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7/08/05 10:21:54
Name 또리민
Subject [일반] 네이마르 ! 삼바 축구의 자존심!
드디어 네이마르가 파리 생제르망으로 이적했다.

2002 월드컵 브라질 우승의 주역중 하나인 호나우지뉴가 파리생제르망에서
FC바르셀로나로 옮긴 것과는 반대의 행보다 . 딩요는 별 중의 별이 되기 위해
팀을 옮겼고 아이러니하게 네이마르는 두 개의 태양은 공존할 수 없다는 명분
으로 팀을 옮겼다. 브라질의 두 전설이 파리생제르망과 FC바르셀로나를 사이
에 두고 각기 다른 행보를 보인 점은 흥미롭기까지하다.

전세계 모든 축구 선수들의 마지막 기착지가 레알마드리드 혹은 FC바르셀로나인
것을 감안하면 [대체로 그렇다는 의견] 삼바 축구의 네이마르가 최전성기에  팀을
옮긴 것은 충격적인 일임엔 틀림이 없다.현재 그의 기량이라면 메시이후 바르셀로나의
중심 인물이 될 것임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 2인자의 그늘에
머무를 수 없다는 조금은 조급해 보이는 [ 메시가 언제 쇠퇴할지 짐작하기 힘듬] 그의
판단이 오판일 수도 있으나 새로운 무대로의 도전은 일단 긍정적으로 생각한다.

축구의 대륙 브라질은 2002년 월드컵 우승 이후 뚜렷한 족적을 남기지 못하고 있다.
마법사 딩요가 외계와 교신에 성공한 직후 2006년 독일 월드컵에 우승이라는 선물을
던져 줄지 알았지만 그때당시 브라질 축구 대표팀의 주연이 너무 많았다. 결국 배가
산으로 가고 말았다..

그 이후 브라질 축구의 몰락이 가속화 되었는데 그걸 반전시켜줄 인물이
바로 천재 네이마르의 출현이다. 2010 남아공 월드컵 때 네이마르의 합류를 바라는 브라질 국민이
많았지만 둥가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그렇지만 네이마르는 꾸준하게 실력을 향상시켜 결국 전세계
축구 선수들이 선망하는 FC바르셀로나의 주전 공격수로 우뚝 섰다.대부분의 축구 선수들은 이 정도
위치라면 만족하는 것이 당연하겠지만 네이마르는 다르다.

삼바 축구의 적자 네이마르는 단순한 브라질 축구 선수가 아니다. 그는 이전부터 제2의 펠레라 불리기도
했듯이 [브라질 역시 수많은 펠레 후계자가 많다] 네이마르에게 기대를 거는 브라질 국민의 염원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크리라 본다. FC바르셀로나에 있지만 언제나 숙적 아르헨티나인 메시에게 밀려 항상
2인자로 존재하는 네이마르에 대한 브라질 국민들의 실망은 말하기는 힘들지만 있었으리라 생각한다.

금번 네이마르의 이적은 삼바 축구의 자존심을 세계에 다시 한 번 알리는 계기가 되었고 [이적료,몸 값,등등]
삼바 축구는 국가 대표팀도 우승을 지향하고 선수 역시 세계 최고를 지향해야 한다는 의지를 보인 것 같다.
비록 옮겨간 팀이 세계 최고의 팀이 아니라 아쉬울 수도 있지만 네이마르는 역으로 그런 팀을 챔스 우승으로 이끈다면
그의 가치는 두 배 이상 인정받을 뿐만 아니라 염원인 발롱도르 수상도 덤으로 받지 않나 싶다.

아직 네이마르 이적의 충격파가 유럽 축구계를 진동시키고 있지만 곧 차분해 지리라 생각한다.
제3의 축구 인생을 열어가는 [산토스-바르셀로나-파리생제르망] 삼바 축구의 적자 네이마르의 도전을
흥미롭게 지켜보고 싶다. 챔스에서 바르샤와의 조우가 기대된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3178 [일반] 피지알 생활하기 참 어렵네요 [136] 튜브12900 17/08/05 12900 65
73177 [일반] 삼국통일전쟁 - 8. 황제의 꿈, 대왕의 꿈 [21] 눈시BB7501 17/08/05 7501 29
73176 [일반] 네이마르 ! 삼바 축구의 자존심! [43] 또리민9681 17/08/05 9681 1
73175 [일반] 초등교사TO문제. 너무 이기적인 것 아닌가요? [695] 파니타27551 17/08/05 27551 51
73174 [일반] 피지알이 밥 멕여 주냐 1년 후 [31] 좋아요9057 17/08/05 9057 55
73173 [일반] [뉴스 모음] 연 50일 근무, 연봉 6600만원의 꿀보직 공무원 운용 20여 년 만에 적발 외 [21] The xian14432 17/08/05 14432 31
73172 [일반] 교원수급 문제가 출생률 때문이라는 건 [49] 싸가트9391 17/08/05 9391 11
73171 [일반] 대통령이 된 이후에도 근검절약하는 문재인 대통령 [97] 어리버리12838 17/08/04 12838 23
73170 [일반] 북한 ICBM의 최종 목표 [120] 미사쯔모11386 17/08/04 11386 4
73169 [일반] Show No Mercy [9] Galvatron5691 17/08/04 5691 0
73168 [일반] 서울교육청앞에서 교대생들의 시위가있었습니다 [306] 태랑ap15623 17/08/04 15623 0
73167 [일반]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고자 합니다.(+자기 합리화) [116] 날카로워10565 17/08/04 10565 2
73166 [일반] 동교동계, 안철수 출당 추진 [81] 내일은13719 17/08/04 13719 6
73165 [일반] [잡상] 국정원은 왜 국내정치공작에 목숨 거는가? [15] aurelius7867 17/08/04 7867 14
73164 [일반] 내 연봉에 어떤 차를 사아햘까? [124] 마르키아르15413 17/08/04 15413 23
73163 [일반] 전두환 회고록은 역사 쿠데타"…법원, "회고록 판매·배포 금지" [34] 아라가키7961 17/08/04 7961 19
73162 [일반] "9년"만에 YTN 해직 기자들이 복직 되셨습니다. [33] 어리버리8727 17/08/04 8727 19
73161 [일반] 2017년 7월 국내자동차 판매량 [41] G709138 17/08/04 9138 2
73160 [일반] 한글 마춤뻡 쉽개 왜우는 법 [74] 파츠28981 17/08/04 28981 90
73157 [일반] [JTBC 단독] MB 때 국정원 '대규모 민간 댓글부대' 운영 첫 확인 [183] Finding Joe19532 17/08/03 19532 41
73155 [일반] 화를 내면 안되는 시대에서 나는 화를 내도 되는것일까? [22] 삭제됨6663 17/08/03 6663 6
73154 [일반] 드라마추천 - 비밀의 숲 (노스포) [64] Jun9119046 17/08/03 9046 5
73153 [일반] 현재 우리나라의 출생아수와 인구절벽 [167] 루스터스16298 17/08/03 16298 2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