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시판
:: 이전 게시판
|
- 모두가 건전하게 즐길 수 있는 유머글을 올려주세요.
- 유게에서는 정치/종교 관련 등 논란성 글 및 개인 비방은 금지되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9/12 11:50
(수정됨) 장단이 있겠지만, 저는 좋은쪽을 좀더 크게 평가하고싶습니다.
공무원을 안정적인 밥줄때문에 한다고는해도 20대초반의 일욕심?은 고작 수년전 제나이일 뿐인데도 어떻게 그렇게했지? 생각할정도로 대단했거든요
21/09/12 11:51
원래 9급 시험 자체가 고졸이 응시할 수 있는 정도이긴 했죠 그게 맞다고 보구요
저런 식의 제도를 확대해서 우리나라의 학력 인플레를 좀 완화할수 있었으면 하네요
21/09/12 11:53
제 막연한 이미지로 9급은 불호네요
개인적으로 내가 저 직업을 하겠냐라는 의미에서 말이죠 남이사 20살에 하건 40살에 하건 상관없구요. 자기맘이죠
21/09/12 11:55
그래도 내년부터는 좀 달라질겁니다.
여태 사회 과학 수학이라는 과목 때문에 합격에 유리한 부분이 있었지만 저 과목들이 내년부터 없어지기 때문에 고등학생들만의 메리트가 없어졌어요. 이제 공무원 되려면 다른 사람들과 똑같이 행정학 행정법 공부해야 합니다.
21/09/12 11:56
지금 대학의 80%는 없어져야 할 학교들이라고 생각하는 입장에서는
좋은 방향이라 생각합니다. 나중 몇 년 근무후 업무나 전문성을 위해서 대학을 다시 진학하는 사람들도 나오고 그래야죠.. 정말 말이나양이나 다 대학가서 인서울 사무직만 바라보고 있으니..
21/09/12 12:01
갑자기 궁금해진건데... 공무원 근무중에 영장이 나오면 어떻게 처리가 되는건가요?
다녀오면 같은 자리에 다시 복직을 시켜주려나요?
21/09/12 12:03
고졸자의 공무원 시험은 환영하지만, 티오의 일부를 저렇게 할당하는건 반대합니다. 대졸이든 고졸이든 중졸이든 공정한 판에서 한다면야 매우 좋음
21/09/12 12:08
저기서 공채 시험 보는 고등학생들은 거의 없고 대부분 마이스터고 연계 지역인재 전형으로 쉽게 들어가는겁니다. 웃긴게 일반적인 인문계 고등학생들은 저 혜택 거의 못 받습니다.
21/09/12 12:26
특성화 고등학교 전형으로 들어온 기술직 공무원을 아는데 좋은 것 같더라고요. 97년생인데 8급 승진하고 군대 다녀오고 조금 있으니 7급 승진. 소수 직렬인데 사무관 이상 연령 분포를 보면 이분들 퇴직하고 나면 4급 승진까지는 충분히 가능해 보인다고 하네요. 동기들이 주로 30대 중반 정도인걸 감안하면...
21/09/12 13:10
강산이 몇번이 변했는데 9급 고졸수준 타령은 도대체 언제까지 나올건가 궁금하군요. 은행원들도 예전엔 죄다 상고나오면 취직하는곳이 은행이었는데 요새 그런얘긴 일절 안나오더만 9급 얘기만 나오면 그놈의 고졸타령은..
21/09/12 15:42
남들 성공한인생 배아파서 그러는거라고 생각하면됩니다.
물론 저게 전 성공한인생이라 생각하지 않지만(그냥 준수한인생이라 생각합니다)저걸 비아냥거리는건 그렇게밖에 생각들지 않더군요.
21/09/12 17:07
(수정됨) 요새 막상 해보면 9급도 어려운 일 많은데(민원인들이 똑똑해지고 행정수요가 복잡해져서...) 다들 동사무소에서 서류 떼주는 것만 생각하는 것 같더라고요.
걸핏하면 소송 걸리고, 판단 한번 잘못하면 난리나고, 국회에서 자료요구해대서 계속 관련법령 검토해야 하는데... 그리고 9급으로 시작해도 나중에는 5급, 4급 등 관리자까지 가는 경우도 많은데 조금이라도 더 똑똑한 사람이 들어오는 게 낫죠.
21/09/12 17:31
대학 진학 여부로 지능을 판단하는건 잘못된 것 같은데요
9급 붙을 정도로 수능 공부했으면 웬만한 대학은 갔겠죠 대학 나오고도 9급 못붙는 사람도 많은 것 같던데
21/09/12 13:39
일부 공기업에도 고졸공채 있죠. 그 중에는 철밥통 차고 구석에 숨어서 호봉 오르기만 기다리는 약은 자들도 없지 않지만, 대졸 취업경쟁에서도 이기고도 남았을 유능한 인재도 있죠. 개인적으로는 이렇게 여러 케이스가 뒤섞이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차별이 어려워지죠.
21/09/12 14:04
문제는 위에서 말하는 고졸 공무원은 특채를 말하는 거라서.... 애초에 공채에 고졸이 어떠한 패널티도 없는데 특채하는 거에 불만을 느끼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