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hani.co.kr/arti/area/yeongnam/950545.html (부산 입항 러시아 선원 17명 ‘무더기 확진’…전자검역이 구멍)
http://www.knn.co.kr/209272 (2주 격리’ 없는 항만, 외국선원 도심 활보)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0062419284281162 (감천항 러시아 선원과 접촉자 수 ‘오락가락’)
22일 부산항 중 하나인 감천항에서 코로나 19 확진자가 17명 발생했습니다.
러시아 선박이 21일 오전 감천항에 입항했는데, 그 배의 원래 선장이 고열증세로 일주일 전 하선하였고, 22일 오전에 확진판정을 받았습니다. 당연히 선원들이 감염될 우려가 매우 높았죠. 22일 오후에 러시아에서 선장의 확진 소식을 들은 항만당국은, 검역소에 연락하여 검사를 하였습니다. 결과는
[21명의 선원 중 17명 확진]
하루 반나절 동안 감천항에 있었기 때문에 감천항의 하역노동자, 공무원 등과 접촉이 있어고 그들 또한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상황입니다.
그런데 밀접접촉자의 인원이 오락가락 합니다. 이 부분은 기사를 복붙합니다.
[24일 오전 부산시는 확진자 17명이 나온 감천항 러시아 선박 2척과 접촉한 접촉자 수가 211명이라고 발표했다. 코로나 음성 판정을 받은 아이스 스트림호 선원 5명과 아이스 크리스탈호 선원 20명을 제외한 접촉자 150명에다, 24일 추가 역학조사 끝에 아이스 크리스탈호에서 작업한 61명이 추가됐다. 지난 18일 입항한 이 배 선원들과 접촉한 전체 인원이다. 하지만 이 61명 중 47명은 24일 오후 2시 부산시 브리핑 때까지 연락 두절 상태였다. 이 중 일부는 정확한 신원과 연락처조차 파악하지 못했다고 부산시는 설명했다.
국립부산검역소 관계자는 24일 오후 4시께 “배에 올라 하역 작업을 한 항운노조 조합원 63명 외에 현재까지 61명이 추가로 크리스탈호와 접촉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며 “정확한 신원이 파악된 14명에 대해서는 자가격리하라고 통보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2시간 뒤인 이날 오후 6시, 검역소는 아이스 크리스탈호 추가 접촉자는 61명이 아니라 14명이라고 긴급 수정 공지했다. 처음 발표한 61명에서 연락이 닿지 않는 47명을 접촉자에서 제외한 것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오전 10시 자료를 낸 지 8시간 만에 “47명은 접촉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해 검역소가 접촉자 통계를 수정했다”고 돌연 입장을 바꿨다. 부산시 홈페이지 등의 통계도 긴급히 수정됐다.]
이상하게 연락이 닿지 않았던 47명이 중복 집계되었다는 겁니다. 언론에서도 이 부분을 의심하고 있습니다.
더 큰 문제가 있습니다.
부산항에 입항하는 배 중에서 중국, 홍콩, 마카오, 이탈리아, 이란 국적의 선박만 승선검사를 했다는 점입니다. 나머지 국가의 선박은 자가격리앱을 설치해 증상유무를
[자가진단]하고 배에서 내릴 수 있습니다. 러시아는 현재 코로나19 확진자수 세계 3위의 국가인데 이런 러시아 선박을 승선검사 안했다는게 정말 어이가 없는 일입니다. 게다가 선원이 며칠동안 배에서 고생하다가 내리면 뭐하겠습니까? 부산을 돌아다니면서 돌아갈때까지 노는거죠.
부산항은 세계 5위 항만이고 한국에 들어오는 물동량의 70%를 소화하는 곳입니다. 입항하는 선박은 작년 기준 3만 5천대 정도 됩니다. 작은 배는 선원이 수십명, 큰 배는 수백명이 타는데 여기에 3만 5천을 곱하면 부산에 들어오는 선원이 도대체 몇명이나 될지 감도 안잡히는 수준입니다. 또한, 부산항은 한군데만 있는게 아니라 감천항을 포함해서 총 6개가 있는데, 세계 5위라는 규모에 걸맞게 하나 하나의 항만이 엄청나게 큽니다. 사실상 해수욕장을 제외한 나머지 해안선을 대부분 항만이 차지하고 있다고 뵈도 무리가 없을 정도입니다. 이 말인즉슨 부산의 광범위한 지역에 해외 선원들이 흩어진다는 뜻입니다. 코로나 검사도 받지 않고 말이죠!
저도 여태 K 방역에 대해서 국뽕을 좀 맞고 있었는데, 집에서 가까운 지역에 이렇게 큰 구멍이 있을 줄은 상상도 못했습니다. 해수부와 항만당국, 그리고 방역당국은 미흡함을 인정하며 보완하겠다고 합니다.
정부에서는 이제부터 모든 국적 선박에 대해서 승선검사를 하겠다고 했는데, 장비도 인원도 매우 부족한 실정입니다. 어떻게 해낼 수 있을지 걱정이 듭니다.
--------------------------------
추가하자면 밀접접촉자는 현재 30여명 정도 검사했고 아직 확진은 없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건 부산항에만 해당되는게 아닙니다. 전국의 모든 항만이 똑같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