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6/28 22:10:34
Name 박진호
File #1 IMG_0125.jpg (854.1 KB), Download : 84
Subject [일반] 생명과학이 잉태한 공포의 아이 태어났다. (영화리뷰) (수정됨)


손으로 그린 포스터에요.
왜 포스터를 그리냐고 물으신다면
아이패드 프로 3세대와 아이팬슬 2세대 산게 아까워서라고..
(원본 https://movie.naver.com/movie/bi/mi/photoViewPopup.nhn?movieCode=172420)

이 영화는 오프닝이 아주 멋있어요.
커다란 집의 방에 미니어쳐가 있어요. 그 미니어쳐 집의 침대가 있는 방을 클로즈 업하면서 시작해요.
주인공은 두 아이의 엄마 애니에요. 아들과 딸이 있죠.
애니의 엄마는 대학 생명공학과 교수에요. 포유류의 유전체계를 통해 신경기억단백질이 어떻게 후손으로 전달되나를 연구하죠.
하지만 영화의 초반에 애나의 엄마는 죽어요.
장례식이 치러지고 애니는 엄마는 미스테리한 존재였고, 알 수 없는 모임과 의식을 치루는 분이었다고, 하지만 사랑했다고 얘기하죠.

그 후로 영화는 중반까지 애니의 딸 찰리를 따라가요. 찰리는 할머니의 유독 많은 집착과 관심을 가졌다고 해요.
심지어 할머니가 젖을 물리려고까지 했어요.
찰리는 특이한 행동을 계속해요. 어릴 때부터 계속 있었던 행동이라고 합니다.
태어났을 때 부터 울지도 않았다고 해요. 혀를 치는 소리를 내는 틱도 있어요.
맞아요. 할머니는 자신의 연구한 어떤 성과를 애니의 딸 찰리에게 시도한거죠.
영화는 윤리를 벗어난 과학의 광기와 죽음에 대한 공포, 영생에 대한 인간의 욕망을 끊임없이 탐구합니다....

라고 예상하고 저는 이 영화를 봤는데,
아차차 전혀 그런 내용이 아니었어요. 과학의 과도 안나와요. 할머니도 과학자 아니에요. 애니도 아니에요. 애니 남편도 아니에요.
그러니까 현미경으로 수정세포를 보고 DNA가 막 합성되고 과학자들이 뭘 연구해서 괴물이 태어나고 그런 영화가 아니라는 것이죠.
당연히 사우디에서 석유 파내면서 일어나는 공포영화도 아니에요.(포스터에 나오는 사람들이 죄다 석유 뒤집어 쓴것처럼 시꺼매서)

이 영화는 바로 오컬트 무비였던 것이죠.
집에서 유령이 나오고 막 시체가 나오고 그런 주인공 애니가 공포에 떨고 히스테리를 부리는 그런 무서운 영화였던 것이에요.

이 영화는 영화를 집중하지 못하고 딴짓하면서 보는 저에게는 어려운 영화였어요.
왜냐면 복선도 많고 장면 장면마다 상징하는게 많은 영화였던 것이죠.
물론 영화를 다보고 해석을 본 다음에야 알게 되었답니다.
그래서 영화를 잘 보시는 분들에게 이 영화를 추천드려요.

번역가가 번역작기하다 기겁했다는 광고같은 썰이 있는데
영화 자체는 그렇게 무섭지 않아요. 잔인한 장면이 몇몇 나오는데요. 오컬트 무비 특성상 우아아! 아아악!의 공포가 아니라
스멀스멀 음산음산 하다가 뜨억 하는 느낌의 공포에요.

오컬트 무비로 최근 작중 손에 꼽을 수작이라고 전문가들이 평하기도하고
영화가 영화적으로 풍성하다고 하니 성의있게 영화를 보시는 분들에게 추천드려요.

3대를 걸쳐 유전되는 가문의 비밀, 오컬트 무비의 진수, 귀엽고 연기를 잘하는 찰리가 나오는 영화
유전.
안 볼 이유가 있나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及時雨
19/06/28 22:15
수정 아이콘
아니 왤케 잘그리세요 당황스럽게 크크크크
감독 신작인 미드소마 평가가 아주 좋아서 기대 중입니다
콰트로치즈와퍼
19/06/28 22:21
수정 아이콘
마지막 하이라이트 장면이 진짜 후덜덜한 영화.
19/06/28 22:41
수정 아이콘
느낌있네요
19/06/28 22:43
수정 아이콘
찰리가 할머니일 줄 알았는데..
너무 뻔한가요?
19/06/28 23:33
수정 아이콘
영화 본 적은 없는데 본문대로라면 찰리랑 할머니가 동시간대에 존재한거 같은데 같을 수 있나요?
19/07/02 22:41
수정 아이콘
헐.. 케이블티비에서 하길래 봤는데..
제목에서 느껴지는 사이언스픽션스러움은 눈꼽만큼도 없구만요.
오멘이나 엑소시스트 생각하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19/06/28 23:01
수정 아이콘
미국판 곡성쯤 되는거 같네요.
영화 바탕의 미국정서를 모르면 영화자체의 이해가 좀 힘들수 있습니다.
저도 그냥 잔잔히 보다가 막판 한장면에서만 으헉 했네요
19/06/28 23:34
수정 아이콘
안 볼 이유: 무서움 ㅠㅠ
안프로
19/06/29 00:14
수정 아이콘
지난 방구석1열 나왔는데 여러가지 해석들 설명해주는데 재밌더군요
하지만 전 무서워서 절대 못보는 류...
19/06/29 01:36
수정 아이콘
먼저 소개해주신 영화보다 봐야할 이유가 약하긴하네요. 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1743 [일반] 수영 400일 후기 [97] zzzzz18913 19/07/09 18913 17
81742 [일반] [9]시청자 한 명의 게임 스트리머 [30] Dunn9327 19/07/09 9327 32
81741 [일반] 일본 불매를 선동해 보는 글 [327] 녹차김밥17121 19/07/09 17121 31
81739 [일반] 성매매 안 하는 남자를 찾아서 [294] 삭제됨22899 19/07/09 22899 22
81738 [일반] 감수성과 통찰 [3] 서양겨자4853 19/07/09 4853 4
81737 [일반] [단상] 나혜석, 그녀를 이제서야 발견했습니다. [20] aurelius8906 19/07/09 8906 2
81736 [일반] 캣맘에 대한 푸념 [81] 밝음의전설11676 19/07/09 11676 24
81735 [일반] [팝송] 마크 론슨 새 앨범 "Late Night Feelings" [1] 김치찌개5114 19/07/09 5114 0
81734 [일반] 오랜만에 고급 치과치료 2시간 받은 후기 [30] 라이츄백만볼트9227 19/07/08 9227 4
81733 [일반] 자실시도 이야기 여담 및 정신병원 이야기 [56] 界塚伊奈帆13023 19/07/08 13023 9
81732 [일반] 군대밥은 왜 맛없을까? [107] reionel13436 19/07/08 13436 13
81731 [일반] [FT] 푸틴과의 90분 단독 인터뷰 [24] aurelius11592 19/07/08 11592 5
81730 [일반] 자살시도. 그 이후 이야기 [29] 界塚伊奈帆9939 19/07/08 9939 13
81729 [정치] 일본 최신 방사능 수치 개인 실측(유튜브) [41] 가라한14612 19/07/08 14612 3
81728 [일반] 김성준 SBS 前 앵커, 지하철서 여성 몰카 찍다 입건 [174] 마빠이22638 19/07/08 22638 5
81727 [정치] 일본 여론조사로 보는 현 일본의 주류인식 [65] 지부릴12558 19/07/08 12558 5
81726 [일반] AMD ryzen 3세대 잘나왔습니다. 다만 아쉽습니다. [45] 키토11623 19/07/08 11623 2
81725 [일반] [혐오] LG 건조기 콘덴서 자동세척 시스템에 심각한 문제가 있네요. [44] B와D사이의C21710 19/07/08 21710 0
81724 [일반] 자살시도 이야기 [110] 界塚伊奈帆21993 19/07/07 21993 10
81723 [일반] 마흔, 체지방29%에서 12%까지.. [47] 도뿔이18756 19/07/07 18756 45
81722 [일반] 카프카 단편집을 읽고 [5] chldkrdmlwodkd5270 19/07/07 5270 0
81720 [일반] [극혐/분노주의] 베트남 이주 여성 무차별 폭행 영상 유포…경찰 수사 착수 [87] swear14996 19/07/07 14996 3
81719 [일반] 답이 없다. [16] 코비 브라이언트8727 19/07/07 8727 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