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9/06/06 09:52:55
Name goEngland
Subject [일반] 앞으로 중소 제약 업계에 많은 변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수정됨)
식약처가 '제네릭 의약품의 관리방안(국제일반명(INN) 등) 마련을 위한 연구'에 대한 연구용역을 추진한다고 합니다.

이게 무슨말인가 하면
흔히들 많이 쓰는 스테로이드 제제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프레디정 이란 약은
[메틸프레드니솔론] 이란 스테로이드 제제로 다 방면으로 외래에서 많이 쓰는 약입니다.

이 약이랑 같은 성분 같은 함량인 약들은
-> 프레디솔
-> 피디원
-> 휴메칠정
-> 엠디정 등등 각기 이름은 상이하지만 모두 생동시험을 거친 동일 효능 약들입니다.

그래서 매번 다른 병원을 가면 상품명으로 처방이 나오기 때문에  무슨약인지 구분하려면 네이버 검색을 해봐야했죠.

그 결과 식약처에서 INN 도입을 검토해보겠다고 합니다.

이 말이 무엇이냐고 하면 앞으로 처방전에
프레디정이라고 표시되지 않고

회사 -- 성분 으로 표시가 됩니다.

프레디정 -> 바이넥스-메틸프레드니솔론
피디원정 -> 대원제약-메틸프레드니솔론
휴메칠정 -> 휴온스 - 메틸프레드니솔론
엠디정 -> 에스에스팜 - 메틸프레드니솔론
메피솔론정 -> 동국제약 - 메틸프레드니솔론

이런식으로 표시된다는 말이죠. 내가 먹는약의 회사와 성분이 한눈에 볼 수 있게 됩니다.

제네릭 의약품으로 먹고 사는 중소 제약회사의 경우 타격이 불가피 할 것으로 보이구요.
이름있는 유한양행이나 녹십자등 상위 제약사는 반사 이익을 누릴 것으로 보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두지모
19/06/06 09:58
수정 아이콘
환자들은 자기가 어떤회사의 약을 복용하는지 알게되겠죠. 전 찬성입니다.
goEngland
19/06/06 14:09
수정 아이콘
옙 당연히 될 것 같은 사안이긴 합니다
겜돌이
19/06/06 10:00
수정 아이콘
저도 이 방향이 더 합리적이라곤 생각하는데 본문대로 중소제약회사들이 좀 타격을 받긴 하겠네요.
goEngland
19/06/06 14:10
수정 아이콘
옙 대다수가 아마 합리적이라 볼 것 같습니다
NoGainNoPain
19/06/06 10:03
수정 아이콘
구매자가 성분명을 정확히 알아야 한다는게 주 목적이라면 약품명-성분으로 해도 충분하다고 봅니다.
굳이 회사-성분으로 할 필요가 없죠.
Tengo hambre
19/06/06 10:03
수정 아이콘
그동안 브랜드네이밍에 마케팅비 부은 회사들 눈물나겠네요..
곽철용
19/06/06 10:06
수정 아이콘
합리적이긴 하네요. 휩쓸려갈 회사들은 안타깝지만
러블세가족
19/06/06 10:12
수정 아이콘
약품명 보는 재미도 있었는데.. 아쉽네요. 누리그라...?
19/06/06 10:13
수정 아이콘
상당한 변화가 있겠네요.
대신 중소제약회사들이 제네릭 경쟁 하면서 약값이 떨어진 부분도 있었는데
대형 제약회사들이 다시 대세가 되면 이런 제네릭 경쟁이 좀 줄어들까 싶은 마음이 드네요
goEngland
19/06/06 10:36
수정 아이콘
말씀처럼 약값 문제의 경우 부정적인 효과가 날 가능성이 커보이네요
MissNothing
19/06/06 21:02
수정 아이콘
오히려 약값은 더 떨어지지 않을까요?
이름만으로 동일 성분이란걸 알수있으면 싼걸 사겟죠
우려하는건 같은 가격이나 브랜드 파워가 작용할만한 가격 선에서는 역시 대기업이 유리할 것 같지만, 그걸 감안하더라도 전체적인 약값은 떨어질걸로 보입니다.
반다비07
19/06/06 10:17
수정 아이콘
(수정됨) 회사명/이름은 나오고, 약제명을 어떻게 표시할지 등을 연구용역 시켜서 어떻게 할지 검토하겠다는거겠죠.
정책도입단계는 아닌 것 같은데 본인의 생각인지 아닌지 뉴스/보도자료 배포해서 공표한 정확한 사실인지를 명확히 해주셔야 합니다.
이거랑 비슷한게 국회의원이 법 발의한 것 자체로 세상이 바뀌니 뭐니 하는 댓글이 많이 달리는 사례를 여기서도 많이 본지라...
화염투척사
19/06/06 10:22
수정 아이콘
저도 제목보고 본문 대충 읽었더니 도입한다는건가 했는데, 댓글보고 다시 보니 연구용역을 이제 추진하는거군요.
goEngland
19/06/06 10:28
수정 아이콘
넵 맞습니다.
http://medipana.com/news/news_viewer.asp?NewsNum=241097&MainKind=A&NewsKind=5&vCount=12&vKind=1

INN은 어차피 선진국화로 가면 언젠간 될 것이라고 보이긴 하지만. 아직 연구 용역 단계이니, 섣부른 판단은 하면 안되겠죠.
19/06/06 10:18
수정 아이콘
특정 중소 제약회사로 여러약 한번에 쭈르륵 처방하는걸 막고싶나보네요
저대로 시행되면 제약회사 브랜드광고가 갑자기 늘겠군요. 광고업계 개꿀
goEngland
19/06/06 10:35
수정 아이콘
만약 시행 된다면 말씀처럼, 특정 마이너 회사의 일렬 처방은 없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로드바이크
19/06/06 10:21
수정 아이콘
이렇게 하면 약국에서 파는 약 포장은 상품명일테고, 환자는 상품명으로 말하고, 의사는 제약회사와 성분명으로 말해서 의사소통이 좀 힘들지 않을까요? 물론 처방전을 가져갈 경우에는 의사가 이해하기 더 쉽겠지만요.
goEngland
19/06/06 10:34
수정 아이콘
아마 포장도 변하지 않을까 합니다.
인간흑인대머리남캐
19/06/06 10:25
수정 아이콘
연구용역 추진하는 걸로는 피바람이 불지 않죵
goEngland
19/06/06 10:29
수정 아이콘
옙 맞습니다. 연구용역 단계지만 시행될 가능성이 높아보여서, 미리 정보 제공 차원이었습니다!
스칼렛
19/06/06 10:30
수정 아이콘
저기까지만 하면 편하고 좋겠네요. 늘 그렇듯 당사자들과의 의견교환 없이 성분명 처방이나 대체조제를 밀어붙이기 위한 징검다리일까 걱정이지...
goEngland
19/06/06 10:40
수정 아이콘
네 맞습니다. 정부에서 당사자들과 잘 협의하에. 선진 시스템으로 진통없이 교체 되야겠죠.
그린우드
19/06/06 11:30
수정 아이콘
약이름 제대로 보는 사람 거의 없는데 큰 의미는 없을거 같은데요. 다만 사고 한번이 크게 터져서 회사 브랜드가 극악으로 가버리면 그때는 사람들이 보고 거를테니 문제가 되긴 하겠죠.
goEngland
19/06/06 13:00
수정 아이콘
제 생각에도, 단순 감기나 경질환의 약은 보는 사람이 거의 없지만, 중요도 높은 약들은 분명 영향이 있을거라 봅니다.
김유라
19/06/06 12:24
수정 아이콘
잘 이해가 안가서 그런데, 중소바이오회사에 타격이 가는 이유가 정확히 무엇인가요?

회사명과 의약품명이 전부 공개되니 같은 의약품이라면 신뢰성 높은 대기업의 의약품을 구매하는 그런 이유인건가요?
goEngland
19/06/06 12:57
수정 아이콘
대부분 평생 복용하게 되는 만성질환 의약품의 경우,
환자들이 오리지널 & 상위 제약사를 선호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일전에 있었던 고혈압 약 파동(일명 발사르탄 사태)에서, 많은 제약회사가 생산한 발사르탄성분에서 문제 성분이 검출되어 환불 소동이 일어났지만

노바티스사의 발사르탄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오리지날 의약품]인 디오반정, 코디오반정, 엑스포지정은 문제가 없었다는 점도 이유가 될 수 있겠죠.
기록가
19/06/06 13:29
수정 아이콘
약사와 의사간의 알력 다툼이 또 본격화되겠네요.
19/06/06 13:43
수정 아이콘
성분명 처방이 의무화되면 모를까 그냥 단지 처방전이랑 약봉지에 제조사+성분명 병기 건만 가지고는 알력다툼이 생길 여지는 별로 없습니다
(전산을 바꿔야 해서 병원이나 약국 경영진쪽에서 정부측에 살짝 짜증낼 수는 있겠지만요)
기록가
19/06/06 13:50
수정 아이콘
음...의사협회랑 약사회 inn관련 성명서만 봐도 입장충돌이 나오는데 별거 아닌건가요?
3.141592
19/06/06 14:10
수정 아이콘
현직자 입장에서 말씀드리면 당장의 일만 보면 모든 약사에겐 얻을게 거의 없습니다. 약품관리 좀 쉬워지고 조제오류 적어지는 정도죠. 다만 약사 직능이라는 입장에서 성분명으로 약품을 인식하게 되는것이 장기적으로 좋은 영향이 있습니다. 약사회에서는 국제일반명 도입->제네릭 대체조제 활성화 같은 수순으로 생각하여 추진하는 일인듯 한데 글쎄요.. 대체조제율 낮은것은 국제일반명 도입과 큰 상관은 없습니다. 조금 높히긴 하겠지만..
걍 무난한 제약회사 약 처방하는 대부분의 의사에겐 잃을게 많지 않습니다. GMP따윈 가라로 서류만 채우는 어디 잘 들어보지도 못한 제약사한테 리베이트받아서 배 채우는 소수의 의사에겐 잃을게 엄청납니다. 병원에 갔는데 평생 처음 들어보고 검색해도 잘 나오지도 않는 회사 제품으로만 위장약 두세개 기본으로 깔고 처방전에 잡다한 의약품 열개쯤 쓰는 의사라면 현 제도 하에선 아무도 모르겠지만 바뀌면 바로 알겠죠.
제약회사 입장에선 메이저는 얻을게 좀 있고 (리베이트 전문약 위주의)마이너는 잃을게 많습니다.
제 생각에는 환자에겐 그냥 좋은 제도입니다.
기록가
19/06/06 17:56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많은걸 알게됐네요!
19/06/06 14:28
수정 아이콘
네 제가 서두에 적었듯이 그 `입장 충돌`이라는게 성분명 처방을 전제로 이러쿵저러쿵 하는 이야기라서요
그 때는 진짜 시끄러워지겠지만, 그냥 저기서 멈춰버리면 더 지지고 볶을 것도 없습니다
기록가
19/06/06 17:57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흑태자
19/06/06 18:52
수정 아이콘
지금이 비정상이고 비정상을 정상화하는거죠.
약값은 어차피 경쟁으로 누르는거 보다 정책적으로 후려치는거기 때문에 상관없습니다
참돔회
19/06/06 19:37
수정 아이콘
좋은 제도라 생각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1447 [일반] 너를 보내며 [8] 의지박약킹 5862 19/06/10 5862 5
81446 [일반] 내가 갔던 맛집들이 망했던 이유.TXT [45] Neo14559 19/06/10 14559 3
81444 [일반] 세상 만사 덧없음 속에서 찾는 평온 : 창령사터 오백나한전 [8] 감모여재4962 19/06/10 4962 6
81443 [일반] 대한민국의 토니스타크인 당신이 어느날 갑자기 세종대왕 시대로 간다면? [93] 시간12548 19/06/10 12548 4
81442 [일반] [여행기] 샤를마뉴의 수도 아헨 [10] aurelius6694 19/06/09 6694 7
81441 [일반] 개인적으로 느끼는 한국 보수의 스펙트럼 (1) [96] Danial15779 19/06/09 15779 41
81440 [일반] <인터넷으로 마약을 파는 법> 인터넷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5] 일각여삼추10022 19/06/09 10022 1
81439 [일반] 인구절벽앞에 쪼그라든 대학진학률… “3년내 38곳 폐교” [69] 군디츠마라15405 19/06/09 15405 5
81438 [일반] 아이폰(7,xs)에서 갤럭시(s10e)로 넘어온 후기 [27] 푸끆이13738 19/06/09 13738 4
81437 [일반] 흑인 사무라이, 야스케 이야기. [11] 及時雨12437 19/06/09 12437 9
81436 [일반] 그래,차라리 하렘이면 이렇게 막나가길!-트러블 다크니스 [18] chldkrdmlwodkd7572 19/06/09 7572 3
81435 [일반] 영화 '기생충'을 보고 되살아난 지하집의 악몽 [17] 청자켓10844 19/06/09 10844 17
81434 [일반] [토막MLB] 교체 선수 단일경기 최다 홈런은? [9] skatterbrain5763 19/06/09 5763 1
81433 [일반] 나는 내주변피셜을 믿는다 [21] 삭제됨10032 19/06/09 10032 10
81432 [일반] 최근 며칠간 이어진 고위공직자들의 몰카 러시 뉴스모음 [175] 괄하이드15996 19/06/09 15996 16
81431 [일반] 국민 체크카드(신규카드,발급중단카드,이벤트)이야기 [8] style10544 19/06/09 10544 2
81430 [일반] 2019년도 고2 6월 모의고사 수리 가형 30번 오류 [31] 물맛이좋아요18417 19/06/09 18417 4
81429 [일반] 수능 6개월이 지난 후의 피드백 [9] 포제9172 19/06/08 9172 33
81428 [일반] 예술가의 사생활과 작품에 관해서 [59] chldkrdmlwodkd11024 19/06/08 11024 2
81427 [일반] 문대통령이 현충일에 언급했어야 할 분들 - 김홍일, 지청천 [84] 10213960 19/06/08 13960 59
81426 [일반] (스포) 엑스맨의 시리즈의 피날레로 보기에 너무 아쉬웠던 피닉스 [32] 삭제됨7561 19/06/08 7561 1
81425 [일반] 고전영화 감상문 [12] chldkrdmlwodkd6100 19/06/08 6100 2
81424 [일반] 검증이 필요한 현 정부의 역사관. [389] HVN19489 19/06/08 19489 7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