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경험기, 프리뷰, 리뷰, 기록 분석, 패치 노트 등을 올리실 수 있습니다.
Date 2016/01/13 17:56:17
Name d5kzu
Subject [기타] [트오세] 이 버그 누구 탓?
최근 트오세와 관련 된 재미있는(?) 버그 스크린 샷이나 동영상이 많이 공유가 되고 있더군요,

게임 관련 커뮤니티를 보면 버그 발생 시 게임사(대체로 QA)를 비판(or 비난) 또는 퍼블리셔(대체로 운영)를 비판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모든 버그가 QA 때문인 것인지? QA도 개발사 QA인지, 퍼블리셔 QA인지
아니면 개발자만의 문제인 것인지?
운영팀의 문제인 것인지?

한번 생각해 보기 위해 글쓰기 버튼을 눌러봤습니다. 유게에서 검색 된 트오세 글만 나열해 봤어요.
(지금 부터 정리하는 것은 제가 경험했던 업무 분위기에 따른 것이지,
현재 트오세를 제작한 IMC게임즈나 서비스하고 있는 넥슨과는 상이하다는 점을 참고해서 편하게 읽어보고 넘어갈 수 있는 유머러스한 글이 되길 바랍니다.)

- 저는 어떤 부서를 비난하고자 이 글을 쓴 것이 아니에요.
- 또한, 저도 동종 업계에 QA로 근무 중에 있습니다.
- 저도 버그가 발생되지 않는 게임을 희망합니다 ㅠㅠ

1. 헤어 스타일 3만원 신규 치장 아이템 출시
https://cdn.pgr21.com/pb/pb.php?id=humor&no=261061

이슈에 대한 책임 (100% 기준)
QA = 관계 없음, 또는 10%
운영 = 관계 없음
개발자 = 관계 없음
사업 = 90%~100%
QA에 10%를 준 이유는 우려 되는 사항에 대해서 아예 언급한 적이 없다는 가정하에, 우려 사항을 사업에 미리 언급한 적이 있다면 0%
캐쉬 아이템 판매 등록 권한은 사업이 가지고 있을 확률이 높으므로, 문제가 발생하던 당시 수 많은 버그 픽스보다 매출에 집중한 점이 아쉬운 느낌


2. 5인 매칭 던전 6인 플레이
https://cdn.pgr21.com/pb/pb.php?id=humor&no=261145

이슈에 대한 책임
QA = 80%
운영 = 관계 없음
개발자 = 20%
사업 = 관계 없음
간혹 트오세 버그를 살펴 보면 이 게임 예외적인 사항에 대해서 테스트는 된건가? 라고 생각이 드는 문제가 좀 많이 보입니다.
예외적인 사항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TC에서는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전적으로 QA 탓만 할 수는 없다고 해도
QA가 TC만 검수하는 업무라면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을 수 밖에 없을 것 같네요.
물론 버그 처리과정과 코드 수정 과정을 확인해 봐야 겠으나, "왜 개발이 이모양이라서" 라고만 할 수는 없을 것 같네요.
그래도 개발자도 책임은 어느 정도 있지 않을까요? 다른 문제를 수정하던 중 발생한 사이드 이펙트라면 코드 검수가 일부 부족한 느낌은 지울 수 없네요.


3. 캐릭터 고립 현상
https://cdn.pgr21.com/pb/pb.php?id=humor&no=261535

이슈에 대한 책임
QA = 80%
운영 = 관계 없음
개발자 = 20%
사업 = 관계 없음
사실 스크린 샷 만으로 어떤 상황인지 짐작하기 어렵습니다. 전 트오세를 안해서..
딱히 설명도 없지만, 대략적으로 이해가 된 부분이라면 캐릭터가 어떤 전투 상황에서 저 나무 뿌리 같은 것이 감싸안았고, 그로 인해
캐릭터가 움직일 수 없는 고립 상태가 된 것이 아닌가 싶은데요.
이 상황이 맞다면, 결국 2번과 같이 QA가 예외적인 환경에 대해서 고려가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4. 캐릭터 벽타기
https://cdn.pgr21.com/pb/pb.php?id=humor&no=261679

이슈에 대한 책임
QA = 30%
운영 = 관계 없음
개발자 = 70%
사업 = 관계 없음
벽타기와 같은 버그는 QA가 찾아내기 참 어렵습니다. 정말 많은 시간이 주어지고 모든 벽에 부딪혀 보지 않는한 찾기도 힘들 뿐더러
특정 방법을 고려해서 진행되는 벽타기는 더더욱 찾기가 어렵죠, 렉을 발생시켜서 올라간다던지 등..
아트가 테크니컬적인 측면도 함께 하는지 아트와 개발이 따로 있는지 알 수 없어 개발자라 통칭 한다면,
개발자 입장에서 컬리전 설치 시 많은 부분 고려해 주시면 좀 더 좋았을 겁니다.


5. 출석체크 이벤트 보상 무한 수령
https://cdn.pgr21.com/pb/pb.php?id=humor&no=261729

이슈에 대한 책임
사업 = 관계 없음
개발자, 운영, QA 는 경우에 따라 너무 크게 영향이 달라지는 사항이다 보니 딱히 언급 드리기가 애매한데요,
이벤트가 운영툴 등의 조작 없이 진행되는 것이고, 코드로 구현된 사항이라면 개발자 = 20%, QA = 80%
운영툴 조작만으로 진행되는 이벤트라면 개발자 = 20%, QA = 20%, 운영팀 = 60% 쯤으로 생각해 봅니다.
코드로 구현된 사항이라면 당연히 QA 검증이 되었어야 하는데 한 번 받고 더 받는 테스트가 진행되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구요.
운영툴로 하게 되는 이벤트라면 QA가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개발자 또는 운영에서 좀 더 확인해 줬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네요.


6. 경험치 이벤트 오류
https://cdn.pgr21.com/pb/pb.php?id=humor&no=261732

이슈에 대한 책임
사업 = 20%
QA = 20%
개발자 = 30%
운영 = 30%
이건 모두가 책임이 있다고 볼 수 있겠네요, 경험치에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에 대해서 즉각 인지가 안됐다는 것은 사실 쉽게 이해가 되기 어렵다 라는 생각이 드네요.
분명 자회사 게임이니 플레이를 하고 계시는 분들이 상당 수 일거라 생각이 드는데, 경험치가 감소된 것을 느낄 수 없었다.
이건 체감으로도 분명 느껴져야 맞는건데 말이죠.


7. 쥐불놀이
https://cdn.pgr21.com/pb/pb.php?id=humor&no=261765

이슈에 대한 책임
사업 = 관계 없음
QA = 50%
개발자 = 50%
운영 = 관계 없음
상기 2,3번과 같이 예외적인 이슈이며, 둘 이상이 스킬을 사용했을 때 어떤 상황이 발생하는지 PvP 에서는 어떻게 동작하는지 예측을 전혀 못했던 것 같습니다.
트오세를 하지 않아 PvP가 어떻게 되어 있는지, 실제 PvP가 가능하긴 한 게임인지는 모르겠으나,
스킬이 NPC한테 사용되었을 때와 유저에게 사용 되었을 때, 그리고 그 상황에서 유저가 반응하는 것에 대해서 뎁스있게 확인했다면 없었을 버그일텐데..


8. 항아리 시위
https://cdn.pgr21.com/pb/pb.php?id=humor&no=261769

이슈에 대한 책임
사업 = 관계 없음
QA = 40%
개발자 = 60%
운영 = 관계 없음
이 또한 예외적인 이슈이며, TC에서 해당 항목을 확인하라는 부분은 부족했을 것입니다.
해당 글의 댓글에서 '소독용 에탄올' 님이 남기신 댓글에 공감하는데요,
이런 문제가 있다는 것은 일반 공격/투사체 공격 이 동일한 위치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확률이 매우 높아 보입니다.
또는, 항아리 굴리는 스킬이 다른 지역에서도 동일한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매우 높아 보입니다. 메카니즘 문제...



9. 정리
앞에 말씀 드려 본 버그들이 아마 QA에서 사용하는 TC에 명시되지 않아 있을 확률이 높아 보입니다.
이는 QA 숙련도라던지, 노하우, 그리고 TC제작자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채워나가야 했는데 이 과정이 조금 아쉽지 않았나 생각이 들기도 하구요.
유저 입장에서는 버그 없는 게임을 즐기고 싶은 것이 당연!
게임사 입장에서도 버그 없는 게임을 제공하고 싶은 것이 당연! 하다고 생각이 들지만
저도 경험해 보면서 느끼는 것은 정말 예상할 수 없는 문제가 많이 발생하기도 하는 구나 싶습니다.

예를 들면, 이런 경우도 있어요.
5인 매칭 던전에 1인 플레이 시 문제 없음, 2인 플레이 시 문제 없음, 3인 플레이 시 문제 없음, 5인 플레이 시 문제 없음...
그런데 4인으로 플레이 시에만 문제 발생...
모든 상황에 대해서 검수할 수 있다면 당연히 좋은 것이지만, 검수가 부족한 상황이 물리적으로 발생하더군요.
또는, 테스트 망에서는 문제가 없는데, 라이브 서비스 시에는 문제가 발생, 다시 테스트 망에서 확인해 봤으나 문제가 없음. 이러한 경우도 빈번하구요.

일부 버그는 다른 게임이라면 언급 안될 수준인데, 요즘 트오세 관련 글이 많다보니 노출되고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동일한 서비스 기간 내에 업데이트량이 많은 게임이라면 이 정도 수량의 버그는 발생하지 않을까 싶어요.

그만큼 트오세 인기를 말하는거기도 하겠죠.

저는 딱히 트오세를 즐기지는 않지만 앞으로도 트오세 관련 글은 꼬박 꼬박 읽어볼 것 같네요. (죄송하지만 재밌어요 버그상황이..)
좋은 하루 되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16/01/13 18:08
수정 아이콘
1번 같은 경우 아이템 가격이 보통 퍼블리셔쪽에서 정하긴 하는데 대개 개발팀/개발사에서 가이드라인 정도는 줍니다. 개발팀과 퍼블리셔와의 파워게임에 따라 무게추가 한쪽으로 기우는 경우도 많긴 하지만요. imc 정도 되는 회사라면 어느정도 발언권이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아무리 영세한 개발업체에서 만든 게임이라도 적어도 퍼블리셔가 가격 책정한 후에 개발사/팀에게 컨펌 내지는 사전 조율정도는 하죠. 고로 개발팀에 10% 정도는 책임이 있다고 봅니다.
16/01/13 18:23
수정 아이콘
위에 언급드린 사업팀이 imc 사업팀을 말씀 드리는 거였어요, 사업팀과 개발팀에 구분이 없는 회사가 있는지(?)는 모르겠으나, 개발자가 얼마에 팔아야 해요라는 밸런스 조정은 없지 않나 생각이 들었습니다.
16/01/13 19:18
수정 아이콘
그게 좀 복잡하긴 한데.. 게임내 아이템 가격에 관한건 개발사내 개발팀(그중에서도 특히 기획팀과 PD) <-> 개발사내 사업팀 <-> 퍼블리셔 PM <-> 퍼블리셔내 운영팀 의 단계로 조율이 들어갑니다. 아예 개발팀이나 개발팀내 사업부에서도 신경 안쓰는 케바케는 있을수 있긴 하지만 적어도 퍼블리셔쪽 PM이 가격 책정을 이렇게 하겠다고 개발팀 PD나 개발팀 사업부에게 최종 결정 확인 정도는 받습니다.
16/01/13 20:02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저도 착각했네요, 밸런스 조정은 개발 단에서 먼저 진행하는 경우가 있기도 하구요.
그냥 시간 날 때 틈틈히 적다 보니 잘못된 정보가 있었네요, 감사합니다.
멸천도
16/01/13 18:09
수정 아이콘
쥐불놀이나 항아리는 개발자 100% 아니면 개발자 0%
둘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테스트를 넘겼다는건 버그가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고 그걸 발견 못한게 문제라고 보거나
아예 버그를 만든게 잘못이라고 봐야지
어정쩡하게 얘가 40, 얘가 60 이렇게 칠수는 없다고 봐요.
그리고 제 생각엔 항아리는 QA 잘못이 맞는거 같습니다.
발견하기 어려운 버그가 아니거든요. 사실 파이어볼도 계단밑으로 안굴러가는걸 생각하면
테스트시 모든 스킬을 경사로에서 사용해봤었어야한다고 봅니다.
16/01/13 18:24
수정 아이콘
파이어볼 이슈는 제가 알지 못해서 고려하지 못했습니다.
멸천도님 말씀 처럼 파이어볼 이슈가 있었다면 다른 스킬을 다 확인하는게 QA 업무 중 하나이죠.
명백하네요, 100 대 0... 그래도 팔은 안으로 굽는다고....90대 10 이정도나...
16/01/13 20:48
수정 아이콘
으음... 조심스럽게 언급드려 보자면 사실, 1번을 제외한 모든 사항은 "담당 작업자" - 그게 기획적인 부분이면 기획, 개발적인 부분이면 개발 - 의 책임인 게 맞습니다.

개인적으로는, QA에 책임을 묻는 게 무슨 의미가 있는지도 모르겠고, 해서는 안될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1. 매우 기본적인 사항에 대해 오류가 발생
- 기본적인 것도 테스트해보지 않고 커밋한 개발자/기획자(일반적으로 이런 부분은 개발자지만, 요청한 기획자나 버그만든 개발자나 그놈이 그놈) 잘못
- 그래도 이런 건 QA에서도 대부분 걸러지기 때문에, 그리고 이런 게 QA에서 리포팅되면 매우 창피해지고, 만약 작업 담당자가 막내라면 갈굼을 먹을 수도있는, 그리고 혼 좀 나야 될 사항이기도 합니다.

2. 특정 조건에서 오류가 발생
- 개발자가 업무 일정에 밀려 이런 저런 예외 사항에 대한 처리를 못했거나, 기획자가 개발 사항을 전달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예외 사항에 대한 처리 방침을 일러주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이것도 역시, 꽤 많은 경우 QA에서 걸러지며, 이런 걸 업데이트 전에 찾아주면 개발자/기획자들이 매우 고마워합니다. 정말로요.

3. 테스트케이스가 방대하여, 사실상 전체 테스트가 불가능
- 예를 들면 스킬이 총 300개 정도가 되는데, 그 중 5개를 슬롯에 꽂을 수 있고 또 어떻게 꽂느냐에 따라 다 다른 조합의 스킬 효과가 발동...... 뭐 이런 식이라, QA 인력이 아무리 많더라도 사실상 모든 경우에 대한 테스트가 불가능하다면 + 거기서 결국 오류가 발생하고야 말았다면 이건 그걸 기획한 사람의 잘못입니다.
- 보통 그렇겠지만 저런 경우, QA에서는 테스트 툴이나 테스트 방법에 대한 문의를 기획/개발에 하게 되는데, 이걸 귀찮다거나, 못만들어 주겠다거나 하게 되면 QA에서도 최후 통첩을 날리게 됩니다. "우린 못함. 그럼 걍 업뎃하던가" 그리고 그 결과가...... 아시다시피....


유일하게 QA의 잘못이라고 말할 수 있는 건 QA가 직접 작업하는 일들 - 운영툴을 이용한 이벤트 세팅 미스라던가, 이벤트 아이템 중복 지급, 유저응대 미숙, 게시판 관리 미숙, 공지에 비속어 사용, 아니면 운영자 캐릭터로 실수로 마을에 보스를 소환한다던가 하는... - 정도지, 그 외의 게임 컨텐츠에 대해서는 QA을 탓할 이유도, 필요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노파심에 쓰자면.. 저는 QA쪽 사람이 아니며 굳이 따지자면 QA 분야에서 일하시는 분들께 늘 고마워하는 사람입니다.
멸천도
16/01/14 10:11
수정 아이콘
개발의 실수 = 버그의 생성
QA의 실수 = 버그를 못 찾음

라고 할때 우리가 버그를 발견하는건 QA를 거쳐온거라고 생각해야합니다.(패스 했든가)
말씀하신대로 담당자 100% 잘못이라고 한다면 QA의 업무는 극단적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QA를 쓰는 이유도 '버그가 있는건 알지만 어디에 있는지 몰라서'입니다.


-QA가 검수하는 게임의 품질 요소는 다양하다. ‘버그’(Bug)를 찾아내는 것부터 시작해, 특정 구간이 너무 어렵다거나 게임 기획자(Game Designer)가 의도한대로 동선이 흘러가지 않는 등의 ‘레벨 디자인’(Level Design)의 문제점을 찾아내기도 한다. 그 외 게임 출시 후 위험요인이 될 만한 문제점들을 찾아내기도 하며, 수정된 사항이 제대로 적용되었는지의 여부도 QA가 검수하게 된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QA [Quality Assurance] (게임용어사전: 기관/용어, 2013. 12. 12.)


뭐 다만 현 트오세 상황상 QA를 제대로 못돌리고 있다고 보는게 더 맞을꺼같긴 합니다.
클베를 거치고 거기서 나온 의견도 반영이 안되는걸 보면 아무래도 QA인력을 떠나서 개발인력자체가 부족한거같은...
16/01/14 11:44
수정 아이콘
음, 담당자 100% 잘못이라고 해도 QA의 업무는 변하지 않습니다. 말씀하신대로 버그를 찾는 건 QA의 기본 중의 기본 업무이지요.

다만 현업에서는 버그를 발견하지 못했다고 해서 그게 QA를 문책할 일은 아니라는 이야기입니다.

좀 극단적으로, 해고당할만한 버그 - 예가 안맞을 순 있겠지만 최근 이터널 클래시 이슈 급이라고 생각해 보죠 - 가 게임에 터졌다고 생각하면, 회사 입장에서는 QA에 책임을 묻지 않고 어쨌든 해당 작업을 담당한 기획자나, 개발자에게 책임을 묻게 됩니다. 물론 QA 조직 내에서도 작성된 테스트케이스를 제대로 확인하지 않은 정황이 확인되면 담당자에게 문책할 수 있겠지만, 적어도 제가 알고 지냈던 QA분들은 테스트케이스를 건너뛰시는 분들은 못 봤습니다.

뭐 그런데 써놓고 보니 이건 어디까지나 현업 이야기, 더군다나 제가 경험한 아주 작고 작은 국내 회사 한정이고; 어디까지나 유저 입장에서 느끼는 건 다를 수도 있겠네요 + 회사마다 방침이 다를 수도 있겠네요.
멸천도
16/01/14 12:07
수정 아이콘
이터널 클래시 이슈라면 개발자나 기획자의 '의도'가 들어있었던 문제니 당연히 해당 담당자를 문책하는게 맞는겁니다.
제가 얘기하고자하는건
개발자의 실수 = 버그
QA의 실수 = 버그를 발견 못함
이 둘다 일어나지않으면 소비자에게 발견되지않습니다.
QA의 업무는 소비자에게 발견되지않도록 미연에 버그를 발견하는 것이며
개발자의 업무는 버그가 나지않도록 프로그램을 잘 짜는거겠죠.
위에 쥐불놀이나 항아리를 100%로 잡은이유는 쥐불놀이의 경우 어느정도 기획의 의도가 있었다고 보여지고
항아리는 파이어볼, 장판스킬등 많은 스킬들이 이미 경사로에서 제대로 동작하지않기때문에
이부분은 특이점으로 판단하고 더 엄격하게 테스트를 했어야한다고 보기때문입니다.
뭐 사실 클베때도 경사로 장판같은건 얘기가 좀 있었던건데.... 그걸 생각하면 QA도 QA지만
윗선에서 그냥 강행한게 현재 트오세 사태를 불러온게 아닐까 싶습니다.

암튼 제 생각을 정리하면 'QA의 기본 업무는 버그 찾기인데 못찾았다고 문책을 받지않으면 QA는 왜 있는가?' 이거 입니다.
물론 이 얘기가 개발자의 실수가 사라진다거나 책임이 면해진다는 얘기는 결코 절대 아닙니다.
16/01/14 10:44
수정 아이콘
계란님 말씀이 맞습니다.
저도 이 글을 써보면서 가장 조심한 것이 회사 업무 프로세스를 다 밝힐 수 없을 거고, 그게 다른 회사랑은 또 어떻게 다를지 모르다보니
정말 기초적이면서 기본적인 얘기를 하게 됐고, 그게 오히려 정보 전달이 부족해져 버린 것 같습니다.

지금 댓글 달린 내용들이 오히려 전문지식들이 있으신 분들 댓글이 더 많아 당황 중입니다. 크크
16/01/16 00:36
수정 아이콘
3번의 상황에 굉장히 공감합니다.
미고띠
16/01/13 21:48
수정 아이콘
버그의 경우에는 무조건 QA 와 사업의 책임이 들어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둘의 책임이 100% 라는 이야기는 아니고, 지분이 얼마이던 모든 버그의 책임 논란에서 자유로워 질 수 없는 두 개 포지션이라고 생각해요)

사업은 누구보다도 가장 프로젝트를 잘 알고 있으면서 결국 모든 결정과 책임을 지어야 하는 포지션이기 때문이고,
QA에서 sign off 했다는 건 말 그대로 이 프로젝트의 품질을 검증했다 라고 책임을 이미 진거고, 버그 발생 이후에도 책임을 져 f/u 을 해야 하는
직군이니까요.

어떤 상황이나 오류를 발생시킨 부분에 따라 지분율은 달라질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저 두 포지션은 항상 최소한이라도 지분율이 포함되어 있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16/01/14 10:46
수정 아이콘
하지만 최근 싸인오프를 QA가 하지 못하는 게임 회사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개발 속도가 서비스 속도(컨텐츠 소모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다보니 사업이나 개발단에서 알아서 리스크를 판단하고 있다는 얘기가 종종 들리더라구요.

QA는 일반적으로 검증을 통해 싸인오프하는 조직이라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다보니,
싸인 오프 권한 없이 문제 생기면 욕먹는 억울한 QA 조직이 좀 있다고 하네요.
16/01/16 00:39
수정 아이콘
싸인오프를 QA가 하지 못하는 게임 회사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 문구에 적극 공감합니다.
모바일게임으로 대세가 넘어온 이후, 컨텐츠 소모속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빨라지면서 발생한 현상같습니다.
게다가 최근 중국산 게임이 많아진것도 한몫한다고 봅니다. 중국어가능+QA능력을 모두 갖춘 인력이 업계에 많지가 않지요.
저는 QA는 아닙니다 -_-)
도망가지마
16/01/13 22:07
수정 아이콘
저도 동종 업계에서 일하고 있지만, 개발사인 아이엠씨게임즈의 내부사정도 모르고 QA 책임을 말하기엔 너무 성급하다고 생각합니다.
일정과 자본에 급급해 적절한 인력배치가 되지 못하는 경우를 여러번 봐서요.

팀내 어제 본 유게의 IT지원팀의 일상 중에서 '왜 IT팀을 쓰는지 모르겠다'라는 말이 생각나네요.
support팀에 대한 평가는 조직 전체와 연계해서 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16/01/14 10:47
수정 아이콘
서두에서 말씀 드렸다 싶히 지금 우리 회사에서 트오세를 서비스 중이라면, 이라는 가정 이고
IMC나 넥슨에 책임을 묻자는 글이 아니었습니다.
Mephisto
16/01/13 22:32
수정 아이콘
솔찍히 버그도 어지간해야 QA를 탓하지....
정도가 너무 심한거 같아요.
16/01/13 22:57
수정 아이콘
버그가 컨텐츠인 게임.
16/01/14 06:42
수정 아이콘
게임을 하지 않아도 즐길 수 있는 게임.
16/01/14 07:23
수정 아이콘
QA가 책임이 없는건 아닌데 이정도로 심한 숫자의 버그들이라면

A : "아 이거 이문제 있고 저문제 있고 처리해야됩니다."

B : "야 시끄러! 우리이거 일단 빨리 오픈해야되는거 몰라? 강행한다! 대충 심한거 아니면 하면서 고치면 되잖아!"


A랑 B가 누구지는 잘 아실듯.
순규하라민아쑥
16/01/14 08:31
수정 아이콘
더불어 B혹은 그 윗선이 중간에 사업자금 띵가먹고 룰루랄라 했을 확률도 매우 높죠.
16/01/14 10:48
수정 아이콘
계란님과 미고띠님 코멘트에 대댓글 남긴 것으로 대신 하겠습니다.
의견 감사합니다.
이쥴레이
16/01/14 09:45
수정 아이콘
글쎄요. 사업 부분이 책임져야 되는것은 유료화 과금모델부터 마케팅, 이벤트, 업데이트 일정조율등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버그 문제에 대해서는 논외로 봐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운영도 제외해야겠죠. 운영적인 실수부분이 아니라고 한다면요.
출석체크 같은 오류 문제는 웹이랑 연동되는 경우 웹팀이나 연결된 DB문제일수도 있고요. 그걸 테스트 하고도 발견 못한 운영과 QA가
어느부분 책임이 있을수도 있겠죠.

그외 게임내 버그건은 QA와 개발이 동일하게 50:50 비율이라고 생각합니다.

상대적 이론이겠지만 원래 버그 100개 있던것을 QA에서 99개를 잡고 나머지 1개를 못잡아서 나온 버그가 지금 우리가
보고 있는 결과물일수도 있습니다.

반대로 버그 없다고 검수 통과 시켜놓고 버그가 터지면(거의 버그는 업데이트마다 어느 게임이던 터지는거 같습니다.)
QA 잘못 비율이 높을수도 있고요.

하지만 먼저 1차적으로 개발팀에서 개발뒤 테스트하고 컨텐츠 부분 확인뒤 QA에 넘어가게 됩니다.
버그를 만드는것은 QA가 아니라 개발입니다. 그리고 그걸 책임지고 검수해야되는 QA도 획기적이거나(?) 상상하지
못했던 방법으로 버그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에 검수 제대로 못한 QA라고 보기는 어렵죠. 개발도 그렇고요.

양비론이지만 게임내 버그 발생 책임에 대해서 이야기 하자면 그냥 둘이 사이좋게 50:50 이 가장 적당하다는 생각입니다.
16/01/14 10:51
수정 아이콘
계란님과 미고띠님 코멘트에 대댓글 남겼는데,
최근 사업 단계에서 싸인오프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고 합니다.
QA에서는 우려를 이미 전달하였으나, 그를 무시하고 나서 발생되는 문제도 꽤 있다는 것이겠죠.

그래서 이젠, 버그에서 사업팀을 아예 논외로 하면 안된다는 의견 이었습니다.

사실 버그가 나와서 책임을 어디에 묻는게 중요할까요,
고객들은 게임을 못즐겼고, 개발사는 버그로 인해 임시 점검, 정기 점검 들어가 엄청난 손해를 내고 있고 (임시 점검 1회에 손실액을 여기에 커뮤니티에 공개할 수는 없으나...)
서로가 조금 더 잘 챙겼으면... 이라는 아쉬움으로 써본 글입니다. (하지도 않는 게임이면서?)
배두나
16/01/14 23:00
수정 아이콘
게임업계 두루 다녀봤는데 사업팀에서 캐시 아이템 가격을 정한걸 본적이 없어서... 80%는 과하다고 봅니다.
16/01/16 00:40
수정 아이콘
게임회사 3번째이고, 2번째 3번째 회사에선 사업부서에서 캐시아이템을 결정합니다. 저는 80%에 공감합니다.
PGR21-568214589
16/01/16 22:03
수정 아이콘
TC가 뭐에요?
16/01/16 22:34
수정 아이콘
테스트 케이스 또는 체크리스트라고 부르기도 하구요.
QA가 테스트할때 사양 명세서 기반으로 체크해야 하는 항목들이라고 생각해 주시면 될것 같습니다.
아이고배야
16/01/17 02:44
수정 아이콘
Test Case 의 약자 입니다.
아이고배야
16/01/17 02:48
수정 아이콘
모바일 시장의 특수성으로 인해, 모바일 게임에서는 사업의 영향력이 강한 경우가 많은데..
PC 게임에서 이정도로 일들이 터지는걸 보면 IMC가 얼마나 급한지 알 수 있죠..

이정도로 터지는건 개발/QA/운영/사업 모두 동의하고 가는 겁니다..어쩔 수 없다, 당장 죽게생겼다..이런 신호죠 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8544 [기타] [트오세] 이 버그 누구 탓? [31] d5kzu9121 16/01/13 9121 3
58543 [기타] ARIA가 스마트폰 리듬게임으로 출시예정입니다. [9] Yang6472 16/01/13 6472 0
58542 [스타2] 풀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을 채택한 리그들을 알아봅시다. [31] 공유는흥한다7626 16/01/13 7626 0
58541 [LOL] e스포츠 팟캐스트에서 LOL 관련 소식이 있어 소개합니다. [57] 마빠이10534 16/01/13 10534 0
58540 [디아3] 서버 오픈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제목수정) [40] 그렐8591 16/01/13 8591 0
58539 [LOL] 간단하게 롤챔스 개막전 예상이나 해봅시다. [39] Tad9024 16/01/12 9024 2
58538 [스타2] 아케이드 게임 공모전 - Top 10 아케이드 맵 소개! + 한국맵 진출! [17] Jacky27179 16/01/12 27179 8
58537 [기타] [아가리오] 게임플레이 동영상 [5] cafferain5774 16/01/12 5774 0
58536 [스타2] 2016년 1월 둘째주 WP 랭킹 (16.1.10 기준) - 한이석&신희범 차트 복귀! Davi4ever6296 16/01/12 6296 0
58535 [디아3] 생초보 열흘 플레이 후기 [39] 기다9810 16/01/12 9810 0
58534 [스타1] 반트 스타리그가 마지막일까요? [34] 안드로마케12792 16/01/12 12792 3
58533 [LOL] [Replay HUD] 남탓은 이제 그만 [7] 고독한미식가14126 16/01/12 14126 3
58532 [LOL] 간단한 북미 2016시즌 전망 [21] becker8153 16/01/12 8153 3
58531 [기타] 영웅전설6 하늘의 궤적FC 한글패치 공개! 요즘 왜이러나요? [27] 마롱40399 16/01/12 40399 1
58530 [히어로즈] 히어로즈 이런저런 이야기 "늑대남, 그리고 여러 소식들" [39] 은하관제9199 16/01/12 9199 3
58529 [LOL] OGN 시청자 간담회 후기입니다. [37] Lamy Safari11753 16/01/11 11753 28
58528 [LOL] 롤을 접었습니다. [14] 다음v7905 16/01/11 7905 12
58527 [기타] [워크3] 스타2 워크3 모드 근황 [18] 인간흑인대머리남캐18266 16/01/11 18266 0
58526 [스타2] 프로리그가 열리기를 기다리며 [17] 삼성전자홧팅7409 16/01/11 7409 2
58525 [기타] 기대가 되는 인디 게임 [29] 돌아온 개장수15190 16/01/10 15190 4
58524 [기타] 이터널클래시 사태의 추가 후속조치 및 감상 [47] The xian12150 16/01/10 12150 9
58523 [LOL] 상황파악끝! 최고의 전투기까지 있다구! 협곡의 산타 꾸러미 보이드 코르키 공략! [37] aura9721 16/01/10 9721 0
58522 [LOL] 저도 약 한번 팔아보렵니다. 말자하 정글! [28] 헤븐리8157 16/01/10 8157 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