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자유 주제로 사용할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토론 게시판의 용도를 겸합니다.
Date 2011/10/05 15:28:12
Name
Subject [일반] 심슨 가족이 종영 위기에 놓였다네요..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1/10/05/0200000000AKR20111005055400009.HTML?did=1179m

연합뉴스 보도자료입니다

세계 최장수 애니이자 미국 국민 애니인 심슨 가족이 종영위기에 놓였습니다.

사실 심슨가족의 위기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긴합니다. 20시즌 전후로해서 불거진 매너리즘에 대한 불만과 지적이 계속 있어왔습니다

시청률도 점점 떨어지고 최근엔 이제야 시즌2에 막 돌입하였음에도 양덕후들에게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My Little Pony: Friendship is Magic 의 시청률에 뒤지기도 했습니다(여아들을 대상으로 한 애니인데 북미에서는 뽀로로급 인기를 누리고 있으며 다 큰 성인들도 헉헉거리게하는 마성을 가진 작품입니다--)

이 때문에 종영하네마네 라는 루머가 몇 년 전부터 끊임없이 나왔었는데...

그리고 이번에 드러난 문제는 다름아닌 제작비. 그중에서도 성우에게 들어가는 비용이 생각보다 엄청난 듯 합니다.
사실 애니메이션 자체가 제작비가 엄청나게 들어가는 분야이긴 하지만요(심슨의 경우 한 화당 제작비가 100만불을 훨씬 넘는다고합니다)

시청률 저하+제작비라는 이중고는 방송사로서는 정말 뼈아픈 문제가 아닐 수 없겠습니다.

모쪼록 해결되어 제가 호머 나이가 됐을때에도 심슨을 볼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알파스
11/10/05 15:33
수정 아이콘
7년정도 잘때 마다 심슨을 틀어놓고 잤지만 18시즌부터는 솔직히 재미가 많이 떨어진게 사실입니다.
그리고 심슨 성우들은 에피 하나당 억대의 출연료를 받는다고 알고 있었는데 역시 사실이었군요.

심슨이 폐지되기 보다는 쇄신해서 더 재밌게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11/10/05 15:59
수정 아이콘
허휴..심슨 성우들 거의 준공무원급이네요..
23년동안 출연했으며 회당 출연료가 억대라면...최강의 직장인데요..
11/10/05 16:01
수정 아이콘
헐 안돼... Doh
갓의날개
11/10/05 16:07
수정 아이콘
플랜더스부인 죽인게
성우값줄일라고 했다는 농담이 진짜같네요..크크
그래도 심슨짜응 ㅠㅠ 절대놓칠수없는데 종영안하고 시즌23꼭나왔으면하네여
원추리
11/10/05 16:12
수정 아이콘
일본 애니메이션의 제작비의 10배-_-정도 되는군요
Moderato_
11/10/05 16:20
수정 아이콘
지금 심슨 23시즌이 나왔구요
22시즌 1화 오프닝당시 22시즌이 시작됐음에도 슬퍼하는 심슨가족을 볼수있는데요.

그오프닝이 심슨 제작자인 멧그로닝의 말을 대신하는게 아닐까 싶기도합니다.
11/10/05 16:35
수정 아이콘
이거 지금부터 손대려면 몇 시즌부터 보는게 좋을까요? 1시즌부터 달리기엔 너무 옛날 것 같을 것 같아서요;
Siriuslee
11/10/05 16:36
수정 아이콘
심슨은 한 성우가 여러 배역을 맏고 있지요. 그래서 비싼가?
사신아리
11/10/05 16:47
수정 아이콘
으아... 안돼요ㅠ Doh~!!
샤르미에티미
11/10/05 18:58
수정 아이콘
예전부터 얘기 나왔었죠. 본문에도 있는 이야기인데 정말 딱 20시즌 후로 이름 있는 시리즈인데도 계속해서 위기가 있었다고
보면 되니...성우들의 파워가 막강할 수밖에 없는 게 여러 역할을 하는데다 정말 맛깔나게 잘 살리고 그동안 잘 되어왔고
대체자가 없기도 하고...여담입니다만 안투라지에서 아리하고 아들 입학 문제로 부딪치는 교장이 호머 심슨 성우입니다.
루미큐브
11/10/05 19:29
수정 아이콘
인기는 인기더라도 심슨은 좀... 말로는 머시기한 그런 재미가 있었는데 말이죵
심슨무비, 20시즌을 토대로 퀄리티가 확 올라가고 오프닝도 달라진거 같고
나름대로 심슨가족도 시대를 타는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지만 확실히 최근 시즌은
이전 시즌에 비한다면 너무 돌발적인 유머만 강조하려는 것 같아 눈에 안들어오더군요

아무튼 FOX를 증오하는 멧 그러우닝은 천재예요 천재

개인적이지만 심슨이 똑똑하고 가정적이었던 진짜 초창기 시즌이 훨씬 재미있었습니다.
아기자기하고 철학도 있었고, 가정문제 앞에선 현자가 되는 우리의 호머 -_-
운치있는풍경
11/10/05 21:26
수정 아이콘
자막 없이 볼때 여친은 옆에서 깔깔깔 하는데
저는 멍... 하고 있던 에피소드가 있죠 젠장 크흑
Observer_
11/10/06 05:29
수정 아이콘
이제 Futurama로 갈아탈 시간... 깨알같은 이과 계층유머가 당신을 기다립니다.
근데 시즌7은 2년에 걸쳐 나온다니 그것도 문제. (더불어 3D 그래픽 쓰느라 치솟는 제작비용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일반] [공지]자게 운영위 현황 및 정치카테고리 관련 안내 드립니다. + 선거게시판 오픈 안내 [29] jjohny=쿠마 25/03/16 28052 18
공지 [정치] [공지] 정치카테고리 운영 규칙을 변경합니다. [허들 적용 완료] [126] 오호 20/12/30 308132 0
공지 [일반] 자유게시판 글 작성시의 표현 사용에 대해 다시 공지드립니다. [16] empty 19/02/25 361718 10
공지 [일반] 통합 규정(2019.11.8. 개정) [2] jjohny=쿠마 19/11/08 365843 4
104601 [정치] [번역] 트럼프의 관세 전쟁, 유럽보다 미국이 더 큰 대가를 치르는 이유 [2] KOZE902 25/07/24 902 0
104600 [정치] 2030의 4050 혐오, 단지 위선과 여성우대 때문일까 [32] 방구차야1642 25/07/24 1642 0
104599 [일반] 이런저런 이야기 [5] 공기청정기628 25/07/24 628 4
104598 [정치] 이준석의 예견된 실패, 자초한 비극 [26] 딕시2645 25/07/24 2645 0
104597 [일반] 얘, 느 집에는 이런거 없지? - Fig.1님 책 이벤트 인증입니다 [1] Broccoli692 25/07/24 692 2
104596 [일반] 판타스틱4 새로운 출발 리뷰[스포주의] [10] 메카즈하878 25/07/24 878 0
104595 [일반] 중요한 건 내가 우위에 서는 것이다. 도덕에서라도. [2] 223.32998 25/07/24 998 3
104594 [일반] 만약 제가 비열한 사람에 대한 사적 처벌을 목격했다면 [1] Pygmalion2008 25/07/24 2008 1
104593 [정치] 李대통령 지지율 64%…국민의힘 지지율 17% 최저치 경신 [52] Davi4ever5268 25/07/24 5268 0
104592 [정치] "다신 안 그럴거죠? 믿어요" '법원 폭동' 다 선처한 판사 [64] 카린5715 25/07/24 5715 0
104591 [일반] 진격의 거인을 보고 (스포 약간) [9] 이직신1307 25/07/24 1307 1
104590 [일반] 유럽에서 초지능이 태어날 가능성 [27] 번개맞은씨앗3524 25/07/24 3524 2
104589 [일반] 웃기는 트럼프의 첼시 클럽월드컵 우승 세레모니 [11] lightstone1620 25/07/24 1620 3
104588 [일반] 고이즈미 신지로가 바보 흉내를 내야만 했던 이유 [38] 페이커755389 25/07/24 5389 7
104587 [정치] "미국, 한국에도 15% 관세 조건으로 548조원 투자 요구" [68] 유머6294 25/07/24 6294 0
104586 [정치] 역린을 건든다 [178] 육돌이7818 25/07/24 7818 0
104585 [일반] AI채팅을 해보고 느낀 플랫폼별/모델별 차이 [17] 티아라멘츠3208 25/07/24 3208 5
104584 [일반] 제미나이와의 대화를 해봤습니다. [1] 된장까스3172 25/07/24 3172 0
104583 [일반] 골 때리는 일본의 극우정당 돌풍 [51] 헤일로5784 25/07/24 5784 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