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11/03 10:34:14
Name aurelius
Subject [일반] [역사] 중국 원조 슈퍼리치, 오병감을 아시나요?

19세기는 중국 역사에서 치욕의 세기라고 불리는 100년이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줄 알았던 대청제국이 서구열강에게 야금야금 뜯기는 시대였죠.

그런데 그러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잘 나가는 사람들은 잘나갔고,

아니, 정말 경악스러울 정도로 잘 나갔습니다. 

물론 정부 관리들이나 사대부들 입장에서는 아주 암흑의 시기였지만

당시 민간에서는 상상을 초월하는 부를 획득한 이들이 있었으니...


그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오병감(伍秉鑒)'이라는 사람입니다. 

(1769 – 1843)

Howqua, 1830.jpg

오병감에게 고용된 영국인 화가 조지 치너리의 유화, 1830년작 


오병감은 행상으로, 당시 청나라 정부가 허가를 해준 공식 독점 상인이었는데요, 오직 이들만이 서양 상인들과 무역하는 것을 허락받았습니다. 청나라에는 총 13개의 행상들이 존재했고 이들은 서양에서 물건을 들여와 중국에서 팔고, 또 중국에서 물건을 사서 서양인들에게 판매를 하던 쉽게 표현을 하자면 중개무역상이었습니다.


오병감은 본인 스스로가 상업에 대한 감각이 뛰어나서 그런지 영국의 상인들과 교류하면서 정말 막대한 이윤을 냅니다. 중국 내륙에 대해서도 다양한 네트워크를 보유했으며, 이를 통해 서양인들이 그토록 원하던 신선한 '차'와 세련된 '도자기'를 공급했으며 서양인으로부터는 온갖 종류의 시계나 액세사리 등을 구입했지요. 하지만 서양인들이 수요가 훨씬 높았으므로, 오병감은 막대한 이득을 챙길 수 있었습니다. 그저 차와 도자기만 열심히 판매하면 되었으니까요. 


전성기 때 그가 당장 보유한 '현금'만 해도 2600만 은원으로, 대청제국의 연간 수입의 절반에 해당하는 막대한 액수였다고 합니다. 당시 미국 최고 부자의 재산이 700만 은원이었다고 하는데, 오병감의 부가 어느 정도였는지 짐작할 수 있죠. 


그는 영국 동인도회사의 최대 채권자였으며, 미국의 철도건설에 투자하기도 했고, 구미의 여러 보험회사에 투자하기도 했습니다. (당대 동아시아의 그 어떤 동양인도 그와 같은 스케일의 투자나 경영을 한 적은 없었습니다, 아니 사실 서양인도...)


보스턴 출신의 한 미국 상인은 그와 함께 사업을 하다가 7만 달러의 채무를 지게 되어 고국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었는데, 오병감은 그의 딱한 사정을 듣고 그 자리에서 채무증을 찢어버리고 더 이상의 채무는 없다고 선포하는 대인배 기질을 보여준 적도 있습니다.


한 가지 흥미로운 일화는 오병감이 아들처럼 아낀 젊은 미국인 풋내기에 대한 것인데, 그는 다름 아닌 포브스 가문의 원조, 존 머레이 포브스였습니다. 그는 오병감 밑에서 장사를 배우고, 중국 무역에서 큰 돈을 벌었습니다. 그리고 이 때 번 돈을 가지고 미국으로 돌아와 훗날 "철도왕"이라고 불리게 되는 기반을 쌓을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중국은 당대 최악의 혼란기를 맞이하고 있었고, 결국 아편전쟁까지 터지면서 무역을 하기에 좋은 환경이 되지 못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병감은 특유의 대인배 기질을 발휘하여 아편전쟁 배상금을 위해 100만 은원을 군말 없이 기부하고 (이는 전쟁배상금의 1/3에 달하는 액수였습니다!!), 무역특권을 보호받기 위해 조정에 많은 기부금도 내었습니다.  


그러나 아편전쟁으로 중국의 행상제도는 폐지가 되었고, 오병감의 독점적 지위도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또한 그는 서양인들과도 가깝고, 너무 큰 부자였기에 조정으로부터 불신을 사게 되고 또 그를 시기하는 사람도 많았기에 결국 국가의 간섭과 경쟁자들의 음모로 몰락하게 되었지요.


당시 세계 최대의 부호 오병감, 미국의 제일 가는 부자보다 훨씬 부유했고 영국, 미국, 인도 등지에서도 다양한 사업파트너를 보유했던 대상인. 


19세기 중국이 자본주의 세계체제를 온전히 받아들이고 발전시켰다면...

19세기 말 중국의 모습은 지금과는 전혀 달랐을지도 모르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4439 [일반] [가상화폐] 비트코인캐쉬를 추천해 드렸던 이유 [163] Remastered15344 17/11/03 15344 5
74438 [일반] 맛집의 추억.. [4] 카미트리아5152 17/11/03 5152 2
74437 [일반] PGR 맛집 공유 프로젝트(수정_상호가림제거) [105] 원스28476 17/11/03 28476 21
74436 [일반] 차기 대선 후보 지지에 대한 고민 [115] NCS11847 17/11/03 11847 2
74435 [일반] '백제왕성' 풍납토성 복원 길 열리나…법원 "사업인정고시 적법" [7] Marcion6826 17/11/03 6826 0
74434 [일반] [역사] 중국 원조 슈퍼리치, 오병감을 아시나요? [11] aurelius13282 17/11/03 13282 2
74433 [일반] 삼성 미래전략실이 화이트리스트 작성을 주도했다는 보도 [18] 곰주9965 17/11/03 9965 3
74432 [일반] [책추천] 살로니카, 유령들의 도시: 기독교인와 무슬림 그리고 유대인 [15] aurelius6917 17/11/02 6917 2
74431 [일반] [정치유머] 단 2가지의 유머로 여러분을 웃겨드립니다. [35] 태연이13557 17/11/02 13557 23
74430 [일반] 문고리 3인방 이재만, 국정원돈 박근혜 지시로 받아 그대로 박근혜에게 건네 [73] 아유14527 17/11/02 14527 23
74429 [일반] [스압, 데이터] 야경, 야경을 찍자! [20] 스타슈터7745 17/11/02 7745 13
74428 [일반] 평창 동계올림픽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120] 미사쯔모14969 17/11/02 14969 3
74427 [일반] 불교에 관한 잡설 [32] 아발로키타8329 17/11/02 8329 10
74426 [일반] 창원터널 앞 엔진오일 이송차 폭발…3명 사망·1명 부상 [39] 호느님11714 17/11/02 11714 0
74425 [일반] LCHF(저탄수 고지방 식이)의 단점 위주 후기 [72] 무가당17483 17/11/02 17483 2
74424 [일반] 장강명 작가의 '댓글부대'를 읽고.. [12] 삭제됨8807 17/11/02 8807 1
74423 [일반] 현재 일본을 충격으로 몰아가고 있는 연쇄 살인 사건 [24] Remastered18527 17/11/02 18527 1
74422 [일반] 예전에 들었던 시조 [4] 목화씨내놔4516 17/11/02 4516 2
74421 [일반] 비트코인 및 암호 화폐에 관한 몇 가지 개인적인 생각들 [133] 가라한16225 17/11/02 16225 10
74420 [일반] 사마의 : 미완의 책사 1부 完 감상 [17] 신불해20489 17/11/02 20489 13
74419 [일반]  하늘에 보내는 편지. [7] 아타락시아16003 17/11/02 6003 4
74418 [일반] [영상] Vox채널, 일본 속의 작은 북한 [9] aurelius8161 17/11/01 8161 1
74417 [일반] 일본 나가노 "빚더미에서 겨우 빠져나왔다지만…" [72] 군디츠마라15126 17/11/01 15126 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