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21/03/25 18:01:27
Name aurelius
File #1 JosephBorrel.JPG (64.2 KB), Download : 86
Subject [일반] [외교] 미국-EU 공동성명과 EU의 대중국정책? (수정됨)



다른 분께서 미국은 "양자택일을 강요하지 않겠다"고 소개하신 글이 있는데, 몇 가지 오해를 바로 잡아드리고자 본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왜냐하면 현재 유럽의 분위기는 전혀 다르거든요. 물론 당연히 경제관계를 무 자르듯이 바로 싹뚝하는 건 누구도 바라지 않는 것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경제만 바라보고 대중국 정책을 공조하지 않는다거나 하는 건 아닙니다.

여기에는 몇가지 배경이 있습니다. 중국 대사관이 트위터로 중국에 비판적인 프랑스의 중국 전문가를 실명으로 거론하면서 그를 욕설을 섞어가며 비난하였습니다. 마침 EU 차원의 인권제재안이 작성되고 있는 와중 터진 일이라 유럽 각계 전문가들의 공분을 사게 되었죠. 그리고 EU는 1989년 천안문 사태 이후 처음으로 신장 위구르 관련 대중국 제재안을 통과시켰습니다. 4명의 중국간부와 1개의 법인을 제재하는 것이 주요골자입니다. 이에 격분한 중국은 이에 맞서 10명의 유럽의회 의원들과 유럽 학자들을 제재하였고, 유럽의 싱크탱크를 제재하였습니다. 물론 중국이 딱히 제재할 수단은 없어 이들의 입국금지가 중국의 제제의 주요내용입니다. 

이와 같은 중국의 조치는 유럽의회 의원들 뿐만 아니라 유럽 주요국가들의 공분을 샀고, 프랑스의 경우 외교부 공식성명으로 중국을 비판했습니다. 또한 주프랑스 중국대사를 프랑스 외교부 건물로 소환해 강력히 항의했습니다. 

공교롭게도 같은 시기 미국 블링컨 국무장관이 유럽 브뤼셀에서 NATO 회의 및 EU 대표와의 회의를 가졌습니다. 
그리고 오늘 미국과 EU의 공동성명이 발표되었습니다. 

그 내용에서 핵심사항을 요약해서 소개해 드립니다. 

전문링크: 

https://www.state.gov/joint-statement-by-the-secretary-of-state-of-the-united-states-of-america-and-the-eu-high-representative-for-foreign-affairs-and-security-policy-vice-president-of-the-european-commission/

(1) 중국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미국-EU 양자대화 상설화"] 
- 중국이 의미하는 기회, 경쟁, 도전 등 모든 분야에 대한 논의 및 협력
- 상호주의, 경제, 인권, 안보, 다자주의, 기후변화 등 포함 

(2) 인도태평양에서 민주주의, 인권 증진 및 국제법 수호
- 이를 위해 미국-EU는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자유롭고 개방적인 해상의 보급로를 유지할 것이며 가치를 공유하는 (like minded countries) 국가들과 협력을 강화할 것임 

(3) JCPOA가 중요한 성과임을 인정하고, 이란의 핵문제 관련 깊은 협력할 것

(4) WHO에서의 미국-EU 협력을 강화하고, 코로나19 관련 대응에 협력할 것 

(5) 러시아의 위협 (우크라이나, 사이바공격, 군사적 행동 등)에 대해 공조하며, 대화 노력 지속할 것 

(6) 동지중해의 안정과 긴장완화 위해 함께 노력하며 터키에서 법치와 근원적 권리가 보장될 수 있도록 할 것

(7) 미국과 EU는 아프가니스탄의 장기적 안정과 번영을 위해 함께 협력할 것  

(8) 유럽의 국방 이니셔티브가 대서양안보와 미국과의 협력을 위해 기여하도록 할 것 


여기서 가장 흥미로운 것은 EU-US dialogue on China입니다. 중국에 대한 정책을 미국과 유럽이 조율하겠다는 것인데, 
유럽은 여기에서 얼만큼의 commitment를 보여줄 수 있을지 주목되는 부분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91098 [일반] [13] 발푸르기스의 밤과 핼러윈, 일년의 양 끝에서. [7] 오르카10462 21/03/27 10462 15
91097 [일반] 앞으로 한일간 갈등요인이 될 수 있는 유네스코 위안부 등재 문제 [56] 헤일로12230 21/03/27 12230 2
91094 [일반] 농심 창업주 신춘호 회장 별세 [30] Davi4ever12205 21/03/27 12205 2
91093 비밀글입니다 toheaven7747 21/03/27 7747 8
91092 [일반] 한국의 백신생산 능력에 관해 이것저것 알아본것 [78] 어강됴리17702 21/03/27 17702 8
91091 [일반] 역사왜곡(?)의 올바른 예시 '공주의 남자' [27] StayAway13141 21/03/27 13141 2
91090 [일반] [팝송] 핑크 스웨츠 새 앨범 "PINK PLANET" [2] 김치찌개8520 21/03/27 8520 3
91089 [일반] 1868년생 할머니와의 인터뷰.Youtube [16] 나주꿀11811 21/03/26 11811 7
91088 [일반] 코로나19 화이자 백신 2차 후기 [13] WOD12824 21/03/26 12824 28
91087 [일반] 엉엉 날 가져요! 고질라 vs 콩. 스포없음 [31] 메디락스9314 21/03/26 9314 3
91086 [일반] 피해자 진술만으로 유죄의 인정이 가능할까 [27] Lewis14642 21/03/26 14642 28
91084 [일반] [도서] 혼란스러운 천하, 트럼프와 중국의 외교전 [7] aurelius10994 21/03/26 10994 5
91083 [일반] 싱어게인 우승자 이승윤 앨범노래 3곡 리뷰 [14] 오빠언니11450 21/03/26 11450 5
91082 [일반] 사람은 지리기 직전에, 국가는 백신이 모자랄 때 본성이 나옵니다. [83] 나주꿀21458 21/03/26 21458 16
91081 [일반] 미군 "동해가 아니라 일본해가 맞다" [137] rclay21408 21/03/26 21408 1
91080 [일반] 나이키 H&M 중국내 불매운동 확산 [68] 맥스훼인17249 21/03/26 17249 4
91078 [일반] 취미 활동의 산물과 그 관련 이야기 [29] 아스라이10399 21/03/25 10399 20
91077 [일반] 내적갈등 [11] M270MLRS10196 21/03/25 10196 4
91076 [일반] '공정성, 지속가능성장의 조건' (유튜브 공개 학술 발표/토론) [8] 아난7763 21/03/25 7763 5
91075 [일반] 왜 기부 단체들은 폐쇄적인가? [38] 단비아빠12671 21/03/25 12671 6
91074 [일반] [외교] 미국-EU 공동성명과 EU의 대중국정책? [35] aurelius13235 21/03/25 13235 12
91073 [일반] <고질라 Vs. 콩> - 단단한 마무리(스포?) [47] aDayInTheLife10916 21/03/25 10916 3
91072 [일반] "동맹국에 미중 택일 강요 않겠다" [72] 러브어clock17052 21/03/25 17052 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