘
그렇게 환경이 걱정되면 니들이 번 수익의 절반을 환경 보호 단체에 기부를해
21/09/19 17:46
수정 아이콘
순진한 츄 속이는 몰래카메라구나 했는데...
노래하는몽상가
21/09/19 17:48
수정 아이콘
아니 왜 스마트폰을 없애라 하지 그냥...열이많이난대잖아...
바카스
21/09/19 17:48
수정 아이콘
카트리나와 투아모리의 상관 관계군.
21/09/19 17:49
수정 아이콘
x소리 포장하느라 고생이 많네. 근데 포장지가 엉망이야.
가능성탐구자
21/09/19 17:52
수정 아이콘
어림도 없지 "장원영 꿀범 직캠 4K"
21/09/19 17:52
수정 아이콘
진심은 아니죠?
blacksmith01
21/09/19 17:56
수정 아이콘
다른 사람들은 몰라도 그린피스에 속해 있다는 분이 저런 얘길 한다는게 참...
21/09/19 17:56
수정 아이콘
츄가 그렇다면 그런겁니다 여러분
21/09/19 18:02
수정 아이콘
지구를 지킨게 아니라 사람이 뒈지기 싫어서 발버둥치는거란다
Locked_In
21/09/19 18:04
수정 아이콘
개소리말고 미국애들 분리수거나 시켜라...
대박났네
21/09/19 18:07
수정 아이콘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2&oid=055&aid=0000759019
자기들 주장을 위해서 이런 행동을 보란듯이 하는 단체 말씀 잘들었습니다
21/09/19 18:07
수정 아이콘
트래픽 비용 아끼려는 것 외에는 떠오르는 것이 없음..
미메시스
21/09/19 18: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뭐 기본적으로 틀린말은 아닌데 정말 미미한 영향 아닌가요
그냥 일인당 모바일1대 pc 모니터는 가정당 두대로 제한하는게 어떨지 크크크
폰지사기
21/09/19 18:11
수정 아이콘
480p로 보면 화나서 머리 열이 오르고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됩니다
Lightningol
21/09/19 18:11
수정 아이콘
1080이상 화질은 프리미엄만 볼 수 있게 하려나 크크
21/09/19 18:13
수정 아이콘
그렇게 심각한거면 아예 저화질로만 서비스 하든가...
세츠나
21/09/19 18:16
수정 아이콘
이게 개인의 선택으로 가면 정말 미미하지만 기본 설정을 저화질로 바꿔버린다거나 하는 방식이면 미미함을 살짝 벗어나는 영향 정도는 있을지도…
하르피온
21/09/19 18:31
수정 아이콘
주장하는분들 숨만안쉬면 엄청난절약이?
BibGourmand
21/09/19 18:33
수정 아이콘
어처구니가...
21/09/19 18:34
수정 아이콘
응 8k 걸그룹 뮤비 24시간 연속재생
어서오고
21/09/19 18:37
수정 아이콘
그럼 올리지마 이쒸
블레싱
21/09/19 18:54
수정 아이콘
콘텐츠도 왜 만들고 왜 업로드 하나요 생존을 위한 행위 이외의 모든 행위는 다 에너지 낭비인데...
크크크 챙겨보진 않아도 추천에 뜰때마다 재밌게 봤는데 저 내용은 악플마렵네요
유아린
21/09/19 19:01
수정 아이콘
어휴..
숨쉬는데 쓰는 공기와 먹는데 드는 쌀이아깝다
캬옹쉬바나
21/09/19 19:09
수정 아이콘
그냥 인류 멸망이 답이라고 해라 크크...
두나미스
21/09/19 19:09
수정 아이콘
뭐 그린피스가 하는 일과 논리가 늘 저런 식이죠.
별빛정원
21/09/19 19:14
수정 아이콘
응~ 8k 60프레임 hdr직캠 모바일(제한) 4k 로 볼꺼야!
화질 개쩔어! 눈호강 오진다!!!
할매순대국
21/09/19 19:37
수정 아이콘
선넘네 제정신인가
21/09/19 19:42
수정 아이콘
미국 중국 분리수거 단속 부터
21/09/19 19:49
수정 아이콘
영상찍지말고 jpg로 올려!
21/09/19 19:51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크 레전드네요..이게 K-그린피스다
12년째도피중
21/09/19 20:34
수정 아이콘
어떤 사고방식과 정치적 이유를 통해 나오게 된지는 대충 알것 같네요.
명분쌓기라 봐야죠.
로제타
21/09/19 20:48
수정 아이콘
아 저기서 화석연료라니 아... 구차하네요 크크
동굴곰
21/09/19 20:49
수정 아이콘
뭣하러 카메라는 여러대 가져다 놓고 찍나요. 영상 찍고싶으면 한대로 더 찍지.
태공망
21/09/19 20:50
수정 아이콘
이산화탄소까지 보고 내렸습니다.
고란고란
21/09/19 20:52
수정 아이콘
그렇게 환경을 생각하면 코인부터 채굴 못하게 하는 게 순서같은데.
외국어의 달인
21/09/19 22:15
수정 아이콘
애라이....
다빈치
21/09/19 23:01
수정 아이콘
그럼 업로드를 하지마 크크
Prilliance
21/09/19 23:51
수정 아이콘
유튜브한테 돈처먹었나 보네요 크크크크크
21/09/20 01:01
수정 아이콘
저거 하는 이유가 아마 자기들 회선 사용료 낮추려고 핑계대는걸겁니다. 위선의 극치라고 할 수 있죠
로드바이크
21/09/21 02:27
수정 아이콘
똥 싸고 앉아 있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433852 [유머] 한국판 저예산 코스프레 [8] 파랑파랑10305 21/09/19 10305
433851 [유머] 제이데커를 힘싸움에서 압도하는 부처님 [7] 나주꿀8514 21/09/19 8514
433850 [유머] 곤지암 근황 jpg [8] 청자켓9453 21/09/19 9453
433849 [기타] 입커누나의 제로투 댄스를 볼수 있다? [2] 노래하는몽상가12444 21/09/19 12444
433848 [기타] 테니스 포핸드를 배워보자 [17] 묻고 더블로 가!9332 21/09/19 9332
433847 [유머] [약혐]맥도날드와 상관없는 어느 일본 브랜드.jpg [7] 삭제됨11377 21/09/19 11377
433846 [서브컬쳐] (스포주의) 만화 더파이팅 최신 근황 [36] 노래하는몽상가24714 21/09/19 24714
433845 [유머] 유튜브를 고화질로 보면 안 되는.eu [101] KOS-MOS13958 21/09/19 13958
433843 [유머] 오싹오싹 국뽕 유튜브.jpg [21] KOS-MOS11013 21/09/19 11013
433842 [유머] 진화한 방송국 킹역수칙 준수.jpg [9] KOS-MOS10935 21/09/19 10935
433841 [기타]  전세계적으로도 보기 힘들다는 제주도의 기상현상 [7] 쁘띠도원10813 21/09/19 10813
433840 [유머] (후방주의?) 나무와 에폭시로 몸통 조각하기 [6] Ambael12039 21/09/19 12039
433839 [유머] 신호등이 최면어플.gif [12] 삭제됨11038 21/09/19 11038
433838 [스포츠] 롯데자이언츠 신인 윤동희 별명.JPG [1] insane7646 21/09/19 7646
433837 [기타] 돈벌려고 방송하는게 아니라는 로나로나땅.JPG [4] insane10962 21/09/19 10962
433836 [기타] 가디언으로부터 별 다섯 개 받은 플립 3, 폴드 3... [10] 우주전쟁9886 21/09/19 9886
433834 [유머] 울버햄튼 근황.MP4 [5] insane7012 21/09/19 7012
433833 [기타] 중국인들의 무관심이 지나치다던데 [1] 쁘띠도원8063 21/09/19 8063
433832 [기타] LG 전자 325인치 TV 출시 [23] VictoryFood9738 21/09/19 9738
433831 [기타] 주짓수 성기라 선수 인스타 스토리 [7] 물맛이좋아요8917 21/09/19 8917
433829 [유머] 오늘도 평화로운 용산 전자상가.jpg [20] VictoryFood10972 21/09/19 10972
433828 [유머] [한문철tv] 자강두천 : 택시 vs 택시 [7] Croove8752 21/09/19 8752
433827 [기타] 흔한 91%가 틀린다는 기본 상식 이야기甲. [41] 쁘띠도원12939 21/09/19 1293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